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역대 실지조사기록 검토를 통한 임진정계 경계표지물 분포 복원
A Reinvestigation on Key Issues Associated with the Yimjin Boundary Making and Demarcation(1712~1713): Reconstructing the Distribution of Boundary Markers Based on Actual Survey Documents 원문보기

대한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v.51 no.5, 2016년, pp.577 - 612  

이강원 (전북대학교 사범대학 지리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논문의 목적은 임진정계(1712) 경계표지물에 대한 역대 실지조사기록을 검토하여, 1712~1713년에 만들어진 경계표지물의 분포를 복원하는 것이다. 허량 박도상(1713), 김우식(1883), 이중하(1885), 오록정(1907), 오소네 세이지(1907), 유건봉(1908), 일제지형도(1933), 청진교원대학 백두산탐사대(1948), 길림성 장백산 여행단(1957)의 실지조사기록을 검토하였다. 이를 통하여, 1713년 최종 완성된 임진정계 경계표지물의 분포를 도표와 지도로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distribution of boundary markers, set up during the Yimjin(1712) Boundary Making and Demarcation(YBMD), has less been addressed so far, although it is key material evidence on which we can reconstruct the whole processes of YBMD, together with the correction of widespread myths around YBMD. This...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경계표지물로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1712년(숙종 38년; 강희 51년) 임진정계를 통해 설치되었다고 기록된 경계표지물로는 ‘정계비(定界碑)’·‘목책(木柵)’·‘누석(累石)’·‘토돈(土墩)’ 등이 있다. 목극등(穆克登)이 세운 정계비는 1931년 7월 28~29일 사이에 사라졌지만, 많은 기록과 지도 및 사진으로 실체를 추정할 수 있고, 그 비좌가 남아 있어 구체적인 위치까지 확인할 수 있다.
경계표지물 중 목극등이 세운 정계비는 언제 사라졌는가? 1712년(숙종 38년; 강희 51년) 임진정계를 통해 설치되었다고 기록된 경계표지물로는 ‘정계비(定界碑)’·‘목책(木柵)’·‘누석(累石)’·‘토돈(土墩)’ 등이 있다. 목극등(穆克登)이 세운 정계비는 1931년 7월 28~29일 사이에 사라졌지만, 많은 기록과 지도 및 사진으로 실체를 추정할 수 있고, 그 비좌가 남아 있어 구체적인 위치까지 확인할 수 있다.
경계표지물은 무엇을 통해 설치되었는가? 1712년(숙종 38년; 강희 51년) 임진정계를 통해 설치되었다고 기록된 경계표지물로는 ‘정계비(定界碑)’·‘목책(木柵)’·‘누석(累石)’·‘토돈(土墩)’ 등이 있다. 목극등(穆克登)이 세운 정계비는 1931년 7월 28~29일 사이에 사라졌지만, 많은 기록과 지도 및 사진으로 실체를 추정할 수 있고, 그 비좌가 남아 있어 구체적인 위치까지 확인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勘界使謄錄上(국립중앙도서관, 古2102-84-1) 

  2. 勘界使謄錄下(국립중앙도서관, 古)2102-84-2) 

  3. ?洲集, 朴琮(국립중앙도서관, 한古朝46-가1121) 

  4. 大韓北輿要選, 金魯奎(국립중앙도서관, M古1-2001-27) 

  5. 白頭山定界碑地圖(규장각, 奎 26675) 

  6. 保晩齋集, 徐命膺(국립중앙도서관, 한古朝46-가76-1-8) 

  7. 備邊司謄錄(국사편찬위원회) 

  8. 肅宗實錄(국사편찬위원회) 

  9. 承政院日記(국사편찬위원회) 

  10. 延吉邊務報告, 吳祿貞(규장각 952.8 Y43h2 v.1-4) 

  11. 雲養集, 金允植(한국고전번역원) 

  12. 壬辰穆胡克登定界時所模(규장각 輿地圖(古4709-1)) 

  13. 長白山江岡志略, 劉建封(국립중앙도서관, 朝68-61) 

  14. 朝鮮王朝實錄(국사편찬위원회) 

  15. 土門勘界, 李重夏(규장각, 奎 21036) 

  16. 강석화, 2000, 조선후기 함경도와 북방영토의식, 경세원. 

  17. 경인문화사, 1997, 最近北韓五萬分之一地形圖, 경인문화사. 

  18. 김한산, 2011, 백두산 화산: 지리.지질.생태.관광, 시그마프레스. 

  19. 동북아역사재단(역), 2013, 譯註 統監府臨時間島派出所紀要, 동북아역사자료총서 43, 동북아역사재단(篠田治策 編著, 1910, 統監府臨時間島派出所紀要, 日本外務省外交史料館所藏). 

  20. 백두총서편찬위원회, 1992, 백두총서: 백두산 기상수문, 과학기술출판사(CNC 북한학술정보 백두산데이터베이스). 

  21. 백두총서편찬위원회, 1994, 백두총서: 백두산 지도첩, 과학기술출판사(CNC 북한학술정보 백두산데이터베이스). 

  22. 소원주, 2010, 백두산 대폭발의 비밀, 사이언스북스. 

  23. 신영길(역), 2005, 간도는 조선땅이다: 백두산정계비와 국경, 지선당(篠田治策, 1938, 白頭山定界碑, 樂浪書院). 

  24. 이강원, 2015, "임진정계시 '입지암류(入地暗流)'의 위치와 '토문강원(土門江源)'의 송화강 유입 여부," 대한지리학회지, 50(6), 571-605. 

  25. 이왕무.정욱재.양승률.서동일(역), 2008, 역주 감계사등록(上), 동북아역사재단. 

  26. 이왕무.정욱재.양승률.서동일(역), 2010, 역주 계사등록(下), 동북아역사재단. 

  27. 이화자, 2012, "중국.북한 국경 답사기: 백두산 토퇴군(土堆群)의 새로운 발견," 문화역사지리, 24(3), 140-159. 

  28. 이화자, 2013, "백두산 정계의 표식물: 흑석구(黑石溝)의 토석퇴에 대한 새로운 고찰," 동방학지, 162, 241-281. 

  29. 황철산, 1957, "백두산 등산 연로의 유적," 문화유산, 4(뉴스메이커 762호(20808.2.19) 일부 수록). 

  30. 大日本帝國陸地測量部, 1933, 滿洲十萬分一圖. 

  31. 篠田治策, 1938, 白頭山定界碑, 樂浪書院. 

  32. 日本放送協會(NHK), 2009, 北朝鮮 白頭山: 知られざる "聖なる峰"(TV documentary). 

  33. 朝鮮總督府, 1916, 朝鮮交通圖, 陸地測量部. 

  34. 朝鮮總督府臨時土地調査局.大日本帝國陸地測量部, 1933, 假製版 五萬分之一地形圖. 

  35. 吉林省革命委員會外事處辦公室編印, 1974, 中朝.中蘇.中蒙有關條約.協定.議定書匯編. 

  36. 李花子, 2013, "康熙年??白山定界???江上流堆?的走向," 朝鮮.韓國史硏究, 13, 175-212. 

  37. 李花子, 2014, "黑石溝土堆考," 淸史硏究, 第1期, 37-52. 

  38. 中國測繪史編輯委員會 編, 2002, 中國測繪史第三卷(中華人民共和國 1949-1989), 測繪出版社. 

  39. Machida, H., Moriwaki H. and Zhao D. C., 1990, The Recent Eruption of Changbai Volcano and its Environmental Effects, Geographical Reports of Tokyo Metropolitan University, 25, 1-2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