$\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대전광역시 응급의료 취약지 분석
The Analysis of Underserved Emergency Medical Services Areas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Using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원문보기

農村醫學·地域保健 =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 community health, v.37 no.2, 2012년, pp.76 - 83  

황지혜 (건양대학교 대학원 보건학과) ,  이진용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박성우 (공주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지질학과) ,  이동우 (공주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지질학과) ,  이보우 (건양대학교 대학원 보건학과) ,  나백주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대전광역시의 응급의료 취약지를 도출하고 그 지역의 보건학적 특성을 규명하기 위해 시행하였다. 응급의료 취약지는 GIS의 비용가중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응급의료센터로부터 30분 이내에 접근이 어려운 지역으로 정의하였다. 응급의료 취약 여부에 따른 보건학적 특성은 SPSS 17.0을 이용하여 교차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대전광역시의 응급의료 취약지는 12개의 행정동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 지역에 약 8,100명이 거주하고 있었다. 응급의료 취약지여부에 따른 보건학적 특성의 차이를 교차 분석한 결과, 농어임업 인구, 국민기초생활수급권자 수, 장애인 수, 노인인구의 수가 카이제곱검정에서 유의하였다(p<0.05). 이번 연구를 통해 대전광역시의 응급의료 취약지를 선정할 수 있었으며 GIS 분석 시도로데이터를 적용하여 기존의 Buffer 방식(단순반경거리)보다 더 정확하고 현실적으로 응급의료 취약지를 선정할 수 있었다. 하지만 이 연구는 대전광역시에 국한되어 시행했기 때문에 향후에는 이 연구에 적용한 GIS 분석 기법과 응급의료 취약지 선정기준 등을 활용하여 전국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fine the underserved emergency medical services (EMS) areas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as well as to identify their distinctive characteristics in public health perspectives. Methods: An underserved EMS area was operationally defined as an area in w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는 GIS의 공간분석 중 비용가중분석기법을 활용하여 차량이동시간을 기준으로 대전광역시의 응급의료 취약지를 선정하고, 그 지역의 세부 거주자 수(비율) 및 보건학적 특성을 분석한 첫 번째 논문으로서 의의를 지니지만 몇 가지 제한점이 있다. 첫째, 우리나라는 GIS 분석을 위한 세부 지역별 데이터 구축이 되어 있지 않아서 이 연구에서는 통계청 자료와 거주인구 밀집시설물의 규모에 비례하여 추정된 인구 데이터를 사용했기 때문에 응급의료 취약지 내 실제 거주 인구수에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 이 연구는 대전광역시의 응급의료 취약지를 도출하고 그 지역의 보건학적 특성을 규명하기 위해 시행하였다. 응급의료 취약지는 GIS의 비용가중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응급의료센터로부터 30분 이내에 접근이 어려운 지역으로 정의하였다.
  • 또한, 국내 연구의 대부분은 이송시간 및 거리 측정 시 출발지점을 소방파출서나 응급의료기관(권역응급의료센터, 지역응급의료센터, 지역응급의료기관)으로 설정하였지만 지역현장에 가까운 일선 지역응급의료기관의 경우 급성심근경색이나 뇌졸중 등 중증환자를 치료할 능력이 없기 때문에 중증 응급질환의 경우 이들 기관을 연구대상기관에 포함하는 것은 한계가 있었다. 이에 이 연구는 연구대상 및 연구방법을 달리 적용하여 대전광역시에 존재하는 중증 응급의료 처치 가능기관을 대상으로 GIS 기법을 적용하여 대전광역시의 응급의료 취약지를 규명하고, 그 지역의 보건학적 특성을 분석하여 지역 응급의료 정책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만들고자 시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응급의료 취약지란? 이 연구에서 사용하는 ‘응급의료 취약지’는 중증응급환자에 대한 처치가 가능한 응급의료센터에서 차량으로 ‘30분 이내’에 접근이 어려운 지역으로 정의하였다.
적정시간에 도착할수 없는 응급의료 취약지가 발생하는 이유는? 응급의료는 가능한 빨리 환자를 응급의료기관까지 이송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만 이송시간 및 거리는 지역, 이송시간대, 도로유형 등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적정시간에 도착할수 없는 응급의료 취약지가 발생하게 된다. 최근에는 응급의료 취약지를 선정하기 위한 방법으로 GIS를 광범위하게 이용하고 있다.
보건복지부는 응급환자의 경우 최대 30분 이내에 응급의료기관에 도착할 것을 권고하는 이유는? 응급환자가 발생했을 경우, 최대한 빨리 응급의료기관으로 이송한 후 적절한 응급의료서비스를 제공해야 생존율을 향상시키고 후유 장애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1]. 이에 보건복지부는 응급환자의 경우 최대 30분 이내에 응급의료기관에 도착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Park SK. Delineation of Korean emergency medical service areas and its determinants [dissertation]. Inje University, 2004 (Korean) 

