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관계미학을 중심으로 본 유휴공간의 예술적 재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rtistic Regeneration of Idle Spaces focused on the Relational Aesthetics 원문보기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v.25 no.6 = no.119, 2016년, pp.127 - 138  

허주연 (가천대학교 실내건축학과) ,  이정욱 (가천대학교 실내건축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the dark side of society, Idle spaces, which occurred with the paradigm change due to rapid modernization and industralization, has been existing as a severed part in cities. But with the periodic change, interest in the existing place and regional regeneration, and the necessity of reconsiderin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작가-예술(작품)-관람자의 관계형성이 공간에서 어떻게 나타나는지 분석하여 현대예술의 실천적 형태의 특성을 도출해내고, 이를 통해 예술적 재생공간이 어떻게 발현되는지 연구한다. 더불어 예술적 재생공간의 각 유형의 사례들의 관계형성에 따른 예술의 실천적 형태와 공간적 특징을 종합 분석하여, 유휴공간의 예술적 재생 공간의 의미를 파악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 앞서 선행되어지는 연구는 현대예술의 형식과 향유의 변화가 공간과 밀접한 관계를 맺으며 유휴공간의 예술적 재생의 대두와 연관이 있음을 이해한다. 또한 더욱 심화된 이해를 위해 현대예술의 현상을 면밀히 고찰하여 예술의 사회적 관계로서의 의미 변화과정에 대해 연구하고, 관계미학의 확장적인 해석을 통해 작가-예술(작품)-관람자의 관계가 어떻게 형성되는지 연구한다.
  • 본 연구는 유휴공간의 예술적 재생에 대해 보이지 않는 작가-예술(작품)-관람자의 관계형성에 따른 공간과의 관계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던지며, 이러한 관계를 통해 구축되어지는 공간의 역할과 의미에 대한 논의를 담고 있기에 가치가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를 기반으로 예술을 매개로한 유휴공간의 재생이 상호소통적인 관계 형성과 지역, 장소와의 관계를 고려하여, 삶에서 예술의 향유를 증대시키는 ‘장’이 되기를 기대해 본다.
  • 사례의 종합 분석을 통해 각 유형의 발생 원인에 따른 특징은 명확하게 드러나지 않지만, 정책적 재생인 경우 역사적인 건축물의 보존 의미와 함께 대중적인 문화예술 공간의 조성이 목적으로 드러난다. 반면, 자생적으로 재생된 경우는 민간단체, 시민들, 예술가들의 활발한 활동이 건축물의 존폐에 대한 정책적인 결정에 영향을 미치면서, 시대적 유산으로서 건축물을 보전하게 되는 결과를 낳았다.
  • 이에 본 연구는 ‘작품’(오브제)의 한계적인 영역에서 벗어나 사회적 교류 관계로 확장되고 있는 현대예술의 현상과 관계미학의 개념을 고찰하여 공간에서 작가-예술 관람자간의 관계형성이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파악하고, 관계미학의 확장적인 해석을 통해 작가-예술-관람자의 관계형성에 따른 예술적 재생공간의 유형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러한 관계미학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예술로 재생된 공간의 의미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작품’(오브제)의 한계적인 영역에서 벗어나 사회적 교류 관계로 확장되고 있는 현대예술의 현상과 관계미학의 개념을 고찰하여 공간에서 작가-예술 관람자간의 관계형성이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파악하고, 관계미학의 확장적인 해석을 통해 작가-예술-관람자의 관계형성에 따른 예술적 재생공간의 유형을 분석하고자 한다.
  • 특히, 작가-예술(작품)-관람자의 관계형성이 공간에서 어떻게 나타나는지 분석하여 현대예술의 실천적 형태의 특성을 도출해내고, 이를 통해 예술적 재생공간이 어떻게 발현되는지 연구한다. 더불어 예술적 재생공간의 각 유형의 사례들의 관계형성에 따른 예술의 실천적 형태와 공간적 특징을 종합 분석하여, 유휴공간의 예술적 재생 공간의 의미를 파악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니콜라 부리요가 현대예술을 새로운 맥락으로 관계미학을 인식하는 사상적 배경은? 니콜라 부리요(Nicolas Bourriaud)는 60년대의 과정미술, 개념미술가들의 시도와는 다른 내용을 내포하고 있는 90년대 예술가들의 예술적 실천에 주목하여 현대예술의 새로운 맥락으로 관계미학을 인식한다. 이는 예술가가 보다 더 나은 삶의 방편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하는 주장으로 미셀 드 세르토(Michel de Centreau)의 ‘문화의 거주자(a tenant of culture)’로서의 예술가 개념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17) 이런 맥락으로 니콜라 부리요의 관계 예술은 “인간의 상호작용의 영역과 그 영역의 사회적 맥락을 이론적 지평으로 삼는 예술”18)로서 기존의 감상의 대상으로 작품을 관조, 관망하던 형태를 규정하던 직관적이며 상징적인 공간에서 변화한 것이다.
오늘 날의 예술실천이란? 이는 예술이 일종의 장치로서 예술가 들에 의해 완성된 작품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관객의 참여를 통하여 다양한 메시지를 생산해내고 있는 것이다. 즉, 오늘날의 예술실천은 자율성(autonomy), 작가의 권한(authority), 확고한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했던 과거의 예술과의 커다란 변별성이라 할 수 있다.14) 그러므로 현대예술은 “대체 누구를, 무엇을 위해서”라는 물음을 가지며, 이는 오래되고 지루하게 느껴지는 우리의 ‘일상’과 예술의 간극에 집중한다고 할 수 있다.
현대예술이 집중하는 대상은? 즉, 오늘날의 예술실천은 자율성(autonomy), 작가의 권한(authority), 확고한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했던 과거의 예술과의 커다란 변별성이라 할 수 있다.14) 그러므로 현대예술은 “대체 누구를, 무엇을 위해서”라는 물음을 가지며, 이는 오래되고 지루하게 느껴지는 우리의 ‘일상’과 예술의 간극에 집중한다고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니콜라 부리요, 관계의 미학, 현지연 역, 미진사, 2011 

