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판중인 불소 바니쉬의 불소이온 유리량 및 초기우식병소의 재광화 효과 비교
A Comparison of the Amount of Fluoride Ion Released and Remineralization Effect on the Initial Caries Lesion of the Various Fluoride Varnishes 원문보기

大韓小兒齒科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 v.43 no.4, 2016년, pp.443 - 451  

이가영 (조선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소아치과학교실) ,  이상호 (조선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소아치과학교실) ,  이난영 (조선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소아치과학교실) ,  지명관 (조선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소아치과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현재 시판되고 있는 불소 바니쉬 제품의 불소이온 유리 능력을 측정하고 이와 함께 정량 광 형광기를 이용하여 치질의 재광화 효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평가하고자 하는 불소 바니쉬는 다음과 같은 6가지 제품을 대상으로 하였다; $FluoroDose^{(R)}$ (FD, Centrix Inc., USA), $Enamelast^{TM}$ (EL, Ultradent Product Inc., USA), $Clinpro^{TM}$ white varnish (CW, 3M ESPE, USA), $CavityShield^{TM}$ (CS, 3M ESPE, USA), V $varnish^{TM}$ (VV, Vericom, Korea), MI $varnish^{TM}$ (MI, GC, Japan). MI $varnish^{TM}$와 V $varnish^{TM}$에서 누적 불소이온 유리량과 재광화율이 가장 높게 나타난(p < 0.05) 반면 CS $varnish^{TM}$가 가장 낮은 누적 불소이온 유리량과 재광화율을 보였다(p < 0.05).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ubjects of this study were : $FluoroDose^{(R)}$ (FD, Centrix Inc., USA), $Enamelast^{TM}$ (EL, Ultradent Product Inc., USA), $Clinpro^{TM}$ white varnish (CW, 3M ESPE, USA), $CavityShield^{TM}$ (CS, 3M ESPE, USA), V $varnish^{TM}$ (VV, Verico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불소 바니쉬의 불소이온 유리량과 재광화율의 상관관계를 도출하였다. 비록 7일이라는 단기간의 실험이었지만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6가지의 불소 바니쉬를 실험하였으며, 불소 바니쉬의 재광화 효과에 불소이온 유리량이 미치는 영향을 평가할 수 있었다.
  • 이와 같은 불소 바니쉬의 불소이온 유리능력을 평가할 때 사람을 대상으로 한 경우 식이습관, 잇솔질 습관, 타액의 점도와 분비량에 따라 불소 바니쉬의 구강내 부착능과 씻김현상에 대한 개인당 편차가 커서 정확한 비교가 어려울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는 실험실적인 연구로 재광화 정도가 비슷한 시편을 얻기 위해 소의 치아를 사용하였으며 불소이온을 측정하는 과정에서 불소바니쉬가 도포된 시편이 담긴 인공타액을 매 3시간마다 1/2씩 교체함으로써 실제 구강환경을 재현하고자 노력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불소이온 유리량 뿐 아니라 불소 바니쉬의 재광화 능력도 동시에 평가하였다. 그리하여 불소이온 유리량과 불소 바니쉬에 의한 법랑질의 재광화 능력의 상관관계를 볼 수 있었다.
  • 이와 같이 불소 바니쉬의 효능에 대한 여러 연구가 진행되어오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시판중인 다양한 불소 바니쉬 제품에 대한 효과나 성능에 관해 비교, 평가한 연구는 미진한 실정이여서 임상가들은 근거기반의 불소 바니쉬 선택에 대한 정보가 여전히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현재 시판되고 있는 불소 바니쉬 제품의 효능을 보다 정확히 평가하기 위해 실험실적으로 구강내 타액에 의한 씻김현상을 재현하여 이들의 불소 유리 능력을 측정하고 이와 함께 QLF를 이용하여 치질의 재광화 효과를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불소는 치아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가? 치아우식증 예방에 효과적으로 알려져 있는 불소는 법랑질의 탈회방지는 물론 탈회된 법랑질의 재광화에 의한 치질의 복원을 가능하게 한다1). 치아우식증 예방을 위한 불소의 적용방법은 크게 전신적 투여방법과 국소적 투여방법으로 나뉘는데, 전신적 투여방법은 상수도수 불소화, 불소보조제 복용 등이 있으며 국소적 투여방법으로는 불소치약의 사용, 불소양치, 전문가불소도포 등이 있다.
불소 바니쉬의 치아우식증 예방 효과에 대한 선행 연구 결과는 어떠한가? 불소 바니쉬의 치아우식증 예방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많은 연구들이 보고되어왔다. Ritwik 등31)은 5% NaF를 함유하는네 종류의 불소 바니쉬인 Premier Enamel ProVarnishTM, Colgate PreviDentTM, Omni VarnishTM, Omni Varnish XTTM를 각각 발거된 치아에 적용하였고 인공 타액에 담근 후 불소 방출량을 48시간 동안 측정하였다. 그 결과에서 Premier Enamel ProVarnishTM가 가장 많은 불소이온을 유리하여 불소 이온 유리량이 제품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제시하기도 하였다.
QLF는 치질의 재광화 효과를 어떻게 평가하는가? QLF (Quantitative Light-induced Fluorescence)는 치질의 재광화 효과를 비침습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기기로, 405 nm 파장의 푸른색 가시광선을 치아 표면에 조사하고 치면에서의 형광현상을 이용해21-23) 치질의 탈회정도나 초기 치아우식증을 탐지하고, 치질에서의 형광이 소실된 정도를 정량화시켜 초기 치아우식병소의 깊이나 치질의 탈회와 재광화 정도를 평가할 수 있다23,2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Hellwig E, Lennon AM : Systemic versus topical fluoride. Caries Res, 38:258-262, 2004. 

