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낚시성 인터넷 신문기사 검출을 위한 특징 추출
Feature Extraction to Detect Hoax Articles

정보과학회논문지 = Journal of KIISE, v.43 no.11, 2016년, pp.1210 - 1215  

허성완 (아주대학교 소프트웨어특성화학과) ,  손경아 (아주대학교 소프트웨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스마트 기기의 발달로 많은 사람들이 인터넷 신문기사를 이용하고 있다. 하지만 인터넷 언론사간의 치열한 경쟁으로 조회수를 올리기 위한 낚시성 기사가 범람하고 있다. 낚시성 신문기사는 제목을 통해 올바른 기사의 줄거리가 제공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독자로 하여금 잘못된 내용을 떠올리게 한다. 낚시성 신문기사는 핵심에서 벗어난 유명인사 인용, 애매한 문장의 마무리, 제목과 내용의 불일치 등의 특징을 갖는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낚시성 기사를 분류하기 위한 특징을 추출하고 성능을 검증해 본다. 기사에 달린 댓글의 키워드를 활용하여 대용량 학습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기반으로 다섯 가지 분류 특징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특징들은 서포트 벡터 머신 분류기를 이용한 실험에서 92%의 정확도를 보여 낚시성 인터넷 신문기사를 분류하는데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뿐만 아니라 제목과 본문의 일관성을 측정하기 위한 전처리 방법으로 고안한 선택적 바이그램 모델은 낚시성 인터넷 신문기사 분류 외에도 일반적인 단문 분석을 위한 전처리 방법으로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adership of online newspapers has grown with the proliferation of smart devices. However, fierce competition between Internet newspaper companies has resulted in a large increase in the number of hoax articles. Hoax articles are those where the title does not convey the content of the main story, ...

주제어

참고문헌 (12)

  1. Korea internet security agency(KISA), "2015 Survey on the Internet usage executive (in Korean)," 2015. 

  2. Statistics Korea, "2015 Social Survey results (in Korean)," 2015. 

  3. Kin sunjin, "The utilization reality of hooking news titles in portal news service - Focused on major daily newspapers in naver newscast(in Korean)," Korea Digital Design Council, Study on digital design, Vol. 10, No. 4, pp. 283-293, 2010. 

  4. Jeong kyihong, "Is internet hoax articles good as it is?" (in Korean), Kwanhun Club, Journal of Kwanhun, 115, pp. 129-141, 2010. 

  5. Lim Kwon-Mook, "Morphological Ambiguity Resolution by using Semantic Information(in Korean),"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Scientists and Engineers, Conference Proceedings, Vol. 21, pp. 649-652, 1994. 

  6. eunjeonhanip project, [Online]. Available: http://eunjeon.blogspot.kr/ 

  7. Lee joon-ho, "Implications and Theories of Headline Journalism : Focusing on Headlines of Newspapers and Portal Sites(in Korean)," Society for journalism and communication studies, Journalism Research, pp. 249-280, 2015. 

  8. Jang min-jeong, "Analysis of newspaper headlines among Korea, USA and Japan (in Korean),"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Language & Literature Conference Proceedings, pp. 25-37, 2012. 

  9. Janggeun Oh, "Semiotic analysis of the daily press Edit(in Korean)," Korean Association for Visual Culture, Visual culture, pp. 108-121, 2007. 

  10. Rhee, June Woong, "Direct Quotations in newspaper headlines in the coverage of the local election on May 31, 2006," Korea Journal of Jou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pp. 64-90, 2007. 

  11. Yu, Hong-Sik, "Effects of Quantitative Distortion in the Equalized Exemplification on Readers' Issue Perception(in Korean)," Korea Journal of Jou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pp. 346-373, 2008. 

  12. Corinna cortes, "Support-vector networks," Machine Learning, Vol. 20, Issue 13, pp. 273-297, 199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