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지 화질 측정 기술 동향 원문보기

방송과 미디어 = Broadcasting and media magazine, v.21 no.1, 2016년, pp.78 - 88  

천만리 (연세대학교) ,  이종석 (연세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멀티미디어 시스템에 있어서 제공하는 영상 콘텐츠의 화질은 우선적으로 보장되어야 할 요소이다. 화질에 최적화된 시스템을 설계하고 평가하기 위해서는 화질의 측정 기술이 필수적인데, 기존의 신호 기반 화질 평가가 갖는 한계 때문에 최근에는 시청자가 실제로 인지하는 화질을 평가하는 기술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UHD 시대에는 단순 화질뿐만 아니라 실감성 등의 인지적 요소도 주목을 받고 있기 때문이다. 본 글에서는 인지 화질 측정에 관련된 기술 동향을 살펴보고, UHD의 인지 화질 측정 관련 최신 연구를 살펴본다.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글에서는 인지 화질 측정과 관련된 기술 동향을 살펴보고, 더불어 UHD에 관련된 인지 화질 평가에 대한 연구들에 대해 살펴본다. 또한 향후 인지 화질 측정 방법의 개선 방향에 대해서 고찰하고자 한다.
  • 본 글에서는 인지 화질 측정과 관련된 기술 동향을 살펴보고, 더불어 UHD에 관련된 인지 화질 평가에 대한 연구들에 대해 살펴본다. 또한 향후 인지 화질 측정 방법의 개선 방향에 대해서 고찰하고자 한다.
  • 여기서는 최근 UHD의 인지 화질 연구에 자주 사용된 대표적인 주관적 화질 평가 방법인 SS방법과 DSIS방법에 대해서 간략히 소개한다.
  • SS 방법은 시청자에게 무작위 순서로 콘텐츠(이미지 혹은 비디오)를 보여주고 각각 평가하게 한다. 일정 길이의 실험 영상을 하나씩 본 이후 일정 시간 동안 실험 영상의 화질(Quality)이 얼마나 좋은지에 대해 평가하게 한다. 평가하는 화질은 <표 2>에 나와 있는 다섯 개의 화질 등급으로 평가하게 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UHD의 특징은? UHD는 기존의 포맷인 HD보다 4배 이상의 공간적 해상도를 가지고 있어 기본적으로 더 많은 양의 데이터가 필요하다. 비디오의 특성상 정보의 손실이 수반되는 압축 과정을 거치지만, 코덱의 선택, 그리고 압축의 정도나 압축 과정에 사용되는 변수 등에 따라 화질의 차이가 많이 발생한다.
인지 화질 측정의 주된 대상은 무엇인가? QoE의 복합적인 개념에 반해, 현재 이뤄지고 있는 QoE의 측정은 다소 제한적이며, 시청자의 콘텐츠에 대한 인지 화질이 우선적으로 중요시 되고 있다. 이미지나 비디오의 생성 및 압축 과정에서 노이즈, 블럭잡음(Blockiness), 번짐현상(Blurring), 물결현상(Ringing) 등이 생긴다[2]. 그리고 콘텐츠 전송 과정에서는 패킷 손실(Packet Loss), 멈춤현상 (Freezing) 등도 발생한다. 이러한 현상들이 QoE, 특히 인지 화질 측정의 주된 대상이 되고 있다.
QoE란? QoE(Quality of Experience)는 화질 측정 분야에서 가장 주목받고 있는 개념이다. <그림 2>에 나와있듯이 QoE는 시청자가 받아들이는 인지 화질을 측정하는 요소로써, 콘텐츠와 관련된 기술적 요소와 더불어 시청자와 관련된 요소들, 시청하는 상황 (Context) 등을 복합적으로 고려하는 개념이다. 기존에는 QoS(Quality of Service) 등의 용어가 화질을 표현하는데 사용되었는데, 이는 대부분 시청자보다는 시스템 관점에서 정의되는 개념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Recommendation ITU-R BT.2020, "Parameter values for ultra-high definition television systems for production and international programme exchange", 2012 

