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GSP를 활용한 중학교 2학년 수학 영재학급의 일반화 수업 분석과 교육적 시사점 - Viviani 정리를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Generalization Class using GSP for the 8th Grade Students in a Math Gifted Class - Focused on Viviani theorem -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E: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v.30 no.1, 2016년, pp.23 - 46  

강정기 (김해대곡중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교육 현장의 영재학급에 대한 바람직한 일반화 수업 구현을 돕는 것을 목적으로, GSP를 활용한 일반화 수업을 설계 및 적용해봄으로써 수업의 실제를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중학교 2학년 영재학급 학생 13명을 대상으로 GSP를 활용한 Viviani 정리의 일반화 수업을 계획하여 적용해 보았다. 그 결과 'GSP에 의한 추측 조정과 패턴 확인', 'GSP 확인이 증명이라는 오개념과 극복', '주제 이탈과 인지적 격차', '미완의 추측에 의한 증명 완성', '일반화와 일반성 이해 사이의 괴리'라는 다섯 가지 주제를 추출할 수 있었다. 추출한 주제를 토대로 영재학급에서의 바람직한 일반화 수업 구현을 위한 교육적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aimed to implement a preferred generalization classes for gifted students. By designing and applying the generalization lesson using GSP, we trie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n the class. To do this, we designed a lesson on generalization of Viviani theorem and applied to 13 8t...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융통성이란 무엇인가? 왜냐하면 일반화는 수학적 창의성을 구성하는 요소 중 융통성과 직접 닿아 있기 때문이다. 융통성은 고정된 사고를 극복하고 서로 다른 범주의 반응과 아이디어를 낼 수 있는 능력(신승윤·류성림, 2014)으로, 현재의 사고에서 보다 확장된 사고로의 이동을 지향 하는 일반화의 속성과 닮아 있다. 따라서 영재 학생을 대상으로 일반화의 경험을 갖게 하는 것은 중요하며, 이와 관련한 몇몇 시도가 있었다(이헌수·이광호, 2012; 최병훈·방정숙, 2012).
GSP는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가? 대표적인 프로그램으로 GSP나 Cabri 3D가 개발되었으며, 이들은 학생 중심의 탐구 활동이 주가 되는 교수·학습 방식의 변화를 야기하였다(손홍찬, 2011). 특히 GSP의 경우 유클리드 평면 기하에서 학생들의 추론에 대한 즉각적인 피드백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새로운 수학적 사실을 학생 스스로 발견할 수 있는 추론의 도구로 활용 가능하다.
국내 영재교육기관은 어떻게 구분되는가? 국내 영재교육기관은 크게 3가지로 구분된다. 교육감 관할의 영재학급, 교육청·대학에서 운영하는 영재교육원, 고교생 이상에게 영재교육을 실시하는 기관으로 정부에서 운영하는 영재학교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8)

  1. 강정기 (2013). 본질적 속성 추출을 통한 일반화에 관한 연구. 경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Kang, J.G. (2013). A study on the generalization through the extraction of essential attributes. Doctoral dissertation, GSNU.) 

  2. 김성수.박달원 (2013). 유추를 활용한 코사인 법칙의 일반화 지도 방안.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6(4), 927-941. (Kim, S.S. & Park, D.W. (2013). A study on teaching methods of extension of cosine rule using analogy. Journal of the Korea School Mathematics Society, 16(4), 927-941.) 

  3. 김유경.방정숙 (2012). 초등학교 수학 수업에 나타난 수학적 연결의 대상과 방법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 51(4), 455-469. (Kim, Y.K. & Bang, J.S. (2012). An analysis of th objects and methods of mathematical connections in elementary mathematics instruction, The Mathematical Education, 51(4), 455-469.) 

  4. 김진호 (2012). 학습자 중심 수학 수업을 위한 수업자료의 몇 가지 특징.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C , 15(3), 189-199. (Kim, J.H. (2012) On some characteristics of instructional materials for learner-mathematics instruction.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15(3), 189-199.) 

  5. 문혜령.고상숙 (2010). GSP를 활용한 삼각함수에서 학습부진아의 수학화 과정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수학교육 학회지 시리즈 A , 49(3), 353-373. (Moon, H.R., & Choi-Koh, S.S. (2010). A case study on slow learners' mathematization of trigonometric functions, using GSP. The Mathematical Education, 49(3), 353-373.) 

  6. 방정숙 (2002). 수학 학습에서 도구의 역할에 관한 관점: 수학적 어포던스와 상황적 어포던스의 조정. 수학교육 학연구, 12(3), 331-351. (Pang, J.S. (2002). The role of tools in mathematical learning: Coordinating mathematical and ecological affordances. The Journal of Education Research in Mathematics, 12(3), 331-351.) 

