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취약계층 노인의 연령별 허약정도와 관련 요인
Frailty and its related Factors in Vulnerable Elderly Population by Age Group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6 no.6, 2016년, pp.848 - 857  

박은옥 (제주대학교 간호대학) ,  유미 (경상대학교 간호대학.건강과학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factors affecting frailty by age groups among vulnerable elders in Korea. Methods: In this secondary analysis, data were collected from records for 22,868 elders registered in the Visiting Health Management program of Public Health Centers in 2012. Health be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즉 노인은 연령이 증가할수록 여러 가지 전신적 기능의 감소 즉 허약정도가 심해짐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특히 본 연구에서 85세 이상의 고령자는 응답자 중 약 10% 정도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들은 60대 노인에 비해 허약정도가 높고 추후 장기요 양상태에 빠질 우려가 있는[4] 허약 고령자이다. 따라서, 노인의 허약관리는 연령에 따른 접근과 증가되는 고령의 노인에 대한 관리에도 관심을 가져야 하며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연령별 허약 관련 요인을 파악함으로 좀 더 체계적인 관리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2012년 보건소 방문건강관리사업 전산정보시스템에 입력된 자료를 이차분석한 연구로, 자료 수집 시 각 보건소 방문건강 관리사업을 수행하는 간호사가 방문건강관리 서비스에 대해 설명하고 서비스 참여 및 개인정보처리에 대해 대상자의 서면동의를 받은후 등록 관리하였고, 방문건강관리사업 조사표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방문간호사가 보건소 전산정보시스템에 자료를 입력하였다. 본연구는 한국건강증진개발원을 통해 원시자료를 제공받았으며, 제주대학교 생명윤리위원회로부터 심의면제를 받았다(JNU -IRB -2015- 006).
  • 본 연구는 보건소의 방문건강관리사업에 등록된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연령집단별 대상자 특성에 따라 우울, 인지기능, 허약 정도를 파악하고, 노인의 연령집단별 허약 관련요인을 분석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본 연구는 연령집단별 노인의 허약정도에 관련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일 지역 보건소 방문건강관리사업에 등록된 노인을 대상으로 조사된 자료를 이차분석한 서술적 탐색연구이다.
  • 특히 허약 고령자는 건강정책의 사각지대에 놓인 계층으로 일반 노인 계층과는 다르게 활동이 원활하지 못하여 사회적 접촉이 저조하고, 질병상태가 불안정하여 병의원을 수시로 방문하는 계층이지만 이들을 대상으로 한 건강관리는 질병치료 이외에 대책이 부재한 상태이다[16]. 이에 본 연구는 전국단위로 실시된 방문건강관리사업의 자료를 이용하여 노인인구비율이 많은 지역 노인들의 허약에의 관련요인을 연령집단별로 분석함으로 허약단계 노인의 체계적 건강관리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취약계층 노인을 대상으로 연령 집단에 따라 건강행위, 질병 특성, 우울 및 인지기능이 허약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파악하여 연령별로 허약 예방 및 관리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건강한 고령자가 허약으로 인한 장애발생을 사전에 예방하고 자립성을 유지시키는 것이 가능한 이유는? 물론 연령에 따라 노화과정이 진행되면서 여러 기관의 기능이 점차 감소하고 생물학적 예비능이 일정 수준 이하로 저하되었을 경우 허약이 발생하지만, 모든 노인이 허약 상태에 있지는 않으며[15], 질환의 증가와도 관련이 있지만 기능적 제한은 질병의 이환과 관련되지 않을 수 있다. 허약은 성공적 노화와 병리적 노화의 중간단계로써 병리적인 상태로 진행되기 전 회복가능성이 있는 단계이고 자신의 능동적 노력에 따라 충분히 가역적인 특징이 있다[12,15]. 따라 서, 허약한 노인에게는 기능하락을 억제시키며 회복력과 신체기능을 향상시키고, 건강한 고령자에 대해서는 허약으로 인한 장애발생을 사전에 예방하고 자립성을 유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16].
허약이란 무엇인가? 허약은 신체기능, 심리인지기능, 사회기능, 질병 등을 포함하는 다차원적 개념으로[4], 복합유병, 정신사회적 특성, 건강습관과는 독립적으로 장애발생 또는 진행을 예측하며[5], 의존성이 높아져 독립적인 일상생활수행이 어려운 상태로 이어질 수 있는 상태이다[6]. 특히 노인의 경우 연령이 증가할수록 허약정도는 더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고[4], 허약으로 인해 낙상 위험의 증가, 병원 입원과 사망 등 부정적 건강 결과가 초래되므로[7], 노인의 허약의 관련 요인을 분석하고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노인 허약은 무엇과 관련이 있는가? 노인 허약은 연령이 많을 경우, 여성인 경우[6,8-12], 사회적으로 취약한 경우[12], 저체중인 경우, 만성질환이 있는 경우, 일상생활능력에 문제가 있는 경우[10], 우울[8,10], 치매와 같은 인지기능저하가 있는 경우[8] 등과 관련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특히 연령에 따라 허약 유병률이 다르고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는 데, 중국의 55세 이상 노인 10,039명을 대상으로 연령에 따라 55~64세, 65~74세, 75~84세, 85세 이상의 4개 군으로 구분하여 허약 발생률을 비교한 Zheng 등[13]의 연구에 의하면 55~64세군의 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Statistics Korea. Percentage of elderly population [Internet]. Daejeon: Author; 2016 [cited 2016 February 16]. Available from: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YL0201&conn_pathI2. 