  2. 하반기 경기도미술관 기획강좌 한권의 책, 여덟 가지 시선: 니꼴라 부리요 '관계의 미학' 강의 자료집, 경기도 미술관, 2012 

  3. ART TALK: BETWEEN ART and AUDIENCES, 주한영국문화원/국립현대미술관, 2012 

  4. 김상우, 울산의 유휴공간, 문화예술인 '창작공간'으로, 이슈리포트, 93호, 2015 

  5. Brian O'Doherty, Inside the white cube: The ideology of gallery space, Santa Monica, CA: The Lapis Press, 1998 

  6. 민연옥, 장소성 구축에 의한 유휴산업시설 재생 디자인 방법에 관한 연구, 건국대 석사논문, 2011 

  7. 곽수정, 유휴(遊休)공간의 문화공간화를 위한 콘텐츠 연구, 국민대 박사논문, 2006 

  8. 박미라, 유휴 산업시설을 재생한 상하이 창의공간의 디자인 표현특성, 건국대 석사논문, 2015 

  9. 박성연, 관계맺음의 스토리텔링: 시간과 공간 속 개인의 흑적, 이화여대 박사논문, 2014 

  10. 박신의, 유럽의 폐 산업시설 활용 문화예술공간 연구: 문화예술 경영의 개념적 확장과 연관하여, 인하대 박사논문, 2011 

  11. 이덕진, 유휴공간을 재활용한 문화공간 구축에 관한 연구, 경성대 박사논문, 2014 

  12. 김연진, 유휴공간 문화적 활용의 의의와 방향, 문화정책논총 제21집, 2009 

  13. 김성원, 상호교류와 공존의 미학: 90년대 현대미술을 중심으로,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제13권 제2호, 2015 

  14. 김허경, 정금희, 프랑스 미술관의 확장된 공간연구, 프랑스문화연구, 제18집, 2009 

  15. 김현주, 이상호, 유휴공간 재활용 계획에 나타나는 도시재생개 념의 영향 분석: 기존 연구에 등장하는 계획 사례를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지, 제27권 제6호, 2011 

  16. 박신의, 폐 산업시설 활용 문화의 구도와 방향, 문화정책논총, 제26집, 2012 

  17. 이지은, 올라푸 엘리아슨(Olafur Eliasson)의 작품을 통해 보는 미술의 집단적 체험과 공동체적 소통의 가능성, 서양미술사학회논문집 제 31집, 2009 

  18. http://www.arnolfini.org.uk/ 

  19. http://iuum.com/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