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노인의 식품불안정성 및 관련 요인: 2013년 국민건강영양조사자료
Food Insecurity and Related Risk Factors in the Elderly: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3 Data 원문보기

대한영양사협회 학술지 = Journal of the Korean dietetic association, v.21 no.4, 2015년, pp.308 - 319  

이혜상 (안동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food insecurity in the Korean elderly aged over 65 years using data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3 (KNHANES VI). A total of 1,200 subjects were analyzed among the participants of the KNHANES 2013...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가장 최근에 공개된 2013년 제6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기초로 식품에 대한 유용성, 접근성, 이용성 측면이 반영된 가구 기반의 식품불안정성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식품안정성 취약계층인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식품불안정의 비율을 측정하고, 식품불안정과 건강 관련 생활습관, 만성질환, 정신건강, 영양소 섭취상태와의 관련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노인의 식품 지원 사업에 대한 요구도 및 식품불안정성 예방을 위한 사업의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2013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의 65세 이상 자료를 사용하여 식품불안정성 발생률을 조사하고, 식품불안정성 발생과 건강관련 생활습관, 만성질환, 정신건강, 영양소 섭취상태와의 관련성을 복합표본 분석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품안정성이란? 식품안정성은 식품에 대한 유용성, 접근성, 이용성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람이 활기차고 건강한 삶을 영위하기 위하여 충분하고 안전한 양질의 식품을 사회 심리적으로 수용 가능한 방법으로 항상 확보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Kim 등 2011b; Bernal등 2014).
식품불안정 상태에 있는 사람에 대한 연구 결과는? 식품불안정 상태에 있는 사람은 만성질환, 정신건강, 육체적 활동제한 가능성이 더 높고(Vozoris & Tarasuk 2003; Laraia 등 2009; Yang 2015), 영양소섭취도 낮고 섭취 식품의 다양성도 낮다(Shim 등 2008; Yang 2015). 노인의 경우에도 식품불안정으로 인한 영양실조가 만성질환의 위험성을 높일 뿐 아니라 일상 활동 능력에도 영향을 준다(Wellman 등 1997; Lee & Frongillo 2001).
노인의 식품불안정성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필요한 이유는? 식품불안정 상태에 있는 사람은 만성질환, 정신건강, 육체적 활동제한 가능성이 더 높고(Vozoris & Tarasuk 2003; Laraia 등 2009; Yang 2015), 영양소섭취도 낮고 섭취 식품의 다양성도 낮다(Shim 등 2008; Yang 2015). 노인의 경우에도 식품불안정으로 인한 영양실조가 만성질환의 위험성을 높일 뿐 아니라 일상 활동 능력에도 영향을 준다(Wellman 등 1997; Lee & Frongillo 2001). 한편 Shim 등(2008)의 보고에 의하면 2005년도 우리나라 식품불안정성(중간 정도 혹은 심각한 식품 불충분) 비율은 9.7%였고, 10∼19세 아동은 10.4%, 65세 이상 노인은 19.8% 라고 한다. 이와 같이 노인은 다른 연령에 비해 식품불안정 가능성이 높으므로 노인의 식품불안정성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필요하다(Kim 등 2008a; Shim 등 2008; Kim 등 2011c).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Bernal J, Frongillo EA, Herrera HA, Rivera JA (2014): Food insecurity in children but not in their mothers is associated with altered activities, school absenteeism, and stunting. J Nutr 144(10):1619-1626 

  2. Chun IA, Ryu SY, Park J, Ro HK, Han MA (2015): Associations between food insecurity and healthy behaviors among Korean adults. Nutr Res Pract 9(4):425-432 

  3. Dinour LM, Bergen D, Yeh MC (2007): The food insecurityobesity paradox: a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the role food stamps may play. J Am Diet Assoc 107(11):1952-1961 

  4. Keenan DP, Olson C, Hersey JC, Parmer SM (2001): Measures of food insecurity/security. J Nutr Educ 33 Suppl 1:S49-S58 

  5. Kim K, Frongillo EA (2007): Participation in food assistance programs modifies the relation of food insecurity with weight and depression in elders. J Nutr 137(4):1005-1010 

