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기 문화예술생태계에서 창조적 환경의 형성과정과 추동요인: 서울시 성동구 성수동 지역을 사례로
Exploring the Formation Process and Key Drivers of a Creative Milieu in the Early Arts and Cultural Ecosystem: The case of Seongsu-dong, Seoul, Korea 원문보기

대한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v.51 no.5, 2016년, pp.691 - 711  

이지원 (서울대학교 대학원 지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경제활동공간이 역동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특히 서울시 성동구 성수동 지역은 제조업 집적지였지만, 현재 급격한 변화를 겪고 있는 대표적인 지역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성수동 지역은 도심 제조업이 쇠퇴하면서 공장 이전이나 폐업으로 인한 빈 공간에 새로운 행위자가 유입되고 있다. 이러한 행위자들은 전통적인 접근법에서는 다소 간과되었던 비경제적 행위자인 문화예술 부문의 창조적 행위자들이며, 이들의 비공식적인 모임인 문화예술 인식공동체는 생태계 형성 초기에 지역 생태계가 창조적 환경으로 변화하는데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 공간구조 변화 메커니즘의 근본적인 동인을 규명하여 공간적 함의를 도출하고자 하는 것이며, 이를 위해 진화적인 관점에서 인식공동체의 단계별 형성과정에 따라 초기 문화예술 기반의 창조적인 지식생태계의 형성과정과 추동요인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인식공동체는 진화적인 경로 창출과정에서 지역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지식창출을 위한 지식플랫폼으로서 일시적인 공간 형성에 기여했고, 성수동 지역은 공간적 근접성을 넘어 관계적 근접성을 추구하며 관계적 공간을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Economic spaces around the world have changed dynamically. Creative arts and cultural actors have begun to emerge in old industrial neighborhoods of major metropolitan cities. These new actors can be seen as creative actors in arts and culture, as well as non-economic actors that have been...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식공동체의 역할은 무엇인가? 인식공동체의 역할은 정기적인 모임, 지속적 상호 작용, 국지적인 실험적 실행, 규범 제정을 통해 새롭고 급진적인 아이디어와 지식을 창출하는 것이며, 이러한 인지적인 움직임은 국지적인 환경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구성원들은 인식공동체를 통해 새로운 영감의 원천 발견, 새로운 지식의 조합, 새로운 파트너십 구축, 새로운 형태의 전문지식이나 기술 생산, 새로운 벤처창업 등을 할 수 있다.
창조성과 장소가 밀접한 관계가 있는 이유는? 특히 창조적인 에이전트 (creative agents)인 예술가들은 창조성 창출을 통해 지역경제 재활성화와 지역발전에 영향을 끼치고 있다 (Markusen, 2006). 창조성과 장소는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할 수 있는데, 이는 특정 지역에 창조적인 상호작용과 버즈(buzz)가 발생할 수 있는 환경이 구축되어 있고(Drake, 2003), 특정 장소에서 발생하는 버즈는 혁신적이고 창조적인 산물을 창출하는데 기여할 수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Sunley et al., 2008).
인식공동체가 이루어지는 장소가 창출하는 효과는? , 2014). 이러한 특정 장소들에서 일시적 전시, 행사, 마켓 같은 프로젝트가 수행됨으로서 일시적인 모임(temporary gatherings)이 이루어지고, 이러한 일시적인 공간(temporary space)은 새로운 아이디어과 암묵적 지식을 전달하고 흡수할 수있는 지식생태계의 중요한 지식 플랫폼이 되며(Cohendet et al., 2010; Bathelt and Cohendet, 2014), 나아가 일시적인 근접성으로 새로운 상호작용이 촉진 되어 일시적인 클러스터(temporary cluster)를 형성할 수 있다(Glükler, 2007; Cohendetet al., 20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남기범.장원호, 2016, "성수동 수제화산업의 지역산업생태계의 구조와 발전방향: 지역산업생태계의 구성 요소와 특성," 국토지리학회지, 50(2), 197-211. 

  2. 박삼옥, 2006, "정보화와 정보기술이 공간구조에 미친 영향," 한국경제지리학회지, 6(1), 119-144. 

  3. 이병민, 2013, "창조경제시대 창조적 환경과 지역발전의 의미: 창조도시를 중심으로," 문화콘텐츠연구, (2), 7-31. 

