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최근 개발된 교합면 수복용 bulk-fill resin인 Filtek Bulk Fill Posterior Restorative (FBF)와 $Tetric^{(R)}$-N-Ceram Bulk Fill (TBF)의 물성을 기존 복합레진($Filtek^{TM}$ Z-350 XT, 이하 Z-350)과 비교하여 그 효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재료의 중합도를 반영할 수 있는 미세경도 및 중합수축을 반영하는 미세누출 양을 염료침투실험으로 측정하였다. 실험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정형화 된 3D 프린팅몰드에 충전하여 미세경도를 측정하고, 우치를 대상으로 미세누출을 평가하였다. 측정된 미세경도와 미세누출정도는 Kruskal-Wallis test와 Mann-Whitney test를 이용하여 95%의 신뢰도로 각 군별 유의성을 평가하였다. 하면 미세경도에서 광중합 시행 1시간 이내에는 FBF와 TBF가 Z-350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미세경도를 보였으나(p < 0.05), 24시간 후에는 FBF의 미세경도가 Z-350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을 만큼 현저히 증가하였다(p > 0.05). 하면을 제외한 미세경도는 Z-350, FBF, TBF 순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 < 0.05) 미세누출실험에서는 TBF가 다른 두 군에 비해 유의하게 작은 미세누출을 보였다(p < 0.05). Bulk-fill 레진의 임상적 적용을 위해서는 중합 역학의 특성 상 수복 후 24시간 동안 저작력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며 미세누출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추가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개발된 교합면 수복용 bulk-fill resin인 Filtek Bulk Fill Posterior Restorative (FBF)와 $Tetric^{(R)}$-N-Ceram Bulk Fill (TBF)의 물성을 기존 복합레진($Filtek^{TM}$ Z-350 XT, 이하 Z-350)과 비교하여 그 효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재료의 중합도를 반영할 수 있는 미세경도 및 중합수축을 반영하는 미세누출 양을 염료침투실험으로 측정하였다. 실험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정형화 된 3D 프린팅 몰드에 충전하여 미세경도를 측정하고, 우치를 대상으로 미세누출을 평가하였다. 측정된 미세경도와 미세누출정도는 Kruskal-Wallis test와 Mann-Whitney test를 이용하여 95%의 신뢰도로 각 군별 유의성을 평가하였다. 하면 미세경도에서 광중합 시행 1시간 이내에는 FBF와 TBF가 Z-350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미세경도를 보였으나(p < 0.05), 24시간 후에는 FBF의 미세경도가 Z-350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을 만큼 현저히 증가하였다(p > 0.05). 하면을 제외한 미세경도는 Z-350, FBF, TBF 순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 < 0.05) 미세누출실험에서는 TBF가 다른 두 군에 비해 유의하게 작은 미세누출을 보였다(p < 0.05). Bulk-fill 레진의 임상적 적용을 위해서는 중합 역학의 특성 상 수복 후 24시간 동안 저작력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며 미세누출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추가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high viscosity bulk-fill resin composites, $Filtek^{TM}$ Bulk Fill Posterior Restorative (FBF) and $Tetric^{(R)}$ N-Ceram Bulk Fill (TBF), with conventional composite ($Filtek^{TM}$ Z-350 XT, Z-350). 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high viscosity bulk-fill resin composites, $Filtek^{TM}$ Bulk Fill Posterior Restorative (FBF) and $Tetric^{(R)}$ N-Ceram Bulk Fill (TBF), with conventional composite ($Filtek^{TM}$ Z-350 XT, Z-350). The Vickers hardness test which indicates the degree of conversion was performed and the dye penetration test was performed to measure the microleakage which indicates polymerization shrinkage amount. To minimize experimental error, the standardized 3D-printed molds and the bovine teeth were used. Obtained data were analyzed by the Kruskal-Wallis test and Mann-Whitney test with the