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성인의 식품안정성과 우울증 연관성
Association of food insecurity and depression in Korean adult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7 no.1, 2016년, pp.62 - 71  

이고운 (수원여자대학교 간호학과) ,  유혜숙 (수원여자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식품 불안정성(Food insecurity)은 불건강과 연관성이 있다. 특히 식품 불안정성은 우울증, 우울감 등 정신건강의 문제를 야기한다고 알려져 왔다. 본 연구는 대한민국 성인의 식품 불안정성 상태를 파악하고 식품 안정성 구분에 따른 정신건강과의 연관성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 그 목적이다. 연구 대상자는 2013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성인 5,68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변수로 우울감과 우울증을 선정하였으며 우울감은 최근 1년 내 2주 이상 우울감이 있는 경우로 정의하였고 우울증은 평생 우울증 진단 여부로 정의하였다. 빈도, 평균 값을 산출하였고, 다변량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사용하여 식품불안정성과 우울감, 우울증의 관련성을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 식품 불안정성은 고 연령, 사회경제적 수준이 낮은 집단에서 유의하게 높은 빈도를 보였다. 전체 대상자의 3.8%가 우울증, 11.3%가 우울감을 호소하였다. 식품 불안정성은 비 보정모델, 성-연령 보정 모델에서 우울감, 우울증을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혼란변수를 보정한 최종 모델에서 식품 불안정성 그룹은 식품 안정성을 확보한 그룹에 비하여 우울증이 3.49배, 우울감이 3.7배 증가하였다. 식품 불안정성 초기 그룹은 최종 모델에서 우울감에서만 1.69배 증가 결과를 보였다. 연구 결과 한국 성인의 식품 불안정성과 우울감, 우울증의 유의한 증가를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식품불안정성을 감소시키고 이로 인한 불건강을 해소하기 위하여 중재프로그램을 실시할 때 영양, 건강프로그램의 단순 접근이 아니라 영양, 건강증진팀 및 식품의 안정적 수급을 위한 정책적 지원까지 다학제적 접근이 반드시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ood insecurity is associated with poor health outcomes. In particular, previous studies marked the adverse outcomes on mental health. This study examined the association of food insecurity and mental health in Korean adults using the data from the 2013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전 국민의 대표성을 지닌 표본조사인 2013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노인이나 저소득층 등 한정된 인구집단이 아닌 우리나라 전체 성인의 식품 안정성을 파악하고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식품의 안정성 정도 차이, 건강상태와 건강행태에 따른 식품 안정성 정도의 차이, 식품안정성에 따른 우울감과 우울증의 관련성을 확인하고자 시도하였다. 특히 2013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처음으로 식품 안정성을 18문항의 포괄적인 문항으로 조사한 자료를 활용할 것이므로 그 의의가 있다.