  2. Beltran-Aguilar ED, Goldstein JW, Lockwood SA : Fluoride varnishes. A review of their clinical use, cariostatic mechanism, efficacy and safety. J Am Dent Assoc, 131:589-96, 2000. 

  3. White DJ, Nelson DGA, Faller RV : Mode of action of fluoride: application of new techniques and test methods to the examination of the mechanism of action of topical fluoride. Advances in Dental Research, 8:166-174, 1994. 

  4. Ogaard B, Seppa L, Rolla G : Professional topical fluoride applications -clinical efficacy and mechanism of action. Adv Dent Res, 8:190-201, 1994. 

  5. Mohammadi TM, Hajizamani A, Hajizamani HR, Abolghasemi B : Fluoride Varnish Effect on Preventing Dental Caries in a Sample of 3-6 Years Old Children. J Int Oral Health, 7:30-35, 2015. 

  6. Fejerskov O, Thylstrup A, Larsen MJ : Rational use of fluorides in caries prevention. A concept based on possible cariostatic mechanism. Acta Odontol Scand, 39:241-249, 1981. 

  7. Ten Cate JM : In vitro studies on the effects of fluoride on de- and remineralization. J Dent Res, 69:614-619, 1990. 

  8. Munshi AK, Reddy NN, Shetty V : A comparative evaluation of three fluoride varnishes : an in-vitro. J Indian Soc Pedod Prev Dent, 19:92-102, 2001. 

  9. Hodgson BD : An alternative technique for applying fluoride varnish. J Am Dent Assoc, 136:1295-1297, 2005. 

  10. Adair SM : Current fluoride therapy in dentistry for children. Current Opinion Dent, 1:583-591, 1991. 

  11. Kim MJ, Lee SH, Lee NY, Lee IH : Evaluation of the effect of PVA tape supplemented with 2.26% fluoride on enamel demineralization using microhardness assessment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in vitro study. Arch Oral Biol, 58:160-166, 2013. 

  12. Im SO, Lee SH, Lee NY, Park SH : The Fluoride releasing effect of PVA fluoride-polymer adhesive tape. J Korean Acad Pediatr Dent, 38:327-336, 2011. 

