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재가 장기요양 서비스 이용과 노인 가족돌봄제공자의 돌봄 스트레스: 방문간호 서비스의 영향
Effects of Home Care Services Use by Older Adults on Family Caregiver Distres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6 no.6, 2016년, pp.836 - 847  

김지연 (이화여자대학교 간호대학) ,  김홍수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보건학과.노화고령사회연구소.보건환경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utilization of home care services under the national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and family caregiver distress. Methods: A secondary data analysis was conducted in this study using data collected in 2011 and 2012 from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하에 재가요양 서비스를 이용하는 노인의 가족돌봄제공자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방문간호 서비스 이용과 돌봄 스트레스의 관계를 파악하였다. 기존의 연구들과는 차별적으로 노인의 건강특성 및 돌봄 여건 등 다양한 스트레스 요인들과의 상호작용을 고려한 상태에서 방문간호를 중심으로 재가 장기요양 서비스의 이용이 가족의 돌봄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실증연구이다.
  • 그러나 방문간호 이용 수준이 노인의 건강상태를 개선하는 데 유의한 연관성을 나타낸다고 보고한 선행 연구 결과[26]를 고려했을 때, 방문간호 이용은 노인의 건강유지 및 개선에 도움을 주어 가족돌봄 제공자들의 노인 건강 문제 대처와 관련한 책임 및 부담감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완화시켜주는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방문간호 서비스 이용이 가족돌봄제공자의 돌봄 스트레스 여부 뿐 아니라 강도의 경감 효과를 가져올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는 기존의 장기요양서비스에 대한 단순 만족도 관련 질문과는 달리 본 연구의 종속변수가 돌봄 스트레스에 대한 다양한 측면을 파악하기 위한 구체적인 문항들로 측정되었다는 점과 매우 상세하고 다면적인 노인의 건강상태를 보정한 분석모델 하에서 방문간호와 돌봄 스트레스의 관계를 보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 본 연구는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하에 재가요양 서비스를 이용하는 노인의 가족돌봄제공자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방문간호 서비스 이용과 돌봄 스트레스의 관계를 파악하였다. 기존의 연구들과는 차별적으로 노인의 건강특성 및 돌봄 여건 등 다양한 스트레스 요인들과의 상호작용을 고려한 상태에서 방문간호를 중심으로 재가 장기요양 서비스의 이용이 가족의 돌봄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실증연구이다.
  • 본 연구는 위와 같은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장기요양보험제도 도입 이후 재가 장기요양 서비스를 이용하는 노인과 가족돌봄제공자를 대상으로 수집한 실증자료를 이용하여 이들의 방문간호 서비스를 중심으로 한 재가 장기요양 서비스 이용이 돌봄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탐색을 시도하여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또한 본 연구는 돌봄 스트레스 관련요인으로 2차 공공 자료원에 없는 다양한 측면의 노인의 건강 관련 변수들을 측정한 자료원을 이용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본 연구는 재가 장기요양급여 이용 노인들의 방문간호를 중심으로한 재가 장기요양 서비스 이용과 가족돌봄제공자의 돌봄 스트레스와의 관계를 파악하여, 향후 가족돌봄제공자의 돌봄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인 방문간호 서비스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는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재가 장기요양 서비스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방문간호 서비스 이용을 중심으로 한 재가 장기요양 서비스 이용과 노인 가족의 돌봄 스트레스의 관계를 노인의 포괄적 건강 특성 등을 포함한 다양한 스트레스 요인들의 상호작용을 고려하여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노인의 건강관리와 함께 가족돌봄제공자들의 돌봄 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완화하는데 기여하는 방문간호 서비스 개발 및 개발 방향 제시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재가 장기요양 서비스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방문간호 서비스 이용을 중심으로 한 재가 장기요양 서비스 이용과 노인 가족의 돌봄 스트레스의 관계를 노인의 포괄적 건강 특성 등을 포함한 다양한 스트레스 요인들의 상호작용을 고려하여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노인의 건강관리와 함께 가족돌봄제공자들의 돌봄 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완화하는데 기여하는 방문간호 서비스 개발 및 개발 방향 제시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족돌봄제공자의 역할은 무엇인가? 가족돌봄제공자는 노인의 기능상태, 중증도, 그리고 자신의 돌봄 역량 등을 고려하여 공식적 돌봄 서비스를 선택하고 조직 및 배치하는데 주요한 역할을 한다[2]. 즉, 가족돌봄제공자는 돌봄 주체로서의 역할 뿐 아니라 재가 장기요양 서비스의 이용형태와 지속성을 결정하는 서비스 이용자로서의 역할도 종종 하게 된다.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가 실시된 배경은 무엇인가? 2008년 도입된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는 고령이나 노인성 질환으로 일상생활 유지가 어려운 중증 노인에게 전문 요양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노인의 건강 증진과 더불어 가족의 돌봄 부담을 경감시키고자 실시되었다.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는 노인장기요양보험법 제3조에 따라 노인이 가능한 가정 내에서 가족과 함께 생활하며 지역사회 기반의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재가급여를 우선적으로 제공하는 것을 기본 원칙으로 하고 있다.
장기요양보호 대상 노인 가족들의 돌봄 부담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는 이유는 무엇인가? 최근 급속한 고령화로 노인성 질환이나 허약, 신체기능 장애 등으로 인한 의존성 노인인구가 증가하고 있다. 2014년 노인실태조사에 따르면, 일상생활수행능력과 도구적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대해 타인에 의존하는 노인은 전체 노인의 각각 6.9%와 17.8%에 이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1]. 이와 같은 추세에 따라 장기요양보호 대상 노인 가족들의 돌봄 부담에 대한 사회적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Chung KH, Oh YH, Kang EN, Kim JW, Sunwoo D, Oh MA, et al. A survey of Korean older persons.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n Institute of Health and Social Welfare, 2014. Report No.: Policy Report 2014-61. 