confidence interval of 95%. In the microhardness test within 1 hour of polymerization, lower surface of FBF and TBF showed significantly lower value than that of Z-350 (p 0.05). In top and 2 mm depth surface, mean microhardness values were in the following order: Z-350 > FBF > TBF (p < 0.05). The mean microleakage value of TBF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others (p < 0.05). For clinical application of bulk-fill resin composites, caution for applying masticatory forces during 24 hours after polymerization is advised and further studies to decrease microleakage should be conducte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high viscosity bulk-fill resin composites, $Filtek^{TM}$ Bulk Fill Posterior Restorative (FBF) and $Tetric^{(R)}$ N-Ceram Bulk Fill (TBF), with conventional composite ($Filtek^{TM}$ Z-350 XT, Z-350). The Vickers hardness test which indicates the degree of conversion was performed and the dye penetration test was performed to measure the microleakage which indicates polymerization shrinkage amount. To minimize experimental error, the standardized 3D-printed molds and the bovine teeth were used. Obtained data were analyzed by the Kruskal-Wallis test and Mann-Whitney test with the confidence interval of 95%. In the microhardness test within 1 hour of polymerization, lower surface of FBF and TBF showed significantly lower value than that of Z-350 (p 0.05). In top and 2 mm depth surface, mean microhardness values were in the following order: Z-350 > FBF > TBF (p < 0.05). The mean microleakage value of TBF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others (p < 0.05). For clinical application of bulk-fill resin composites, caution for applying masticatory forces during 24 hours after polymerization is advised and further studies to decrease microleakage should be conducted.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교합면 적용이 가능한 두 종류의 고점도 bulk-fill 복합레진의 물성을 기존 복합레진과 비교해 보고자하였다. 재료의 중합도를 반영할 수 있는 비커스 미세경도를 측정하고 색소 침투법으로 중합수축양을 간접 측정하였다12).
제안 방법
재료의 중합도를 반영할 수 있는 비커스 미세경도를 측정하고 색소 침투법으로 중합수축양을 간접 측정하였다12). 또한 광조사 이후 Post-curing이 진행되는 재료임을 감안해 중합 1시간 이내와 24시간 이후의 미세경도 차이를 비교해 보았다. 실험 오차를 줄이기 위해 우치 및 3D 프린터로 제작한 주형을 사용하여 향후 재료 실험 설계 시 재료의 특성에 맞는 주형 제작에 해당 기기를 접목하였을 때의 효용성을 함께 평가해 보고자 하였다.
또한 광조사 이후 Post-curing이 진행되는 재료임을 감안해 중합 1시간 이내와 24시간 이후의 미세경도 차이를 비교해 보았다. 실험 오차를 줄이기 위해 우치 및 3D 프린터로 제작한 주형을 사용하여 향후 재료 실험 설계 시 재료의 특성에 맞는 주형 제작에 해당 기기를 접목하였을 때의 효용성을 함께 평가해 보고자 하였다.
절단된 시편을 1000, 2000 grit의 실리콘 카바이드 페이퍼로 연마하여 편광현미경(Nicon, Japan)으로 메틸렌블루용액이 침투한 양상을 관찰하였다. 미세누출정도는 포토샵 프로그램(Adobe photoshop CS5, Adobe systems Inc., USA)과 펜타블릿을 이용해 형성한 와동의 법랑질 길이 중 염색용액이 침투한 길이의 백분율로 계산하였다(Fig. 4).
대상 데이터
구치부 수복이 가능한 bulk-fill 복합레진인 FiltekTM Bulk Fill Posterior Restorative (3M ESPE, USA)와 Tetric® NCeram Bulk Fill (Ivoclar vivadent, Germany) 및 conventional 복합레진 FiltekTM Z-350 XT (3M ESPE, USA)에서 가장 밝은 색조를 선택해 각각 1, 2, 3군으로 하였으며 각 군당 시편 수는 15개로 설정하였다(Table 1). 상아질 접착제로는 Single bond (3M ESPE, USA)를 사용하였으며, Elipar Trilight (3M ESPE, USA)를 이용하여 광중합 하였다.
