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의 다문화 경험에 따른 문화적 역량
Cultural Competency by Multicultural Experience of College Student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4 no.12, 2016년, pp.657 - 665  

이명숙 (안산대학교 간호학과) ,  박영미 (안산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본 연구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다문화 경험에 따른 문화적 역량의 차이를 확인하여 대학생의 다문화 역량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대학생 663명으로 2016년 9월1일부터 30일까지 설문조사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문화적 역량은 평균 3.48점, 문화적 역량의 구성요소에서는 문화적 인식이 평균 3.78점으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문화적 태도는 평균 3.73점, 문화적 지식과 기술은 평균 2.92점의 순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다문화 경험에 따른 문화적 역량은 다문화 사람들(외국인)과 접촉경험이 있는 경우, 다문화 사람들을 위한 봉사경험이 있는 경우, 다문화와 관련된 수업 경험이 있는 경우 등에서 경험이 없는 경우보다 문화적 역량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교육적, 실제적 차원에서 대학생의 문화적 역량 증진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 및 다문화 관련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identified the components of cultural competency in college students according to their multicultural experiences. We collected the data from 663 college students located in Gyeonggi-do in September, 2016. Using the SPSS/WIN 21.0 version, we analyzed the data with descriptive sta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다문화 경험에 따른 문화적 역량의 차이를 확인하여 대학생의 다문화역량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다문화 관련 경험에 따른 문화적 역량의 차이를 확인하여 대학생의 다문화 역량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 하기 위함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다문화 관련 경험정도와 문화적 역량을 파악하고 다문화 경험에 따른 문화적 역량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이상으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다문화관련 경험이 다문화 인식, 태도, 지식과 기술을 긍정적으로 함양하는데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 대상자는 일지역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수행하였으므로 모든 대학생에게 적용하여 일반화하는 데는 제한점이 있으므로 전국단위에서 대상자를 표집하여 반복연구하기를 제언한다.
  • 이에 본 연구는 다양한 문화적 특성을 가진 대상자들과 더불어 살아가야 하는 대학생들의 다문화 경험에 따른 문화적 역량과 구성요소인 문화적 인식, 문화적 태도, 문화적 지식과 기술의 정도를 확인하고자 한다. 이는 대학생들의 문화적 역량 증진을 위한 교과목과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다문화 사회의 다양한 대상자를 이해하고 지지할 수 있는 글로벌 전문인을 양성하는데 있어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최근 국내에 체류하는 외국인의 증가에 따른 다문화 사회로의 진입으로 미래세대인 대학생들의 다문화 역량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다문화 경험에 따른 문화적 역량의 차이를 확인하여 대학생의 다문화역량 증진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 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문화적 역량개발의 기대효과는? 이러한 문화적 역량개발은 다양화, 세계화 되어가고 있는 시대에 미래의 도전에 직면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대학생의 다문화 역량은 현장에서 그대로 실천될 수 있고, 추후 진정한 의미의 사회통합을 이루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며 다문화 역량에 대한 필요성이 크게 대두되고 있다[14]. 이처럼 대학생들에게 다문화 사회에 대한 이해를 통해 외국인에 대한 편견을 없애고 다문화사회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갖도록 하는 일은 중요하다.
대학생들의 다문화 경험에 따른 문화적 인식, 문화적 태도, 문화적 지식과 기술의 정도를 확인 해야 하는 이유는? 이에 본 연구는 다양한 문화적 특성을 가진 대상자들과 더불어 살아가야 하는 대학생들의 다문화 경험에 따른 문화적 역량과 구성요소인 문화적 인식, 문화적 태도, 문화적 지식과 기술의 정도를 확인하고자 한다. 이는 대학생들의 문화적 역량 증진을 위한 교과목과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다문화 사회의 다양한 대상자를 이해하고 지지할 수 있는 글로벌 전문인을 양성하는데 있어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다문화란? 최근 외국인들의 국내 이주가 급격히 증가하여 현재 한국사회는 다문화 사회로 전환되고 있다. 다문화란 단일문화에 대비되는 개념으로 같은 혈통과 문화를 추구하던 하나의 문화에 다양한 문화들이 통합되어 한 사회 내에 여러 문화가 함께 존재하는 상태를 의미한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J. Y. Jang, "Analysis on current status and ways of improvement of welfare policy for multi-cultural famili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Joongbu University, 2010. 

  2. Ministry of the Interior, 2014_ The current status of foreign residents. http://www.moi.go.kr/frt/bbs/type001/commonSelectBoardArticle.do?bbsIdBBSMSTR_000000000014&nttId46327. 

  3. W. O. Oh, "Factors Influencing Cultural Sensitivity among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Child Health Nursing, Vol. 17, No. 4, pp. 222-229, 2010. 