  2. Yang NJ, Choi IH. The impact of the Korean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on its family caregivers: Focusing on family caregiving arrangement.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2013; 44(3):31-56. http://dx.doi.org/10.16999/kasws.2013.44.3.31 

  3. Hirdes JP, Freeman S, Smith TF, Stolee P. Predictors of caregiver distress among palliative home care clients in Ontario: Evidence based on the interRAI palliative care. Palliative & Supportive Care. 2012;10(3):155-163. http://dx.doi.org/10.1017/s1478951511000824 

  4. Lee YK. Development of reward system for family carer in elderly long-term care insurance.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2010;165:96-104. 

  5. Han EJ, Kang IO, Kwon J. A study of determinants on institutionalization of elderly using home care services.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011;31(2):259-276. 

  6. Yaffe K, Fox P, Newcomer R, Sands L, Lindquist K, Dane K, et al. Patient and caregiver characteristics and nursing home placement in patients with dementia. JAMA: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002;287(16):2090-2097. http://dx.doi.org/10.1001/jama.287.16.2090 

  7. Bainbridge D, Krueger P, Lohfeld L, Brazil K. Stress processes in caring for an end-of-life family member: Application of a theoretical model. Aging & Mental Health. 2009;13(4):537-545. http://dx.doi.org/10.1080/13607860802607322 

  8. Kumamoto K, Arai Y, Zarit SH. Use of home care services effectively reduces feelings of burden among family caregivers of disabled elderly in Japan: Preliminary results.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2006;21(2):163-170. http://dx.doi.org/10.1002/gps.1445 

  9. Han EJ, Na YK, Lee JS, Kwon J. Factors to influence the family caregivers' burden with the community-dwelling elderly under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Comparison among sub-dimensions. Korea Social Policy Review. 2015;22(2):61-96. http://dx.doi.org/10.17000/kspr.22.2.201506.61 

  10.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014 long term care insurance statistical yearbook. Seoul: Author; 2015. 

  11. Moorman SM, Macdonald C. Medically complex home care and caregiver strain. The Gerontologist. 2013;53(3):407-417. http://dx.doi.org/10.1093/geront/gns067 

  12. Han EJ, Lee JM, Kwon JH, Shin SB, Lee JS. Factors related to family caregivers' burden with the community-dwelling disabled elderly under the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2014;24(1):71-84. http://dx.doi.org/10.4332/KJHPA.2014.24.1.71 

  13. Morris JN, Fries BE, Bernabei R, Steel K, Ikegami N, Carpenter I, et al. InterRAI home care (HC) assessment form and user's manual: Version 9.1. Kim H, translator. Washington, DC: Inter- RAI; 2009. 