  7. 손홍찬 (2011). GSP를 활용한 역동적 기하 환경에서 기하적 성질의 추측. 학교수학, 13(1), 107-125. (Son, H.C. (2011). A study on students' conjecturing of geometric properties in dynamic geometry environment using GSP. School Mathematics, 13(1), 107-125.) 

  8. 송상헌.정영옥.장혜원 (2006). 초등학교 6학년 수학영재들의 기하 과제 증명 능력에 관한 사례 분석. 학교수학, 16(4), 327-344. (Song, S.H., Jeong, Y.O., & Chang, H.W. (2006). Mathematically gifted 6th grade students' proof ability for a geometrric problem. School Mathematics, 16(4), 327-344.) 

  9. 신승윤.류성림 (2014). 초등수학영재의 수학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메타인지와의 관계.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C , 17(2), 95-111. (Shin, S.Y., & Rye, S.R. (2014). The relationship between mathematically gifted elementary students' math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and metacognition.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17(2), 95-111.) 

  10. 신유경.강윤수.정인철 (2008). GSP가 증명학습에 미치는 영향: 사례연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1(1), 55-68. (Shin, Y.G., Kang, Y.S., & Jeong, I.C. (2008). An influence of GSP to learning process of proof of middle school students: case study. Journal of the Korea School Mathematics Society, 11(1), 55-68.) 

  11. 영재교육종합데이터베이스 (2015). https://ged.kedi.re.kr/stss/viewStatistic.do. (Gifted Education Database (2015). https://ged.kedi.re.kr/stss/viewStatistic.do.) 

  12. 유미경.류성림 (2013). 초등수학영재와 일반학생의 패턴의 유형에 따른 일반화 방법 비교. 학교수학, 15(2), 459-479. (Yu, M.G., & Rye, S.R. (2013). A comparison between methods of generalization according to the types of pattern of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and non-gifted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School Mathematics, 15(2), 459-479.) 

  13. 이헌수.이광호 (2012). 중등 영재학생들의 GSP를 활용한 내분삼각형 넓이의 일반화.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5(3), 565-584. (Lee, H.S., & Lee, G.H. (2012). The generalization of the area of internal triangles for the GSP use of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School Mathematics Society, 15(3), 565-584.) 

  14. 장정은.정윤숙.최양희.김성원 (2013). 과학 영재들의 과제집착력 특성 탐색.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3(1), 1-16. (Chang, J.E., Jeong, Y.S., Choi, Y.H., & Kim, S.W. (2013). Exploring the charateristics of science gifted students' task commitment.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3(1), 1-16.) 

  15. 장한나라 (2013). 우리나라 수학영재교육의 현황과 효율적 운영방안 : 미국, 중국, 싱가포르와 비교하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Chang, H.N.R. (2013). Present Condition of Our Country's Mathematics Talent Education and an Efficient Management Plan: Compared with the US, China, Singapore. Master's thesis, GHU.) 

  16. 장혜원 (2015). 2학년 쌓기나무 수업에서의 수학적 의사소통 분석. 학교수학, 17(2), 223-239. (Chang, H.W. (2015). Analysis of mathematical communication in building-block lessons for 2nd graders. School Mathematics, 17(2), 223-239.) 

  17. 정찬식.노은환 (2014). 학생중심의 문제해결 모형 개발 및 효과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C , 17(1), 57-75. (Jeong, C.S., & Roh, E.H. (2014). Development and analysis of effect for problem solving model of student-based.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17(1), 57-75.) 

  18. 최병훈.방정숙 (2012). 초등 4,5,6학년 영재학급 학생의 패턴 일반화를 위한 해결 전략 비교. 수학교육학연구, 22(4), 619-636. (Choi, B.H., & Bang, J.S., (2012). A comparison of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solution strategies of generalizing geometric patterns. The Journal of Education Research in Mathematics, 22(4), 619-636.) 

  19. 최종현.송상헌 (2005). 주제 탐구형 수학 영재 교수.학습 자료 개발에 관한 연구. 학교수학, 7(2), 169-192. (Choi, J.H., & Song, S.H. (2005).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roject based teaching.learning materials for the mathematically gifted. School Mathematics, 7(2), 169-192.) 

  20. 허민 (1999).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한국수학사학회지, 12(2), 1-13. (Her, M. (1999). Fermat's last theorem, Historia Mathematica, 12(2), 1-13.) 

  21. Ainley, J., Bills, L., & Wilson, K. (2005). Designing spreadsheet-based tasks for purposeful algebra.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s for Mathematical Learning, 10(3), 191-215. 

  22. Becker, J. R., & Rivera, F. (2005). Generalization strategies of beginning high school algebra students. In Chick, H. L., & Vincent, J. L.(Eds.), Proceedings of the 29th Conference of the International Group for the Psychology of Mathematics Education(Vol.4, pp121-128). Melbourne: PME. 

  23. Bills, L., Ainley, J., & Wilson, K. (2006). Modes of algebraic communication-moving between natural language, spreadsheet formulae and standard notation. For the Learning of Mathematics, 26(1), 41-46. 