  13. Jih MK, Lee SH, Lee NY : Effect of polymer adhesive film supplemented 5% NaF on enamel remineralization. J Korean Acad Pediatr Dent, 41:218-224, 2014. 

  14. Hazelrigg CO, Dean JA, Fontana M : Fluoride varnish concentration gradient and its effect on enamel demineralization. Pediatr Dent, 25:119-126, 2003. 

  15. Petersson LG, Twetman S, Lingstrom P : Professional fluoride varnish treatment for caries control: a systematic review of clinical trials. Acta Odontol Scand, 62:170-176, 2004. 

  16. Cochrane NJ, Shen P, Yuan Y, Reynolds EC : Ion release from calcium and fluoride containing dental varnishes. Aust Dent J, 59:100-105, 2014. 

  17. Kim HN, Jeong MS, Jeong SH, et al. : Evaluation of release of fluoride from dental varnishes marked in Korea. J Korean Acad Oral Health, 38:131-137, 2014. 

  18. Toumba KJ, Curzon ME : A clinical trial of a slowreleasing fluoride device on children. Caries Res, 39:195-200, 2005. 

  19. Marini I, Cecchi L, Vecchiet F, et al. : Intraoral fluoride releasing device: a new clinical therapy for dentine sensitivity. J Periodontol, 71:90-95, 2000. 

  20. Zero DT, Fu J, Espeland MA, et al. : Comparison of fluoride concentrations in unstimulated whole saliva following use of a fluoride dentifrice and a fluoride rinse. J Dent Res, 67:1257-1262, 1988. 

  21. Lindahl CB : Fluoride and monofluorophosphate analysis. Caries Res, 17:9-20, 1983. 

  22. Retief DH, Summerlin DJ, Harris BE, et al. : An evaluation of three procedures for fluoride analysis. Caries Res, 19:248-254, 1985. 

  23. Front MS, Ross JW jr : Use of total ionic strength adjustment buffer for electrode determination of fluoride in water supplies. Anal Chem, 40:1169-1171, 1968. 

  24. Edelstein BL, Cottrel D, O sullivan D, et al. : Comparison of colorimeter and electrode analysis of water fluoride. Pediatr Dent, 14:47-49, 1992. 

  25. Weinberger SJ, Johnston DW, Wright GZ : A comparison of two systems for measuring water fluoride ion level. Clin Prev Dent, 11:19-22, 1989. 

  26. Ritwik P, Aubel JD, Hagan J : Evaluation of shortterm fluoride release from fluoride varnishes. J Clin Pediatr Dent, 36:275-278, 2012. 

  27. Alamoudi SA, Pani SC, Alomari M : The effect of the addition of tricalcium phosphate to 5% sodium fluoride varnishes on the microhardness of enamel of primary teeth. Int J Dent, 2013:486358, 2013. 

  28. Tabrizi A, Cakirer B : A comparative evaluation of casein phosphopeptide-amorphous calcium phosphate and fluoride on the shear bond strength of orthodontic brackets. Eur J Orthod, 33:282-287, 2011. 

  29. Huang GJ, Roloff-Chiang B, Matunas JC, et al. : Effectiveness of MI Paste Plus and PreviDent fluoride varnish for treatment of white spot lesion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143:31-41, 2013. 

  30. Pereira Ade F, Silva TC, Buzalaf MA, et al. : Xylitol concentrations in artificial saliva after application of different xylitol dental varnishes. J Appl Oral Sci, 20:146-150, 2012. 

  31. Margolis HC, Moreno EC : Physiochemical perspectives on the cariostatic mechanism of systemic and topical fluorides. J Dent Res, 69:606-613, 1990. 

  32. Pretty IA : Caries detection and diagnosis: Novel technologies. J Dent, 34:727-739, 2006. 

  33. Stookey GK : Quantitative light fluorescence: a technology for early monitoring of the caries process. Dent Clin North Am, 49:753-770, 200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