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파수-주파수 분석을 이용한 자동차 옆 창문 표면 압력 섭동의 비압축성/압축성 성분 분해
Decomposition of Surface Pressure Fluctuations on Vehicle Side Window into Incompressible/compressible Ones Using Wavenumber-frequency Analysis 원문보기

한국소음진동공학회논문집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v.26 no.7, 2016년, pp.765 - 773  

이송준 (School of Mechanical Engineering, Pusan National University) ,  정철웅 (School of Mechanical Engineering, Pusan National University)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vehicle interior noise caused by exterior fluid flow field is one of critical issues for product developers in a design stage. Especially, turbulence and vortex flow around A-pillar and side mirror affect vehicle interior noise through a side window. The reliable numerical prediction of the noi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논문에서는 자동차 바람소리의 실내 전달음을 수치적으로 예측하기 위한 선행연구로 자동차 외부 유동에 의한 옆 창문 표면압력 섭동을 예측하고 이를 비압축성/압축성 압력섭동으로 구분하기 위해 파수-주파수 분석을 수행하였다. 유동소음원인 유동장과 이로 인한 음장이 동시에 존재하는 근접장인 자동차 외부 유동을 정확하게 예측하기 위해(13,18) LBM에 기초한 CAA 수치기법을 적용하였다.
  • 이 절에서는 자동차의 창문표면 압력섭동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해, 자동차 외부를 흐르는 유동 및 유동소음 해석을 수행하였다. 2.

가설 설정

  • PSD 스펙트럼은 공간에 관한 파수 축 kx, ky와 시간과 관계하는 주파수 축의 3차원으로 나타낼 수 있다. 3.1절에서의 결과와 마찬가지로 압축성 압력섭동과 비압축성 압력섭동의 영역이 확연히 구분된다. 정확한 압축성 압력섭동의 영역은 x-방향으로의 평균유속에 대한 항이 더해진 다음의 수정된 디락콘(modified Dirac cone)의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동차에서 발생하는 소음은 무엇과 무엇으로 구분 가능한가? 대표적인 운송체인 자동차의 소음문제는 경제력의 상승에 따른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의 증대와 더불어 자동차의 주요 성능지표로서 인식되기 시작하였다. 자동차에서 발생하는 소음은 크게 구조진동소음과 유동소음으로 구분할 수 있고, 다시 유동소음은 엔진에서 발생하는 연소소음과 차체에서 발생하는 공력소음으로 분류할 수 있다. 구조진동소음과 엔진소음은 지난 40여 년간의 꾸준한 연구를 통해 상당히 저감되어 상대적으로 공력소음 저감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으며(1), 주요한 공학적 설계목표 인자 중 하나로 관심을 받기 시작했다.
본 논문에서 자동차 옆 창문의 SPF 값에 대해 파수-주파수 분석을 수행하고, 파수-주파수 PSD 스펙트럼을 구하면서 알게된 내용은 어떠한가? 유동해석 결과인 자동차 옆 창문의 SPF 값에 대해 파수-주파수 분석을 수행하고 파수-주파수 PSD 스펙트럼을 구하였다. 이를 통해 평균 유동장 속도의 약 70 %로 전파하는 비압축성 압력 파와 음속과 평균 유동장 속도의 합으로 전파해 가는 압축성 압력파 즉 음파을 확연히 구분할 수 있음을 보였다. 그리고 압축성 압력과 비압축성 압력 영역의 신호에 대해 다시 역푸리에 변환하여 비압축성/압축성 압력이 분리된 시간 SPF 신호를 획득하였다. 추가 연구를 통하여 분리된 시간 SPF 신호를 입력 값으로 내부 음장을 예측할 수 있는 기법을 개발할 예정이다.
자동차의 소음문제는 어떻게 인식되고 있는가? 대표적인 운송체인 자동차의 소음문제는 경제력의 상승에 따른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의 증대와 더불어 자동차의 주요 성능지표로서 인식되기 시작하였다. 자동차에서 발생하는 소음은 크게 구조진동소음과 유동소음으로 구분할 수 있고, 다시 유동소음은 엔진에서 발생하는 연소소음과 차체에서 발생하는 공력소음으로 분류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Lee, S. and Kim, J., 1997, Aerodynamic Noise in Automobil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Vol. 19, No. 2, pp. 17-24. 