데이터처리
SPSS 프로그램(Version 17.0, SPSS Inc., USA)을 이용하여 Kruskal-Wallis test로 세 군 간의 유의성 검증 후 MannWhitney test로 사후 검정을 시행하였다(p < 0.05).
이론/모형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교합면 적용이 가능한 두 종류의 고점도 bulk-fill 복합레진의 물성을 기존 복합레진과 비교해 보고자하였다. 재료의 중합도를 반영할 수 있는 비커스 미세경도를 측정하고 색소 침투법으로 중합수축양을 간접 측정하였다12). 또한 광조사 이후 Post-curing이 진행되는 재료임을 감안해 중합 1시간 이내와 24시간 이후의 미세경도 차이를 비교해 보았다.
성능/효과
최근 개발된 bulk-fill과 conventional 복합레진의 미세경도 및 미세누출량을 비교 평가하였을 때, 하면을 제외한 미세경도는 3군, 1군, 2군 순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 0.05). 하면 미세경도에서 광중합 시행 1시간 이내에는 1군과 2군이 3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미세경도를 보였으나(p < 0.
05). 하면 미세경도에서 광중합 시행 1시간 이내에는 1군과 2군이 3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미세경도를 보였으나(p < 0.05), 24시간 후에는 1군의 미세경도가 3군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을 만큼 현저히 증가하였다(p > 0.05). 미세누출실험에서는 2군이 다른 두 군에 비해 유의하게 작은 미세누출량을 보였다(p < 0.
05). 미세누출실험에서는 2군이 다른 두 군에 비해 유의하게 작은 미세누출량을 보였다(p < 0.05).
후속연구
그러나 육안 상 건전한 우치를 선별했음에도 편광현미경으로 관찰 시 법랑질 상에 존재하던 균열을 통해 와동 저에 스며든 염료로 인해 상아질을 포함하는 통상적인 기준으로는 측정이 곤란하였으므로 법랑질 표면에서 침투한 부분을 법랑질에 국한하여 측정하였다. TBF가 가장 적은 미세누출을 보여 중합도가 높을수록 수복물의 중합수축량은 증가한다는 이론과 일치하는 결과를 보였으나, 상아질을 포함하지 않았다는 한계점은 이와 관련한 추가적인 연구를 필요로 한다. 또한 3개 와동에 충전한 복합레진을 광중합 할 때 조사 각도나 거리 등으로 인해 와동 간 흡수한 광량에 차이가 발생했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또한 3개 와동에 충전한 복합레진을 광중합 할 때 조사 각도나 거리 등으로 인해 와동 간 흡수한 광량에 차이가 발생했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따라서 우치의 균열로 인한 영향을 배제하고 복합레진 간의 중합도 차이만을 변수로 설정해 미세누출량의 차이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사람의 유치를 대상으로 각 복합레진의 중합도를 직접 측정해 보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bulk-fill 복합레진의 장점은 무엇인가?
최근 소개된 bulk-fill 복합레진은 조성 및 함량의 최적화를 통해 4 mm 깊이까지 bulk-filling이 가능하며 중합시의 수축률 또한 감소시켰다고 알려져 있다7,8). 최근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는 있으나 교합면에 직접 적용이 가능한 재료보다는 이장용 재료에 국한된 연구가 대부분 이루어지고 있어 실제 적용과는 거리가 있는 실정이다9-11).
복합레진 선택 시 중합수축은 어떠한 현상을 유발하는가?
그런데 유치와 영구치 간의 해부학적 구조 차이뿐만이 아니라 소아치과 영역에서 발생하는 협조도의 문제로 영구치에 비해 유치에 적용한 복합레진의 수명이 상대적으로 짧다는 보고들은 유치 수복 시 더욱 신중을 기해야 함을 의미한다1-3). 복합레진을 선택할 때 고려해야 할 중합수축은 복합레진 내의 단량체들이 교차 결합하여 고분자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2 - 3% 정도의 부피감소로 치면과의 계면에 수축응력을 발생시킨다. 수축응력으로 인해 계면 간 미세누출이 발생할 경우 술 후 민감성, 수복물의 탈락, 이차우식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3-5).
bulk-fill 복합레진의 기존 연구의 한계점은 무엇인가?