  • 따라서 본 연구 결과 신체활동과 비만에서 유의한 결과를 얻지 못하였지만 이는 단면연구의 한계로 그 과정을 밝혀내지 못할 수 있으므로 식품 안정성의 신체활동 감소 및 비만의 위험성에 대해서는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주목할 결과는 식품 불안정성과 정신건강과의 관련성이다. 우울증 진단을 받은 경험이 있는 대상자는 전체 대상자의 3.
  • 이에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통하여 우리나라 국민의 식품 안정성 상태에 대해 산출하였으며 주요 건강 결과와 비교한 결과를 산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구 결과 식품안정성에 인구학적 차이가 존재하며 식품 안정성 미확보 시 우울감과 우울증의 위험을 높여 건강의 위험을 준다는 것을 파악했다.
  • 하지만 여전히 식품 불안정성을 가지고 있으며 양적, 질적 영양불량과 이로 인한 건강문제의 위험 및 건강문제를 가진 사람들이 존재한다. 이에 본 연구는 우리나라 국민의 포괄적 식품 안정성 현황 파악과 식품 안정성 구분에 따르는 건강결과를 파악하고자 전 국민의 대표성을 지닌 표본조사인 국민건강영양조사를 활용하여 성인 자료를 분석한 단면연구이다.
  •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성인의 식품 안정성 현황을 확인하고 건강영향에 대해 조사하며 구체적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품 불안정성은 무엇인가? 다시 말해 항상 풍부한 식품이 물리적, 사회적, 경제적으로 확보되며 배고픔이 없는 상태로 정의할 수 있다. 이에 반해 식품 불안정성(Food insecurity)은 식품의 유용성, 접근성 및 이용성이 제한된 것으로, 경제적으로 충분하거나 적절한 영양자원을 확보 하지 못한 사람들이 배고픔을 경험하게 되는 것을 지칭한다[4].
우리나라의 사회 양극화로 인한 섭취 식품의 안정성 확보의 문제가 심화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통계 내용은 무엇인가? 우리나라도 사회가 발전하면서 임상적인 영양불량 (mal-nutrition)은 극히 드물어졌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사회 양극화로 인한 섭취 식품의 안정성 확보의 문제가 심화되고 있다[1]. 2007년 통계청에서 실시한 사회통계 조사에 의하면, 초등학생 100명 중 1명이 가정의 생활고로 인하여 식품 안정성의 이용성 측면을 나타내는 결식을 하였거나 결식할 상황에 처한 적이 있으며, 월 가구소득 100만원 미만인 저소득층에서 결식경험 아동은 5.4%에 이르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10]. 2011년 보건복지부 조사 결과 우리나라의 식품 안정성 확보는 전체 92.0%였으나 소득수준으로 나뉘면 하위 25%는 80.7%로 상위 25%의 99.5%와 큰 차이를 보였다[11]. 2013년 국민건강영양조사의 결과에 따르면 전체 대상자의 6.5%가 식품안정성을 확보하지 못하였다고 보고되었으나[12], 노인을 대상으로 하였을 때 식품 불안정성은 14.3%로 높게 났다[13].
식품의 안정성은 무엇인가? 식품의 안정성(food security)은 가구 구성원의 건강한 삶을 위하여 안전하고 충분한 식품의 확보가 가능한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식품의 유용성(availability), 접근성(accessibility) 및 이용성(utilization)을 모두 포괄하는 포괄적 접근이다[4,5]. 다시 말해 항상 풍부한 식품이 물리적, 사회적, 경제적으로 확보되며 배고픔이 없는 상태로 정의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K. R. Kim, S. A. Hong, M. K. Kim, "Nutrition status and food insufficiency of korean population through the life-course by education level based on 2005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41, No.7, PP.667-681, 2008. 