  14. Kim H, Jung YI, Sung M, Lee JY, Yoon JY, Yoon JL. Reliability of the interRAI long term care facilities (LTCF) and interRAI home care (HC). Geriatrics & Gerontology International. 2015;15(2): 220-228. http://dx.doi.org/10.1111/ggi.12330 

  15. Pearlin LI, Mullan JT, Semple SJ, Skaff MM. Caregiving and the stress process: An overview of concepts and their measures. The Gerontologist. 1990;30(5):583-594. http://dx.doi.org/10.1093/geront/30.5.583 

  16. Han SJ, Lee S, Kim JY, Kim H. Factors associated with family caregiver burden for patients with dementia: A literature review.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2014;16(3):242-254. http://dx.doi.org/10.17079/jkgn.2014.16.3.242 

  17. Onder G, Finne-Soveri H, Soldato M, Liperoti R, Lattanzio F, Bernabei R, et al. Distress of caregivers of older adults receiving home care in European countries: Results from the aged in home care study. The American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2009;17(10): 899-906. http://dx.doi.org/10.1097/JGP.0b013e31 81b4beef 

  18. Soldato M, Liperoti R, Landi F, Carpenter IG, Bernabei R, Onder G. Patient depression and caregiver attitudes: Results from the aged in home care study.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2008; 106(1-2):107-115. http://dx.doi.org/10.1016/j.jad.2007.05.029 

  19. Choi IH, Kim EJ, Chung SY, Yang NJ. The impact of the Korean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on the beneficiaries and their family caregivers: Focusing on quality of life and family relationships. Seoul: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2011. p. 1-283. 

  20. Burrows AB, Morris JN, Simon SE, Hirdes JP, Phillips C. Development of a minimum data set-based depression rating scale for use in nursing homes. Age and Ageing. 2000;29(2):165-172. http://dx.doi.org/10.1093/ageing/29.2.165 

  21. Morris JN, Fries BE, Mehr DR, Hawes C, Phillips C, Mor V, et al. MDS cognitive performance scale. Journal of Gerontology. 1994;49 (4):M174-M182. http://dx.doi.org/10.1093/geronj/49.4.M174 

  22.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The impact of caring on family carers. In: Colombo F, Llena-Nozal A, Mercier J, Tjadens F, editors. Help Wanted?: Providing and paying for long-term care. Paris, FR: OECD Publishing; 2011. p. 85-120. 

  23. Nahm CH. Sample selection biases in sociological studies. Korean Journal of Sociology. 1998;32:99-136. 

  24. Arai Y, Kumamoto K, Washio M, Ueda T, Miura H, Kudo K. Factors related to feelings of burden among caregivers looking after impaired elderly in Japan under the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Psychiatry and Clinical Neurosciences. 2004;58(4):396-402. http://dx.doi.org/10.1111/j.1440-1819.2004.01274.x 

  25.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012 long term care insurance statistical yearbook. Seoul: Author; 2013. 

  26. Riggs JS, Madigan EA, Fortinsky RH. Home health care nursing visit intensity and heart failure patient outcomes. Home Health Care Management & Practice. 2011;23(6):412-420. http://dx.doi.org/10.1177/1084822311405456 

  27. Lim JY, Kim EJ, Choi KW, Lee JS, Noh WJ. Analysis of barriers and activating factors of visiting nursing in long-term care insurance.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2; 12(8):283-299. http://dx.doi.org/10.5392/JKCA.2012.12.08.283 

  28. Lee JS, Hwang RI, Han EJ. Trends in home-visit nursing care by agencies' characteristics under the national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012;23(4):415-426. http://dx.doi.org/10.12799/jkachn.2012.23.4.415 

  29. Cho E, Cho E, Kim SS. Effects of family relationship on burden of family caregivers of older adult with dementia.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010;30(2):421-437. 

  30. Rinaldi P, Spazzafumo L, Mastriforti R, Mattioli P, Marvardi M, Polidori MC, et al. Predictors of high level of burden and distress in caregivers of demented patients: Results of an Italian multicenter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2005;20(2): 168-174. http://dx.doi.org/10.1002/gps.126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