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신선편이 엽채류의 병원성 E. coli 검출을 위한 생화학적동정법 비교 분석
Comparison of Biochemical Identification to Detect Pathogenic Escherichia coli in Fresh Vegetables 원문보기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v.31 no.6, 2016년, pp.393 - 398  

최유경 (숙명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희영 (숙명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수민 (숙명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세정 (숙명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하지명 (숙명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지연 (숙명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오혜민 (숙명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윤요한 (숙명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선택배지와 건조필름을 이용하여 신선편이 엽채류 3종(양상추, 양배추, 어린잎채소)에서 병원성 E. coli를 분리하였고, 의심집락 동정을 위해 생화학적 분석법을 사용하여 동정한 후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양상추 20 g, 양배추 20 g, 어린잎채소 10 g에 병원성 E. coli 혼합 균액(Enterohemorrhagic E. coli NCCP11142, Enterotoxigenic E. coli NCCP14037, Enteropathogenic E. coli NCCP14038, Enteroaggregative E. coli NCCP14039, Enteropathogenic E. coli NCCP15661)을 최종농도가 1, 2, 3 log CFU/g이 되도록 접종하였고, BPW (80~90 ml)을 넣은 후 60초 동안 균질화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모든 시료에서 건조필름 시험 양성, 양상추 시료 일부(최종농도 3 log CFU/g 접종시료)를 제외한 모든 시료에서 증균배양법을 이용한 정성시험결과가 음성으로 나타났다. 증균배양과 건조필름 시험을 통해 분리한 병원성 E. coli를 이용하여 생화학적 분석을 실시한 결과, 양상추에서 분리한 병원성 E. coli의 경우, API 20E 100% (44/44), Microgen GNA 100% (44/44), Food System 66.7% (10/15)의 동정률이 나타났다. 양배추의 경우, API 20E 64.7% (22/34), Microgen GNA 50% (16/32), Food System 60% (9/15), 어린잎채소의 경우, API 20E 65.1% (28/43), Microgen GNA 62.3% (27/43), Food System 53.3% (8/15)가 병원성 E. coli로 동정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신선편이 엽채류에 대한 병원성 E. coli 검출법 선택에 유용하게 이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solate pathogenic Escherichia coli from fresh vegetables with selective media and Petrifilm, and identify a suspicious colony using biochemical identification. Twenty gram of lettuce, twenty gram of cabbage and ten gram of sprout were prepared, and a 5-strain mix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신선편이 엽채류 3종(양상추, 양배추, 어린잎채소)에 대해 선택배지와 건조필름을 통해 병원성 E. coli를 분리하고 의심집락을 생화학적분석법을 이용하여 동정함으로써, 신선편이 엽채류 내 병원성 E. coli의 동정 결과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신선 농산물의 수요가 증가한 이유는 무엇인가? 최근 간편성과 합리성을 추구하는 소비자가 많아지면서 구입 후 바로 먹거나 조리에 사용할 수 있도록 세척, 박피, 다듬기 과정 등을 거친 신선편이 농산물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1). 신선편이 농산물은 특성상 식중독 세균 제어가 쉽지 않아 국내외적으로 신선 농산물 섭취로 인한 식중독 사고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2).
생식채소류 내 식중독 세균은 무엇이 있는가? 신선편이 농산물은 특성상 식중독 세균 제어가 쉽지 않아 국내외적으로 신선 농산물 섭취로 인한 식중독 사고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2). 2015년,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에서 생식채소류 내 식중독 세균 7 종(E. coli, Enterohemorrhagic E. coli, S. aureus, Salmonella, B. cereus, C. perfringens, L. monocytogenes)에 대한 오염도를 조사한 결과, 12.8% (77/601)의 생식채소류에서 병원성 세균이 검출되었는데 원인 식중독 세균으로는 E.
식중독 세균 검출을 위한 분석법은 무엇이 있는가? coli에 대한 관리가 중요하며 이와 함께 정확한 검출방법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현재 식중독 세균 검출을 위한 분석법으로는 선택배지 분리법, 생화학적, 면역학적, 분자생물학적 원리를 이용한 방법이 사용되고 있는데9), 식품공전 시험법의 경우 모든 시료에 대해 동일한 방법으로 일괄 적용하고 있어 농산물 시료의 특성을 고려한 분석이 어려운 실정이다. 농산물에는 많은 양의 background 미생물 균총이 존재하여 소량의 위해 미생물이 함께 존재할 경우 검출이 어렵고10), 또한 농산물은 다른 식품과는 달리 중량당 표면적이 상이하여 이를 고려한 분석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National Agricultural Products Quality Management Service (http://www.naqs.go.kr). 