  2.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The state of food insecurity in the wold 2001. Rome, Italy: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in the United Nations, 2002. 

  3. K. L Radimer, "Measurement of household food security in the USA and other industrialized countries", Public health nutrition, Vol.5, No.6, PP.859-864, 2002. 

  4. S. A. Anderson, "Core indicators of nutritional state for difficult-to-sample population", Journal of Nutrition, Vol.120, PP.1559-1599, 1990. 

  5. K. R. Kim, M. K. Kim, Y. J. Shin, " The concept and measurement of food security", J Prev Med Public Health, Vol.41, No.6, PP. 387-396, 2008. 

  6. World declaration and plan of action for nutrition International Conference on Nutrition (ICN) Authors: Food and Agricultural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FAO),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International Conference on Nutrition (IC N), Rome, December 1992. 

  7. M. Nord, N. Kabbani, L. Tiehen, M. Andrews, G. Bickel, S. Carlson, Household food security in the United States, 2000, Food and Rural Economic Division Economic Research Service,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Food Assistance and Nutrition Research Report, 2002. 

  8. D. Herman, P, Afulani, A. Coleman-Jonsen, G. G. Harison, "Food insecurity and cost-related medication under use among non elderly adult in a nationally representative sample",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Vol.105, No.10, PP.48-59, 2015. DOI: http://dx.doi.org/10.2105/AJPH.2015.302712 

  9. V. Tarasuk, A. Mitchell, N. Dachner, Household Food Insecurity in Canada, 2012. Research to identify policy options to reduce food insecurity (PROOF). Toronto, ON, 2014. Available From: http://nutritionalsciences.lamp.utoronto.ca/wp-content/uploads/2014/01/food insecurity 2011_final.pdf (accessed Nov., 9, 2014). 

  10. Koeram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http://kosis.kr/statisticsList/statisticsList_01List.jsp?vwcdMT_ZTITLE&statisticsList/statisticsList_01Li st.jsp?vwcdMT_ZTITLE&parmTabIdM_01_01#SubCont. (assessed Dec., 18, 2007) 

  11. Korea Health Statistics 2010,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1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Center of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0. National Health Statistics,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Available From: http://www.cdc.go.kr/CDC/CdcKrInfo0301.jsp?menuIdsHOME001-MNU1132-MNU1138-MNU0037-MNU1380&cid12434. (assessed Mar., 19, 2010) 

  13. Y. J. Yang,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nutrient intakes and mental health status of older korean adults depending on household food security: Based on he 200-2010 korea national examination survey",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ol.20, No.1, PP.30-40, 2015. 

  14. K. J. Brunst, R. O. Wright, K. Digioia, M. B. Enlow, H. Fernandez, R. J. Wright, S. Kannan, "Racial/ethnic and socio-demographic factors associated with micronutrient intakes and inadequacies among pregnant women in an urban US population", Public health nutrition, Vol.17, No.9, PP.1960-1970, 2013. DOI: http://dx.doi.org/10.1017/S1368980013003224 

  15. W. R. Dean, J. R. Sharkey, "Food insecurity, social capital and perceived personal disparity in a predominantly rural region of Texas: An individual - level analysis", Social Science & Medicine, Vol.72, No.9, PP.1454-1462, 2011. 

  16. Z. M. Shariff, N. Sulaiman, R. A. Jalil, W. C. Yen, Y. H. Yaw, M. N. Taib, M. Kandiah, K. G. Lin, "Food insecurity and the metabolic syndrome among women from low income communities in Malaysia", Asia Pacific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Vol.23, No.1, PP.138-147, 2014. DOI: http://dx.doi.org/10.6133/apjcn.2014.23.1.05 

  17. M. M. Patton-Lopez, D. F. Lopez-Cevallos, D. I. Cancel-Tirado, L. Vazquez, "Prevalence and correlates of food insecurity among students attending a midsize rural university in Oregon", Journal of Nutrition Education and Behavior, Vol.46, No.3, PP.209-214, 2014. DOI: http://dx.doi.org/10.1016/j.jneb.2013.10.007 

  18. A. Gholami, T. R. Sani, M. Askari, Z. M. Jahromi, A. Dehgan, "A food insecurity status and associated factors among rural households in north east of Iran", International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Vol.4, No.9, PP.1018-1024, 2013. 

  19. V. Tarasuk, A. Mitchell, L. Mclaren, L. Mclntyre L, "Chronic physical and mental health conditions among adults may increase vulnerability to household food insecurity", Journal of Nutrition, Vol.143, No.11, PP.1785-1793, 2013. DOI: http://dx.doi.org/10.3945/ jn.113.178483 

  20. S. I. Kirkpatrick, V. Tarasuk, "Food insecurity is associated with nutrient inadequacies among Canadian adults and adolescents", Journal of nutrition, Vol.138, No.3, PP.604-612, 2008. 

