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해상풍력 개발사업의 환경성 평가 협의 지침 개발에 관한 시사점 및 개선안 연구
A Study on Implications and Improvement Plans for the Developing Consultation Guidelines for Environmental Assessment of Offshore Wind Power Development Projects 원문보기

환경영향평가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v.31 no.6, 2022년, pp.449 - 464  

이해미 (한국환경연구원) ,  맹준호 (한국환경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해상풍력 환경성 평가 협의 지침 개발 과정을 검토하고 이를 토대로 향후 지침 개정을 위한 시사점 및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국내·외 사례 연구는 국내 해상풍력 개발사업 협의 사례 및 환경입지 컨설팅 사례와 국외 해상풍력 관련 지침을 검토하였고 사업별 입지 특성과 주요 환경 이슈를 분석하였다. 해상풍력 관련 주요 환경 이슈로는 조류(새), 소음·진동, 해양 동·식물, 해양물리, 해양수질 및 해저퇴적물, 해양경관, 육상에 설치되는 기타 부대시설 항목이다. 해상풍력 환경성 평가 협의 지침 개정을 위한 시사점 및 개선안은 사업자가 해상풍력 사업 입지 가능 지역을 판단하는데 있어서 중앙정부 차원에서의 자료 제공 및 명확한 가이드라인 제시가 필요하다. 누적영향평가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상황에서 해상풍력 환경 이슈에 대한 누적영향평가를 위해서는 국내 상황을 반영한 항목별 누적영향평가 방법론에 대한 가이드라인도 마련되어야 한다. 또한 협의 지침 개정 시에는 해역별 해상풍력단지의 환경조사 및 모니터링 데이터의 축적을 통해 실증 연구사례가 반영되어야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reviewed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consultation guideline for the environmental assessment of offshore wind power. Based on this, implications and improvement plans for a future revision of the guidelines. Domestic and foreign case studies reviewed the consulting cases on domestic of...

주제어

표/그림 (2)

참고문헌 (30)

  1. European Commission. 2020. Guidance Document?on Wind Energy Developments and EU?Nature Legislation. 

  2. JeJu Hallim Offshore Wind Power Co., Ltd. 2020.?Agreement on the Sea-area Utilization of?Hallim Offshore Wind Power Demonstration?Zone Development Project (Re-consultation).?[Korean Literature] 

  3. Jeon IS, Kang KS, Lim EP. 2015. Understanding?the Environmental Impacts of the Offshore?Wind Farms. Journal of Wind Energy.?6(2): 5-10. 

  4. JEJUTODAY. What to do with 120 endangered?Indo-Pacific bottlenose dolphins? Cancel?the expansion of the Tamra Offshore Wind?Farm. http://www.ijejutoday.com/news/articleView.html?idxno227778 (2022.6.21. accessed) 

  5. Kim GY, Lee DI, Jeon KA, Eom KH, Yu J. 2012.?Improvement for Marine Environmental?Impact Assessment on the Development?of Offshore Wind Power. Journal of?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21(1):?1-13. 

  6. Kim MJ, Kim SR, Kim CH. 2021. Global carbon?neutrality declaration trend and evaluation.?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Korean?Literature] 

  7. KMI. 2019. A Study on Improvement Usage?District System for Offshore Wind Power?in Jeju. [Korean Literature] 

  8. Korea Offshore Wind Power Co., Ltd. 2015.?Agreement on the General Sea-area Utilization?of Southwest Sea Offshore Wind Power?Demonstration Project (Re-supplement).?[Korean Literature] 

  9. Korea Power Exchange (KPX). 2022. Status of?Power Plant Construction Project in the?1st Quarter of 2022. 

  10. MARMONi. 2016. Guidelines for Environmental?Impact Studies on Marine Biodiversity for?Offshore Windfarm Projects in the Baltic?Sea Region. 

  11. MARMONi. http://marmoni.balticseaportal.net/wp/ (2021.6.28. accessed) 

  12. Ministry of Environment. 2016. Guidelines for the?Operation of Environmental Location?Consulting Systems. [Korean?Literature] 

  13. Ministry of Environment. 2018. Guidelines for?Environmental Assessment of Onshore?Wind Power Development Projects. [Korean?Literature] 

  14. Ministry of Environment. 2021a. Establishing a?Carbon-neutral Milestone. [Korean Literature] 

  15. Ministry of Environment. 2021b. Offshore Wind?Power Environment Survey and Assessment?Manual. [Korean Literature] 

  16. Ministry of Environment. 2021c. A Study on?Establishing Guidance for Environmental?Assessment of Offshore Wind Power?Generation. [Korean Literature] 

  17. Ministry of Environment. 2022. Guidance for?Consultation on the Environmental Assessment?of Offshore Wind Power Generation. [Korean?Literature] 

  18.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2017.?3020 Renewable Energy Transition Plan?(Proposed). [Korean Literature] 

  19.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2019.?Development of Long-term Environmental?Monitoring System and Safety Standard?Technology Development for Offshore?Wind Power Environment and Safety Issues.?[Korean Literature] 

  20.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2020.?Environmental Impact Analysis on the?Offshore Wind Farm and Database System?Development. 

  21.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2021.?Environmental Impact Analysis on the?Offshore Wind Farm and Database System?Development. 

  22. MyoungWoon Industrial Development Co., Ltd.?2020. EIA Report on the Construction of?the Yeonggwang Nagwol Offshore Wind?Farm (Supplementary). [Korean Literature] 

  23. Oh HT, Yeo MY, Jung HE, Shin JM. 2020.?Status and Improvement of Environmental?Impacts Assessment on the Marine?Endangered Species around the Coastal?Area of Offshore Wind Energy - Case?Study of the Marine Mammals and Sea?Birds -. Jounal of Fisheries and Marine?Sciences Education 36(6): 1428-1444. 

  24. OSPAR Commission. 2008a. Assessment of the?Environmental Impact of Offshore Windfarms. 

  25. OSPAR Commission. 2008b. OSPAR Guidance on?Environmental Considerations for Offshore?Wind Farm Development. 

  26. Park YS, Kang GS, Jang YO, Kim SH, Lee HJ.?2021. Direction and Implications of the?International Community's Carbon-neutral?Policy. Korea Institute for International?Economic Policy. [Korean Literature] 

  27. REN21. 2022. Renewables 2022 Global Status?Report. 

  28. World Bank Group. 2015. Environmental, Health,?and Safety Guidelines for Wind Energy. 

  29. Yim HS, Cho KJ, Kang SW. 2021. Comparison?of Site Selection Procedures for Offshore?Wind Farms in the Netherlands and Japan.?Journal of Wind Energy 12(4): 35-46. 

  30. Tamra Offshore Wind Power Co. Ltd. http://tamra-owp.co.kr/2019/ (2022.6.27. accessed)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