  2. Min J. Effect of social engagement on self-rated health trajectory among Korean older adults.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2013;33(4):105-123. http://dx.doi.org/10.15709/hswr.2013.33.4.105 

  3. Kim JI. Levels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EQ-5D) and its related factors among vulnerable elders receiving home visiting health care services in some rural area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013;24(1):99-109. http://dx.doi.org/10.12799/jkachn.2013.24.1.99 

  4. Lee I, Park YI, Park E, Lee SH, Jeong IS. Validation of instruments to classify the frailty of the elderly in communit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011;22(3):302-314. http://dx.doi.org/10.12799/jkachn.2011.22.3.302 

  5. Whitson HE, Purser JL, Cohen HJ. Frailty thy name is ... Phrailty?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A Biological Sciences and Medical Sciences. 2007;62(7):728-730. http://dx.doi.org/10.1093/gerona/62.7.728 

  6. Fried LP, Tangen CM, Walston J, Newman AB, Hirsch C, Gottdiener J, et al. Frailty in older adults: Evidence for a phenotype.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A Biological Sciences and Medical Sciences. 2001;56(3):M146-M156. http://dx.doi.org/10.1093/gerona/56.3.M146 

  7. Morley JE, Haren MT, Rolland Y, Kim MJ. Frailty. The Medical clinics of North America. 2006;90(5):837-847. http://dx.doi.org/10.1016/j.mcna.2006.05.019 

  8. Ministry of Health & Welfare, Korea Health Promotion Foundation. 2012 Yearbook of home visiting health care. Seoul: Author; 2013. 

  9. Levers MJ, Estabrooks CA, Ross Kerr JC. Factors contributing to frailty: Literature review.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06; 56(3):282-291. http://dx.doi.org/10.1111/j.1365-2648.2006.04021.x 

  10. Park JK, Kim SL. Factors affecting the elderly’ frailty among the vulnerable social group.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014;34(3):441-456. 