  4. 이병민.남기범, 2016, "글로컬라이제이션과 지역발전을 위한 창조적 장소만들기," 대한지리학회지, 51(3), 421-439. 

  5. 이유리, 2016, "사회적경제조직의 네트워크 특성 및 지역 사회에의 영향 분석: 성수동 소셜벤처 밸리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이한나, 2014, "도시 공업지역의 문화활동 형성과 변화: 성수동 대림창고를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최병두, 2014, "창조도시와 창조계급,"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0(1), 49-69. 

  8. Amin, A., and Roberts, J., 2008, Knowing in action: Beyond communities of practice, Research Policy, 37: 353-369. 

  9. Barnes, J., 2001, Retheorizing economic geography: From the quantitative evolution to the 'cultural turn', Annals of the Association of American Geographers, 91(3), 546-565. 

  10. Bathelt, H., and Cohendet, P., 2014, The creation of knowledge: Local building, global accessing and economic development - toward an agenda, Journal of Economic Geography, 14(5), 869-882. 

  11. Boggs, J.S. and Rantisi, N.M., 2003, The 'relational turn' in economic geography, ournal of Economic Geography, 3(2), 109-116. 

  12. Cohendet, P, Grandadam, D., and Simon, L., 2010, The anatomy of the creativity city, Industry and Innovation, 17, 91-111. 

  13. Cohendet P., Grandadam D., and Simon L., 2011, Rethinking urban creativity: Lessons from Barcelona and Montreal, City, Culture, and Society, 2, 155-158. 

  14. Cohendet, P., Grandadam, D., and Simon, L., 2014, Epistemic communities, localization and the dynamics of knowledge creation, Journal of Economic Geography, 14(5), 929-954. 

  15. Cowan, R., David, P.A., and Foray, D., 2000, The explicit economics of knowledge codification and tacitness, Industrial and Corporate Change, 9, 211-253 

  16. Currid, E., 2007, How art and culture happen in New York: Implication for urban economic development, Journal of the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73(4), 454-467. 

  17. Drake, G., 2003, 'This place gives me space' place and creativity in the creative industries, Geoforum, 34, 511-524. 

  18. Florida, R., 2002, The rise of the creative class, Basic Book, New York. 

  19. Florida, R., 2008, Who's your city? How the creative economy in making where to live the most important decision of your life, Basic Book, New York. 

  20. Gertler, M., 2002, The undefinable tacitness of being (there): Tacit knowledge and the economic geography, Journal of Economic Geography, 7, 619-634 

  21. Gluckler, J., 2007, Economic geography and the evolution of networks, Journal of Economic Geography, 7(5), 619-634. 

  22. Gongla, P. and Rizzuto, C.R., 2001, Evolving communities of practice: IBM Global Service experience, Systems Journal, 40, 842-862. 

  23. Grandadam, D., Cohendet, P., and Simon, L., 2013, Places, spaces and the dynamics of creativity: The video game industry in Montreal, Regional Studies, 47, 1701-1714. 

  24. Haas, P., 1992, Introduction: Epistemic communities and international policy coordination, International Organization, 46(1), 1-37. 

  25. Jacobs, J., 1984, Cities and the wealth of nations: Principles of economic life, Random House. 

  26. Knorr-Cetina, K., 1999, Epistemic Culture: How the science make knowledge, Harvard University Press, Cambridge MA. 

  27. Landry, C., 2000, The creative city: A toolkit for urban Innovator, Routeledge, London. 

  28. Markusen, A., 2006, Urban development and the politics of a creative class: Evidence from a study of artists, Environment and Planning A, 38, 1921-1940. 

  29. Markusen, A., 2010, Creative placemaking, Markusen Economic Research Services Metris Arts Consulting. 

  30. Miles S., and Paddison, P., 2005, Introduction: the rise and rise of culture-led urban regeneration, Urban Studies, 42(5), 833-839. 

  31. Rantisi, N. M., Leslie, D., and Christopherson, S., 2006, Placing the creative economy: Scale, politics and the material, Environment and Planning A, 38, 1789-1797. 

  32. Sunley, P., Pinch, S., Reimer, S., and Macmillen, J., 2008, Innovation in a creative production system: the case of design, Journal of Economic Geography, 8(5), 675-698. 

  33. Yeung, H.W. 2005. Rethinking relational economic geography. Transactions of the Institute of British Geographers, 30, 37-51. 

  34. 성동구 통계정보시스템, http://st.sd.go.kr/st.do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