  2. Jo, M.J., Jeong, A.R., Kim, H.J., Lee, N., Oh, S.W., Kim, Y.J., Chun, H.S., Koo, M.: Microbiological quality of freshcut produce and organic vegetables. Korean J. Food Sci. Technol., 43, 91-97 (2011). 

  3. National Agricultural Products Quality Management Service. Available at: http://www.naqs.go.kr/multiboard/board/detail.naqs?menuMN30511&groupno283&cate0&page1&seq48438&schType&schKeyword Accessed on September 28, 2016 (2016). 

  4. Kang, T.M., Cho, S.K., Park, J.Y., Song, K.B., Chung, M.S., Park, J.H.: Analysis of microbial contamination of sprouts and fresh-cut salads in a market. Korean J. Food Sci. Technol., 43, 490-494 (2011). 

  5. Choi, J.W., Park, S.Y., Yeon, J.H., Lee, M.J., Chung, D.H., Lee, K.H., Kim, M.G., Lee, D.H., Kim, K.S., Ha, S.D.: Microbial contamination levels of fresh vegetables distributed in markets. J. Food Hyg. Saf., 20, 43-47 (2005). 

  6. FDA: Guidance for Industry: Guide to Minimize Microbial Food Safety Hazards of Leafy Greens. Available at: http://www.fda.gov/Food/GuidanceRegulation/GuidanceDocumentsRegulatoryInformation/ucm174200.htm. Accessed on September 28, 2016 (2009). 

  7. EFSA (European Food Safety Authority): Shiga toxin-producing E. coli (STEC) O104:H4 2011 outbreaks in Europe: Taking Stock, EFSA Journal, 9, 2390 (2011). 

  8. Lee, C., Sung, D., Oh, S.: Profiling and priority selection of foodborne pathogens in fresh produce. J. Food Hyg. Saf., 27, 356-365 (2012). 

  9. Kim, S.R., Choi, S.Y., Seo, M.K., Lee, J.Y., Kim, W.I., Yoon, Y., Ryu, K.Y., Yun, J.C., Kim, B.S.: Establishment of sample preparation method to enhance recovery of food-borne pathogens from produce. J. Food Hyg. Saf., 28, 279-285 (2013). 

  10.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World Health Organization: Microbiological hazards in fresh leafy vegetables and herbs: microbiological risk assessment series 14 meeting report. (World Health Organization. eds.) FAO/WHO, pp. 9 (2008). 

  11. Wang, G., Clark, G.C., Rodgers, G.F.: Detection in Escherichia coli of the genes encoding the major virulence factors, the genes defining the O157:H7 serotype, and components of the type 2 shiga toxin family by multiplex PCR. J. Clin. Miccrobiol., 40, 3613-3619 (2002). 

  12. Mazaheri, S., Salmanzadeh-Ahrabi, S., Falsafi, T., Aslani, M.M.: Isolation of Enteropathogenic Escherichia coli from lettuce samples in Tehran. Gastroenterol. Hepatol. Bed Bench, 7, 38-42 (2014). 

  13. Kim, S.R., Lee, J.Y., Lee, S.H., Kim, W.I., Park, K.H., Yun, H.J., Kim, B.S., Chung, D.H., Yun, J.C., Ryu, K.Y.: Evaluation of microbiological safety of lettuce and cultivation area. J. Food Hyg. Saf., 26, 289-295 (2011). 

  14. Sadek, Z.I., Hosny, I.M., El-Kholy, W.I., El-Dairouty, R.K.: Comparative investigations for detection of foodborne microorganisms in Egyptian hard cheese "Ras" using conventional and fast biochemical tests, Glob. Vet., 3, 189-195 (2009). 

  15. Saeed, A.Y., Mazin, H., Saadi, A., Hussein, S.O.: Detection of Escherichia coli O157 in vegetables. J. Agric. Vet. Sci., 6, 16-18 (2013). 

  16. Shearer, A.E.,, Strapp, C.M., Joerger, R.D.: Evaluation of a polymerase chain reaction-based system for detection of Salmonella enteritidis, Escherichia coli O157:H7, Listeria spp., and Listeria monocytogenes on fresh fruits and vegetables. J. Food Prot., 64, 788-795 (2001). 

  17. Jung, K.S., Roh, E.J., Ryu, K.Y., Kim, W.I., Park, K.H., Lee, D.H., Kim, K.H., Yun, J.C., Heu, S.G.: Monitoring of pathogenic bacteria in organic vegetables from korean market. Korean J. Soil Sci. Fert., 45, 560-564 (2012). 

  18. Barry, A.L., Badal, R.E.: Rapid identification of Enterobacteriaceae with the Micro-ID system versus API 20E and conventional media. J. Clin. Microbiol., 10, 293-298 (197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