  4. S. M. Park, "The Implication Critical Perspective of Multicultural Education on Geography Education", Journal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Vol. 19, No. 2, pp. 91-106, 2011. 

  5. M. S. Jung,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healthcare-related multi-cultural policy in Korea from nursing's point of view,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Vol. 6, No. 1, pp. 1-20, 2009. 

  6. M. K. Kim, "Relationship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Stress, Depression, Family Resilience and Internet Game Addiction",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7, No. 1, pp. 205-210, 2016. 

  7. H. S. Lee, S. H. Lee, & J. A. Choi, "A Study for Multicultural Families as Digital Poverty: Focusing on Target Changes of the Digital Divide Survey for Multicultural Familie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7, No. 1, pp. 205-210, 2016. 

  8. E. J. Goh, "Relevance of stress for cultural adaptation, domestic violence, social support, self-esteem and post-traumatic stress to psychological health of female migrants throught international marriage",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2009. 

  9. J. D. Hovey, & C. C. Magana, "Psychosocial predictors of anxiety among immigrant Mexican migrant farmworkers: Implications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Cultural Dversity and Ethnic Minority Psychology, Vol. 8, No. 3, pp. 274-289, 2002. 

  10. O. H. Ahn, S. S. Baek, & J. S. Kim, "Cultural competency by multicultural experiences of nursi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ulticultural Health, Vol. 2, No. 2, pp. 19-26, 2012. 

  11. A. E. Fantini, "Exploring intercultural competence", Research report, Vol. 7, No. 1, 2007. Center for social development (CSD): Global service institute", Washington University in St. Louis. 

  12. H. N. Weaver, "Explorations in Cultural Competence", Belmont, CA: Thomson Brooks/Cole, 2005. 

  13. S. J. Park, A Atudy on Multicultural Education and Competence of University Students in the Fields of Human Services: Focused on Gwangju-Jeonnam Area, Unpublished doctor's dissertation, Mokpo National University, 2013. 

  14. M. K. Kim, "A Qualitative Study on University Students' Multicultural Competence -Focusing on the Cultural Cognition, Cultural Knowledge and Cultural Skill",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Vol. 19, No. 6, pp. 945-965, 2010. 

  15. S. H. Min, & M. Y. Lee, "A Exploratory Study about the Cultural Competence of University Students - focused on the Cultural Awareness", Journal of Adolescent Welfare, Vol. 11, No. 1, pp. 183-206, 2009. 

  16. S. S. Park, Y. J. Bae, S. H. Park, & S. A. Kim, "A Study on Multicultural Competence of University Students in the Fields of Human Services for the Era of Fusion and Convergenc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3, No. 11, pp. 493-507, 2015. 

  17. M. J. Chae, J. Kim, J. H. Lee, "Effects of a Multicultural Course on the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nd Competency of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 21, No. 3, pp. 373-381, 2015. 

  18. E. H. Peek, & C. S. Park, "Effects of a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on the cultural competence, empathy and seff-efficacy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 43, No. 5, pp. 690-696, 2013. 

  19. F. Faul,, E. Erdfelder, A. G. Lang, & A. .Buchner, "G*Power3: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program forth e. social, behavioral, and biomedical science", Behavior Research Methods, Vol. 39, pp. 175-191, 2007. 

  20. A. St. Clair, & L. McKenry, "Preparing culturally competent practitioners",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1999). Vol. 38, No. 5, pp. 228-234, 1999. 

  21. S. Y. Choi,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ultural Competence Measure for Helping Professions", Journal of community welfare, Vol. 35, pp. 23-53, 2010. 

  22. J. W. Han,. "(A The) Regionalization process of the immigrants in Wongok-dong, Ansan-s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008. 

  23. I. S. Lee, & J. Y. Cho,, "A study on the Cultural Competency and Demend for a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among Nursi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5, No. 1, pp. 283-290, 2014. 

  24. H. A. Seo, H. Y. Chun, & S. J. Wee, "The Research on Multicultural Experiences Influence the Multicultural Understanding and Characteristics toward Multicultural Education of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Journal of Korean Child Care and Education, Vol. 7, No. 4, pp. 69-94, 2011. 

  25. Y. J. Kim, J. Y. Lee, & S. H. Cho, "An Explorative Study of Perceived Cultural Competency of Medical Social Workers in Korea,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 31, No. 3, pp. 251-283, 2011. 

  26. D. H. Chae, Y. H. Park, K. H. Kang, & T. H. Lee,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Cultural Competency of General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 18, No. 1, pp. 76-86, 2012. 

  27. H. K Jun,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Transcultural Self-efficacy and Cultural Competency of Nursing Students for Subjects with various cultural background, Unpublished master's thesis", Gachon University, 2015. 

  28. A. Cooper-Brathwaite, "Evaluation of a cultural competence course", Journal of Transcultural Nursing, Vol. 16, No. 4, pp. 361-369, 200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