최근 소개된 bulk-fill 복합레진은 조성 및 함량의 최적화를 통해 4 mm 깊이까지 bulk-filling이 가능하며 중합시의 수축률 또한 감소시켰다고 알려져 있다7,8). 최근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는 있으나 교합면에 직접 적용이 가능한 재료보다는 이장용 재료에 국한된 연구가 대부분 이루어지고 있어 실제 적용과는 거리가 있는 실정이다9-11).
참고문헌 (29)
Lee JK : Restoration of primary anterior teeth : review of the literature. Pediatr Dent, 24:506-510, 2002.
Anastasios G, Martin FJ, Fairpo CG : The influence of restorative material on the survival rate of restorations in primary molars. Pediatr Dent, 16:282-288, 1994.
Pilo R, Oelgiesser D, Cardash HS : A survey of output intensity and potential for depth of cure among light-curing units in clinical use. J Dent, 27:235-241, 1999.
Scientific Documentation $Tetric^{(R)}$ N-Ceram Bulk Fill. Available from URL : http://www.ivoclarvivadent.co.kr/ko/products/restorative-materials/composites/tetric-n-ceram-bulk-fill 2014. (Accessed on November 3, 2015).
$Filtek^{TM}$ bulk-fill-posterior restorative technical product profile.Available from URL : http://multimedia.3m.com/mws/media/976634O/filtek-bulk-fillposterior-restorative-technical-product-profile.pdf 2015 (Accessed on November 3, 2015).
Biasi MD, Calvi RM, Angerame D : Microhardness of a new flowable composite liner for posterior restorations. Dent Mater, 26:e25, 2010.
Frankenberger R, Perdigao J, Rosa BT, et al. : 'Nobottle' vs 'multi-bottle' dentin adhesives - a microtensile bond strength and morphological study. Dent Mater, 17:373-380, 2001.
Abed YA, Sabry HA, Alrobeigy NA : Degree of conversion and surface hardness of bulk-fill composite versus incremental-fill composite. Tanta Dent J, 12:71-80, 2015.
Flury S, Hayoz S, Lussi A, et al. : Depth of cure of resin composites : Is the ISO 4049 method suitable for bulk fill materials? Dent Mater, 28:521-528, 2012.
Korean Dental Material Prof. Council : Dental materials, 5th ed. Koonja Publishing INC. 58-60, 2008.
Mandikose MN, Mcgicney GP, Carter JM, et al. : A comparison of the wear resistence and hardness of indirect composite resin. J Prosth Dent, 85:386-395, 2001.
Hubbezoglu I, Bolayir G, Bek B, et al. : Microhardness Evaluation of Resin Composites Polymerized by Three Different Light Sources. Dent Mater J, 26:845-853, 2007.
Santos GB, Medeiros IS, Braga RR, et al. : Composite Depth of Cure Obtained with QTH and LED Units Assessed by Microhardness and Micro-Raman Spectroscopy. Oper Dent, 31:79-83, 2007.
Alshali RZ, Silikas N, Satterthwaite JD : Degree of conversion of bulk-fill compared to conventional resin-composites at two time intervals. Dent Mater, 29:e213-e217, 2013.
Gajewski VES, Pfeifer CS, Braga RR, et al. : Monomers Used in Resin Composites : Degree of Conversion, Mechanical Properties and Water Sorption/Solubility. Braz Dent J, 23:508-514, 2012.
Ilie N, KeBler A, Durner J : Influence of various irradiation processes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and polymerisation kinetics of bulk-fill resin based composites. J Dent, 41:695-702, 2013.
Galvo MR, Caldas SG, Andrade MF, et al. : Evaluation of degree of conversion and hardness of dental composites photoactivated with different light guide tips. Eur J Dent, 7:86-93, 2013.
Pazinatto FB, Campos BB, Atta MT : Effect of the number of thermocycles on microleakage of resin composite restorations. Presqui Odontol Brass, 17:337-341, 2003.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