  2. Kong IS. Future directions of emergency healthcare policy in Korea. J Korean Med Assoc 2010;53(10):838-840 (Korean) 

  3. 임정수, 이 근, 강경희, 나백주, 임용수, 서화정, 고상백, 김재용, 김혜영, 신상도, 이국종, 임태호, 이지현, 장동석. 도서산간 지역의 응급의료 현황분석 및 지원방안 모색. 인천광역시, 보건복지부?가천의과학대학교, 2007, pp.172-180 

  4. Im JS, Kim CY. Healthcare problems and solutions among island inhabitants Korean. J of Rural Med 2002;27(1):185-196 (Korean) 

  5. Seo JH, Lee SJ, Ha JH, Kwon DG, Kim JH, Lee JH, Na BJ, Kang YH. The experience and Competence of Physicians Who Provide Emergency Health Care at Public Health Sub-Centers on Remote Island in Korea. J Agric Med Community Health 2011;35(1):36-46 (Korean) 

  6.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응급의료 기본계획 수립 및 응급의료 운영체계 평가. 2005, pp.84-102 

  7. South Dakota Department of Health, Office of Rural Health. SOUTH DAKOTA ACCESS  CRITICAL/VULNERABLE AMBULANCE SERVICES. Duluth: National Rural Health Resource Center; [cited 2010 Jan 4]. 4 p. Available from: URL: http://www.ruralcenter.org/sites/default/files/AmbACAR.pdf 

  8. Rural Committee of Canadian Association of Emergency Physicians. Recommendations for the management of rural, remote and isolated emergency health care facilities in Canada. J Emerge Med 1997;15(5):741-747 

  9. 이신호, 박수경, 황지인, 홍두호. 응급진료권 분석 및 응급의료기관 평가. 2004, pp.56-80 

  10. Yang BY, Hwang CS. Thinking about the Equity for the Emergency Medical services. Journal of the Korean Cartographic Association 2005;5(1):7-14 (Korean) 

  11. 매일경제. 예산.평창 등 33개 시.군 응급시설 全無. 2006 Jul [cited 2012 Jan 5]. Available from: URL: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06&no338346 

  12. 매일경제. 죽어도 서울? 이유 있네, 응급의료 도 양극화 심각. 2006 Jul [cited 2012 Jan 5]. Available from: URL: http://news.mk.co.kr/ newsRead.php?year2006&no339455 

  13. Alka B Patel, Nigel M Waters and William A Ghali. Determining geographic areas and populations with timely access to cardiac catheterization facilities for acute myocardial infarction care in Alberta, Canada; 2007 October [cited 2010 Jan 4]. 12p. Available from: URL: http://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2173884/pdf/1476-072X-6-47.pdf 

  14. Phliilp A. Scott, Chris J. Temovsky, Kate Lawrence, Edward Gudaitis and Mark J. Lowell. Analysis of Canadian Population With Potential Geographic Access to Intravenous Thrombolysis for Acute Ischemic Stroke. Stroke 1998;29:2304-2310 

  15. 김세경, Emergency Medicine, 군자출판사, 2005 

  16. Holli A. DeVon, Nancy Hogan, Amy L. Ochs, Moshe Shapiro. Time to Treatment for Acute Coronary Syndromes: The Cost of Indecision. J Cardiovasc Nurs 2010;25(2): 106-114 

  17. 박기수, 나백주, 임정수. 의료취약지 선정기준에 관한 연구. 진주시, 보건복지부?경상대학교. 2010, pp.63-101 

  18. Choi HJ. An analysis on the equity of Korean medical delivery system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1994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