  2. Hartmann, M., et al., 2012, Wind Noise Caused by the Side-mirror and A-pillar of a Generic Vehicle Model, 18th AIAA/CEAS Aeroacoustics Conference (33rd AIAA Aeroacoustics Conference). 

  3. Jeong, C. et al., 2014, Predicting Noise Inside a Trimmed Cavity due to Extrior Flow, Proceedings of the KSNVE Annual Spring Conference, pp. 466-471. 

  4. Blanchet, D. and Golota, A., 2014, Combining CFD/FEM/BEM/SEA to Predict Interior Vehicle Wind Noise - Validation Case CAA German Working Group, Proceedings of the KSNVE Annual Autumn Conference, pp. 800-811. 

  5. Perot, F. et al., 2010, Direct Aeroacoustics Predictions of a Low Speed Axial Fan, 16th AIAA/CEAS Aeroacoustics Conference, AIAA 2010-3887 

  6. Li, X. M. et al., 2006, One-step Aeroacoustics Simulation Using Lattice Boltzmann Method, AIAA Journal, Vol. 44, No. 1, pp. 78-89. 

  7. Chen, S. and Doolen, G. D., 1998, Lattice Boltzmann Method for Fluid Flows, Annual Review of Fluid Mechanics, pp. 329-364. 

  8. Broadwell, J. E., 1964, Study of Rarefied Shear Flow by the Discrete Velocity Method, Journal of Fluid Mechanics, Vol. 19, No. 3, pp. 401-414. 

  9. Frisch, U. et al., 1986, Lattice-gas Automata for the Navier-Stokes Equation, Physical Review Letters Vol. 56, pp. 1505-1508. 

  10. GR, M. and G., Z., 1988, Use of the Boltzmann Equation to Simulate Lattice Gas Automata, Physical Review Letters, Vol. 61, pp. 2332-2335. 

  11. Bhatnagar, P. L. et al., 1954, A Model for Collision Processes in Gases. I. Small Amplitude Processes in Charged and Neutral One-component Systems, Physical Review, Vol. 94, No. 3, pp. 551-525. 

  12. Benzi, R. et al., 1992, The Lattice Boltzmann Equation: Theory and Applications, Physics Reports, Vol. 222, No. 3, pp. 145-197. 

  13. Marie, S. et al., 2009, Comparison between Lattice Boltzmann Method and Navier-stokes High Order Schemes for Computational Aeroacoustics, Journal of Computational Physics, Vol. 228, No. 4, pp. 1056-1070. 

  14. Qian, Y. H. et al., 1992, Lattice BGK Models for Navier Stokes Equation, Europhysics Letters, Vol. 17, No. 6, pp. 479-484. 

  15. Hecht, M. and Harting, J., 2010, Implimentation of On-site Velocity Boundary Conditions for D3Q19 Lattice Boltzmann Simulations, Journal of Statistical Mechanics, P.01018. 

  16. Lee, S. and Cheong, C., 2014, Investigation Into Aeolian Tone Noise by Twin Tandem Square Cylinders in Duct Using Lattice Boltzmann Method,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Vol. 24, No. 12, pp. 962-968. 

  17. Lee, S. et al., 2015, Characterization of Buffeting Noise Through a Rear Window in an Automobile Using LBM,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Vol. 25, No. 10, pp. 692-699. 

  18. Bres, G. et al., 2009, Properties of the Lattice Boltzmann Method for Acoustics, 15th AIAA/CEAS Aeroacoustics Conference, AIAA 2009-3395. 

  19. Herpe, F. V. et al., 2011, Wavenumber-frequency Analysis of the Wall Pressure Fluctuations in the Wake of a Car Inside Mirror, AIAA/CEAS Aeroacoustics Conference, pp. 3823-383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