  11. St. John PD, Tyas SL, Montgomery PR. Depressive symptoms and frailty.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2013;28 (6):607-614. http://dx.doi.org/10.1002/gps.3866 

  12. Yang F, Gu D, Mitnitski A. Frailty and life satisfaction in Shanghai older adults: The roles of age and social vulnerability. Archives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2016;67:68-73. http://dx.doi.org/10. 1016/j.archger.2016.07.001 

  13. Zheng Z, Guan S, Ding H, Wang Z, Zhang J, Zhao J, et al. Prevalence and incidence of frailty in community-dwelling older people: Beijing longitudinal study of aging II.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2016;64(6):1281-1286. http://dx.doi.org/10.1111/jgs.14135 

  14. Gu D, Dupre ME, Sautter J, Zhu H, Liu Y, Yi Z. Frailty and mortality among Chinese at advanced ages.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B Psychological Sciences and Social Sciences. 2009;64 (2):279-289. http://dx.doi.org/10.1093/geronb/gbn009 

  15. Park BJ, Lee YJ. Integrative approach to elderly frailty.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2010;31(10):747-754. http://dx.doi.org/10.4082/kjfm.2010.31.10.747 

  16. Sunwoo D, Oh YH, Lee SH, Oh JS, Lee SG. The future policy issues for health of the elderly: Construction of functional independence promotion system of everyday living activity. Seoul: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09. Report No.: Research 2009-22. 

  17. Buchman AS, Boyle PA, Wilson RS, Tang Y, Bennett DA. Frailty is associated with incident Alzheimer's disease and cognitive decline in the elderly. Psychosomatic Medicine. 2007;69(5):483-489. http://dx.doi.org/10.1097/psy.0b013e318068de1d 

  18. Burke KE, Schnittger R, O'Dea B, Buckley V, Wherton JP, Lawlor BA. Factors associated with perceived health in older adult Irish population. Aging & Mental Health. 2012;16(3):288-295. http://dx.doi.org/10.1080/13607863.2011.628976 

  19. Fried LP, Ferrucci L, Darer J, Williamson JD, Anderson G. Untangling the concepts of disability, frailty, and comorbidity: Implications for improved targeting and care.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A Biological Sciences and Medical Sciences. 2004;59(3) :255-263. 

  20. Yesavage JA, Sheikh JI. 9/Geriatric depression scale (GDS): Recent evidence and development of a shorter version. Clinical Gerontologist. 1986;5(1-2):165-173. http://dx.doi.org/10.1300/J018v05n01_09 

  21. Kee BS. A preliminary study for the standardization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short form-Korea version.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1996;35(2):298-307. 

  22. Imai Y, Hasegawa K. The revised Hasegawa’s dementia scale (HDS-R): Evaluation of its usefulness as a screening test for dementia. Journal of the Hong Kong College of Psychiatrists. 1994;4 (2):20-24. 

  23. Yang DW, Kim BS, Shim DS, Chung SW, Lee KS, Han SH, et al.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revised form of hasegawa dementia scale (K-HDS). Journal of the Korean Neurological Association. 2004;22(4):315-321. 

  24. Djernes JK. Prevalence and predictors of depression in populations of elderly: A review. Acta Psychiatrica Scandinavica. 2006;113(5): 372-387. http://dx.doi.org/10.1111/j.1600-0447.2006. 00770.x 

  25. Lee G, Ma RW. A study on the perceived health status among the elderly in local communities.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013;33(4):881-893. 

  26. Birditt KS. Age differences in emotional reactions to daily negative social encounters.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B Psychological Sciences and Social Sciences. 2014;69(4):557-566. http://dx.doi.org/10.1093/geronb/gbt045 

  27. Kim HR.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osteoarthritis among women and men elderly people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013;33(4):805-820. 

  28. Chimeddamba O, Peeters A, Walls HL, Joyce C. Noncommunicable disease prevention and control in Mongolia: A policy analysis. BMC Public Health. 2015;15:660. http://dx.doi.org/10.1186/s12889-015-2040-7 

  29. Kramer AF, Erickson KI, Colcombe SJ. Exercise, cognition, and the aging brain.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2006;101(4):1237- 1242. http://dx.doi.org/10.1152/japplphysiol.00500.2006 

  30. Lee Y, Lee YS, Han A, Kim SY. Effects of silverobics exercise on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s, bone mineral density and living fitness of elderly women. The Korean Journal of Sports Science. 2012;21(1):1155-116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