  2. H. R. Wu and K. R. Rao, "Digital Video Image Quality and Perceptual Coding", CRC Press, 2005 

  3. Recommendation ITU-R BT.500-13, "Methodology for the subjective assessment of the quality of television pictures", 2012 

  4. Recommendation ITU-T P.910, "Subjective video quality assessment methods for multimedia applications", 2008 

  5. Recommendation ITU-R BT.1788, "Methodology for the subjective assessment of video quality in multimedia applications", 2007 

  6. S. Chikkerur et al., "Objective video quality assessment methods: A classification, review, and performance comparison", IEEE Transactions on Broadcasting, 2011 

  7. Z. Wang et al., "Image quality assessment: from error visibility to structural similarity", IEEE Transactions on Image Processing, 2004 

  8. M. Pinson and S. Wolf, "A new standardized method for objectively measuring video quality", IEEE Transactions on Broadcasting, 2004 

  9. K. Seshadrinathan and A.C. Bovik, "Motion tuned spatio-temporal quality assessment of natural videos", IEEE Transactions on Image Processing, 2010 

  10. H. R. Sheikh and A. C. Bovik, "Image information and visual quality", IEEE Transactions on Image Processing, 2006 

  11. P. Marziliano et al., "A no-reference perceptual blur metric",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mage Processing (ICIP), 2002 

  12. F. Yang et al., "No-reference quality assessment for networked video via primary analysis of bit stream", IEEE Transactions on Circuits and Systems for Video, 2010 

  13. F. Yang et al., "Content-adaptive packet-layer model for quality assessment of networked video services", IEEE Journal of Selected Topics in Signal Processing, 2012 

  14. Z. Wang et al., "Multiscale structural similarity for image quality assessment",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ignals, Systems and Computers, 2003 

  15. Z. Lin et al., "FSIM: a feature similarity index for image quality assessment", IEEE Transactions on Image Processing, 2011 

  16. E. C. Larson and D. M. Chandler, "Most apparent distortion: full-reference image quality assessment and the role of strategy", Journal of Electronic Imaging, 2010 

  17. R. Soundararajan and A. C. Bovik, "RRED indices: Reduced reference entropic differencing for image quality assessment", IEEE Transactions on Image Processing, 2012 

  18. A. Mittal et al., "No-reference image quality assessment in the spatial domain", IEEE Transactions on Image Processing, 2012 

  19. M. A. Saad et al., "A DCT statistics-based blind image quality index", IEEE Signal Processing Letters, 2010 

  20. P. V. Vu et al., "A spatiotemporal most-apparent-distortion model for video quality assessment",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mage Processing (ICIP), 2011 

  21. M. Saad and A. C. Bovik, "Blind prediction of natural video quality", IEEE Transactions on Image Processing, 2013 

  22. M. Sugawara et al., "Ultra-high-definition television (Rec. ITU-R BT. 2020): A generational leap in the evolution of television [standards in a nutshell]", IEEE Signal Processing Magazine, 2014 

  23. Report ITU-R BT.2246, "The present state of ultra-high definition television", 2015 

  24. N. Ramzan et al., "Quality of experience evaluation of H.265/MPEG-HEVC and VP9 comparison efficiency", Microelectronics (ICM), 2014 

  25. M. Rerabek and T. Ebrahimi, "Comparison of compression efficiency between HEVC/H.265 and VP9 based on subjective assessments", SPIE Opitical Engineering+ Applications, 2014 

  26. A. Lachat et al., "How perception of ultra-high definition is modified by viewing distance and screen size", IS&T/SPIE Electronic Imaging, 2015 

  27. K. Berger et al., "Subjective quality assessment comparing UHD and HD resolution in HEVC transmission chains", International Workshop on Quality of Multimedia Experience (QoMEX), 2015 

  28. M. Cheon and J.-S. Lee, "Objective quality comparison of 4K UHD and up-scaled 4K UHD videos", IEEE International Symposium on Multimedia (ISM), 2014 

  29. P. Hanhart et al., "Benchmarking of quality metrics on ultra-high definition video sequences",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igital Signal Processing (DSP), 2013 

  30. H. Nemoto et al., "Impact of ultra-high definition on visual attention", ACM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ultimedia, 2014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