  6. Kim K, Hong SA, Kim MK (2008a): Nutritional status and food insufficiency of Korean population through the life-course by education level based on 2005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Korean J Nutr 41(7):667-681 

  7. Kim K, Hong SA, Kwon SO, Choi BY, Kim GY, Oh SY (2011a): Validation of food security measures for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orean J Community Nutr 16(6):771-781 

  8. Kim K, Hong SA, Kwon SO, Oh SY (2011b): Development of food security measures for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orean J Nutr 44(6):551-561 

  9. Kim K, Kim MK (2009):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food security measure. Korean J Nutr 42(4):374-385 

  10. Kim K, Kim MK, Shin YJ (2008b): The concept and measurement of food security. J Prev Med Public Health 41(6): 387-396 

  11. Kim K, Kim MK, Shin YJ, Lee SS (2011c): Factors related to household food insecurity in the Republic of Korea. Public Health Nutr 14(6):1080-1087 

  12. Kim HJ, Park K (2011): Egg consumption and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adults: based on 2007-2008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orean J Community Nutr 16(3):364-374 

  13. Kwon SO, Oh SY (2007): Associations of household food insecurity with socioeconomic measures, health status and nutrient intake in low income elderly. Korean J Nutr 40(8): 762-768 

  14. Laraia BA, Borja JB, Bentley ME (2009): Grandmothers, fathers, and depressive symptoms are associated with food insecurity among low-income first-time African-American mothers in North Carolina. J Am Diet Assoc 109(6):1042-1047 

  15. Loopstra R, Tarasuk V (2013): Severity of household food insecurity is sensitive to change in household income and employment status among low-income families. J Nutr 143(8): 1316-1323 

  16. Lee CJ, Joung HJ (2012): Milk intake is associated with metabolic syndrome -using data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7-2010. Korean J Community Nutr 17(6):795-804 

  17. Lee HS (2014): Prevalence of osteoarthritis and related risk factors in the elderly: data from the fif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 2010-2012. J Korean Diet Assoc 20(2):99-109 

  18. Lee JS, Frongillo EA Jr (2001): Factors associated with food insecurity among U.S. elderly persons: importance of functional impairments. J Gerontol B Psychol Sci Soc Sci 56(2): S94-S99 

  19.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tatistical year book 2014. Available from: http:// www. mw.go.kr Accessed March 18, 2015 

  20. Oh SW (2011): Obesity and metabolic syndrome in Korea. Diabetes Metab J 35(6):561-566 

  21. Rose D, Oliveira V (1997): Nutrient intakes of individuals from food-insufficient households in the United States. Am J Public Health 87(12):1956-1961 

  22. Seligman HK, Laraia BA, Kushel MB (2010): Food insecurity is associated with chronic disease among low-income NHANES participants. J Nutr 140(2):304-310 

  23. Shim JS, Oh K, Nam CM (2008): Association of household food security with dietary intake: based on the third (2005)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II). Korean J Nutr 41(2):174-183 

  24. Tarasuk V, Mitchell A, McLaren L, McIntyre L (2013): Chronic physical and mental health conditions among adults may increase vulnerability to household food insecurity. J Nutr 143(11):1785-1793 

  25.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10):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Seoul. pp.578-583 

  26. Vozoris NT, Tarasuk VS (2003): Household food insufficiency is associated with poorer health. J Nutr 133(1):120-126 

  27. Wellman NS, Weddle DO, Kranz S, Brain CT (1997): Elder insecurities: poverty, hunger, and malnutrition. J Am Diet Assoc 97(10 Suppl 2):S120-S122 

  28. Yang YJ (2015):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nutrient intakes and mental health status of older Korean adults depending on household food security: based on the 2008-2010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orean J Community Nutr 20(1):30-40 

  29. Yu Y, Song Y (2015): Three clustering patterns among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s and their associations with dietary factors in Korean adolescents: based on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of 2007-2010. Nutr Res Pract 9(2):199-20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