  24. Bills, L., & Rowland, T. (1999). Examples, generalization and proof. In L. Brown(Ed.), Making meaning in mathematics. Advanced in mathematics education(Vol.1. pp.103-116). York, UK: QED. 

  25. Chazan, D. (1993). High school geometry students' justification for their views of empirical evidence and mathematical proof,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24, 359-387. 

  26. Cho, H., Han, H., Jin, M., Kim, H., & Song, M. (2004). Designing a microworld: Activities and programs for gifted students and enhancing mathematical creativity. Proceeding of the 10th conference of the International Congress on Mathematics Education, TSG 4: Activities and Programs for Gifted Students, pp.110-118. Copenhagen, Demark. 

  27. Davydov, V. V. (1990). Types of generalization in instruction. In Kilpatrick, J.(Ed.) Soviet Studies in Mathematics Education. Vol2. Reston VA: NCTM. 

  28. El-Demerdash, M. & Kortenkamp, U. (2009) The effectiveness of an enrichment program using dynamic geometry software in developing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geometric creativity. Proceedings of the 9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Technology in Mathematics Teaching, Metz, France: ICTMT 9. 

  29. Guin, D., & Trouche, L. (1999). The complex process of converting tools into mathematical instruments: The case of calculators.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s for Mathematical Learning, 3(3), 195-227. 

  30. Hadas, N., Hershkowitz, R., & Schwarz, B. B. (2000). The role of contradiction and uncertainty in promoting the need to prove in dynamic geometry environments.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44, 127-150. 

  31. Harel, G., & Tall, D. (1989). The general, the abstract and the generic in advanced mathematics. For the Learning of Mathematics, 11(1), 38-42. 

  32. Jerwan, F. (2002). Thinking education: Concepts and applications. Oman, Jordan: Dar Alfikr. 

  33. Jonassen, D. (2000). Computers in the classroom: Mindtools for critical thinking (2nd ed.). Englewood Cliffs, New Jersey: Merrill. 

  34. Lee, K. H. (2005).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geometrical reasoning and informal proof. In Helen, L. C. & Jill, L. V.(Eds.), Proceeding 29th Conference of the International Group for the Psychology of Mathematics Education(Vol3, pp.241-248). 

  35. Lee, L. (1996). An initiation into algebraic culture through generalization activities. In N. Bendnarz, C. Kieran, & L. Lee(Eds.), Approaches to algebra: Perspectives for research and teaching(pp. 87-106). Dordrecht, Netherlands: Kluwer. 

  36. Liu, M., & Bera, S. (2005). An analysis of cognitive tool use patterns in a hypermedia learning environment.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53(1), 5-21. 

  37. Mason, J. (1996). Expressing generality and roots of algebra. In Bendnarz, N., Kieran, C., & Lee, L.(Eds.), Approaches to algebra(pp65-86) . Dordrecht: Kluwer. 

  38. Mohamed, A. I. Z. (2003). Enrichment program in geometry for creative thinking development for talented students, in mathematics in the preparatory stage. Master thesis, Tanta University, Egypt. 

  39. Orton, A., & Orton, J. (1999). Pattern and the approach to algebra. In A. Orton(Ed.), Pattern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mathematics(pp.104-120). London, UK: Cassell. 

  40. Pyryt, M. (2003). Technology and the gifted. In Colangelo, N., & Davis, G.(Eds.), Handbook of gifted education (pp.582-589). Boson: Allyn & Bacon. 

  41. Radford, L. (2003). Gestures, speech, and the spouting of signs: A semiotic-cultural approach to students' types of generalization. Mathematical Thinking and Learning, 5(1), 37-70. 

  42. Renzulli, J. S. (2000). The identification and development of giftedness as a paradigm for school reform. 

  43. Sheffield, L. J. (1999). Developing mathematically promising students. Reston VA: NCTM. 

  44. Sheffield, C. C. (2007). Technology and the gifted adolescent: Higher order thinking, 21st century literacy, and the digital native. Meridian Middle School Computer Technologies Journal, 10, 5. Retrieved from http://www.ncsu.edu/meridian/sum2007 /gifted/index.htm 

  45. Stacey, K. (1989). Finding and using patterns in linear generalizing problems.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20, 147-164. 

  46. Stacey, K., & McGregor, M. (2001). Curriculum reform and approaches to algebra. In R. Sutherland, T. Rojano, A. Bell, & R. Lins(Eds.), Perspectives on school algebra(pp. 141-154). Dordrecht, Netherlands: Kluwer. 

  47. Van Tassel-Baska, J. (1986). Effective curriculum and instructional models for talented students. Gifted Child Quarterly, 30(4), 164-169 

  48. Zazkis, R., Liljedahl, P., & Chernoff, E. J. (2007). The role of examples in forming and refuting generalizations. ZDM Mathematics Education, 40, 131-141.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