  21. C. A. Okechukwu, A. M. EI Ayadi, S. L. Tamers, E. L. Sabbath, L. Berkman, "Household food insufficiency, financial strain, work-family spillover, and depressive symptoms in the working class: The work, family, and health network study",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Vol.102, No.1, PP.126-133, 2012. DOI: http://dx.doi.org/10.2105/AJPH.2011.300323 

  22. H. K. Seligman, B. A. Laraia, M. B. Kushel, "Food insecurity is associated with chronic disease among low-income NHANES participants", Journal of nutrition, Vol.140, No.2, PP.304-310, 2010. DOI: http://dx.doi.org/10.3945%2Fjn.109.112573 

  23. M. S. Townsend, J. Peerson, B. Love, C. Achterberg, S. P. Murphy, "Food insecurity is positively related to overweight in women", Journal of nutrition, Vol.131, No.6, PP.1738-1745, 2001. 

  24. Q. G. To, E. A. Frongillo, D. Gallegos, J. B. Moore, "Household food insecurity is associated with less physical activity among children and adults in the U.S. population", Journal of Nutrition, Vol.44, No.11, PP.1797-1802, 2014. DOI: http://dx.doi.org/10.3945/jn.114.198184 

  25. R. C. Whitaker, S. M. Phillips, S. M. Orzol, "Food insecurity and the risks of depression and anxiety in mothers and behavior problems in their preschool-aged children", Pediatrics, Vol.18, No.3, PP.859-868, 2006. 

  26. K. Kim, E. A. Frongillo, "Participation in food assistance programs modifies the relation of food insecurity with weight and depression in elders", Journal of Nutrition, Vol.137, No.4, PP.1005-1010, 2007 

  27. A. C. Tsai, D. R. Bangsberg, E. A. Frongillo, P. W. Hunt, C. Muzoora, J. N. Martin, S. D. Weiser, "Food insecurity, depression and the modifying role of social support among people living with HIV/AIDS in rural Uganda", Social Science & Medicine, Vol.74, No.12, PP.2012-2019, 2012. DOI: http://dx.doi.org/10.1016/j.socscimed.2012.02.033 

  28. C. W. Leung, E. S. Epel, W. C. Willett, E. B. Rimm, B. A. Laraia, "Household food insecurity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depression among low-income supplemental nutrition assistance program participants and income-eligible non participants", Journal of nutrition, Vol.145, No.3, PP.622-627, 2015. DOI: http://dx.doi.org/10.3945/jn.114.199414 

  29. K. R. Kim, M. K. Kim, Y. J. Shin, "Household food insecurity and its characteristics in korea", Health and Social Studies, Vol.29, No.2, PP.268-292, 2009. DOI: http://dx.doi.org/10.15709/hswr.2009.29.2.268 

  30. J. S. Choe, S. M. Ji, Y. H. Park, "The association of household food insecurity with socioeconomics status, food behaviors, health status and nutrient intake in the elderly in rural areas", The Korean Society of Community Living Science, Vol.20, No.1, PP.19-32, 2009. 

  31. Korea Health Statistics 2012: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KNHANES IV-3). 

  32. K. Kim, S. A. Hong, S. O. Kwon, B. Y. Choi, G. Y. Kim, S. Y. Oh,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food security measure",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ol.16, No.6, PP.771-781, 2011. 

  33. G. Bickel, M. Nord, C. Price, W. Hamilton, J. Cook, Guide to measuring household food security. Alexandria (VA): Food and Nutrition Service,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2000. 

  34. D. H. Chae, J. H. Yun, S. M. Lee, "Relations of whole grain consumption with predisposing reinforcing, and enabling factors among korean adults", Journal of the korean dietetic association, Vol.20, No.2, PP.133-148, 2014. 

  35.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Children's meals establishing standard operating guidelines, 2005. Available From: http://www.mohw.go.kr/front_new/jb/sjb030301ls.jsp?PAR_MENU_ID03&MENU_ID0320. (assessed Jan., 28, 2005) 

  36.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Maternal and infant nutrition supplement business, 2008. Available From: http://www.mohw.go.kr/front_new/jb/sjb030301ls.jsp? PAR_MENU_ID03&MENU_ID0320. (assessed Jan., 16, 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