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무제치늪에 자생하는 식물의 뿌리에서 분리한 내생진균의 군집분석 및 다양성 분석
Community Analysis of Endophytic Fungal strains Isolated from the Roots of Plants Inhabiting Mujechi-neup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26 no.12 = no.200, 2016년, pp.1446 - 1457  

천우재 (경북대학교 생명과학부) ,  최혜림 (경북대학교 생명과학부) ,  김현 (경북대학교 생명과학부) ,  남윤종 (경북대학교 생명과학부) ,  오유선 (경북대학교 생명과학부) ,  정민지 (경북대학교 생명과학부) ,  이난영 (경북대학교 생명과학부) ,  하상철 (대구미래대학교 제과데코레이션학과) ,  김종국 (경북대학교 생명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논문은 무제치늪에서 채집한 기장대풀(Isachne globosa Kuntze), 솔방울고랭이(Scirpus karuisawensis Makino), 이삭귀개(Utricularia racemosa Wall.), 좀개수염(Eriocaulon decemflorum Maxim.)등 4종의 식물 뿌리에서 서식하는 내생곰팡이의 분포 및 다양성을 확인하기 위해 조사하였다. 총 226 균주가 분리되었고, 3문(Phyla), 7강(Class), 10목(Order), 22과(Family), 31(genera)속으로 분리되었다. 내생진균에서 가장 많이 분리된 속은 Acephala (19.9%), Tolypocladium (16.3%), Neopestalotiopsis (11.5%), Perenniporia (7.1%) 순으로 확인하였다. 다양성지수 분석에 있어서, 이삭귀개(Ur)가 다른 식물 종에 비해 종 풍부도 (Menhinick's index = 2.37), (Margalef's index = 4.46)와, 종 균등도 (Simpson's index diversity = 0.91), 그리고 종 다양성(Shannon's indx = 2.57)로 높게 나왔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봤을 때, 이삭귀개(Ur)에서 내생진균이 가장 다양하게 서식할 수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tlands exhibit intermediate characteristics of both terrestrial and aquatic ecosystems, and the biodiversity is rich in these unique biological habitats. The symbiotic relationships between plants and fungi that inhabit these wetlands play an important role in natural resource management, biodiv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나의 식물에 많은 균을 형성 할 수 있으며, 하나의 균은 여러 식물을 연결 할 수 있다[7, 9, 32]. 또한, 식물과 내생진균이 가지고 있는 환경적으로 다른 특성과 균류에 의한 유전적 다양성이 함께 영향을 미쳐서, 균이 식물 뿌리에서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해주어 서로 상호 의존적인 기능을 하게 하는 것이다. 즉, 식물과 내생하는 균류의 상리공생은 식물에게 있어 종 다양성을 풍부하게 만들어주고, 식물 뿌리에 공생하는 곰팡이의 종 다양성을 풍부하게 만들어주며, 자연생태계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 생존력과 경쟁력을 갖출 수 있게 해 주는 것이다[1, 28].
  • 본 연구는 무제치늪에 자생하고 있는 4종의 식물로부터 32속에 해당하는 내생진균류를 분리 및 동정하였다. Acephala속은 이 연구에서 가장 중요한 우점종이다.
  • 본 연구에서는 내생진균의 분포 및 다양성 분석을 통하여 유연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무제치늪에서 자생하는 식물 뿌리의 내생진균류를 형태적으로 순수분리하여 동정하였고, 다양성지수(diversity index)를 확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내생진균은 어떤 미생물인가? 내생진균는 식물과 공생 및 공존하는 미생물로서 천연 자원관리, 종 다양성, 보존 및 복원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공생관계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면서, 식물과 균류사이의 생리학적 상호 작용의 메커니즘에 대한 이해가 증가했다.
식물과 내생하는 균류의 상리공생은 식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또한, 식물과 내생진균이 가지고 있는 환경적으로 다른 특성과 균류에 의한 유전적 다양성이 함께 영향을 미쳐서, 균이 식물 뿌리에서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해주어 서로 상호 의존적인 기능을 하게 하는 것이다. 즉, 식물과 내생하는 균류의 상리공생은 식물에게 있어 종 다양성을 풍부하게 만들어주고, 식물 뿌리에 공생하는 곰팡이의 종 다양성을 풍부하게 만들어주며, 자연생태계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 생존력과 경쟁력을 갖출 수 있게 해 주는 것이다[1, 28].
산지습지는 수질 정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어떤 능력 때문인가? 산지습지의 생태계는 육상 생태계와 수중생태계의 중간 특성을 띄고 있어, 독특한 생물 서식처로 생물다양성이 풍부하다. 또한 탄소 저장능력이 뛰어나며, 독성물질을 늪에 가두는 능력이 있어 수질을 정화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20, 30]. 이러한 특성이 잘 나타나있는 무제치늪은 자연환경을 연구할 학술적 가치가 매우 크기 때문에 생태계 보전지역(Ministry of Environment Republic of Korea, 1998) 및 람사르 습지로 지정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Allen, M. F., Swenson, W., Querejeta, J. I., Egerton-Warburton, L. M. and Treseder, K. K. 2003. Ecology of mycorrhizae: A conceptual framework for complex interactions among plants and fungi. Annu. Rev. Phytopathol. 41, 271-303. 

  2. Ayers, S., Zink, D. L., Mohn, K., Powell, J. S., Brown, C. M., Bills, G., Grund, A., Thompson, D. and Singh, S. B. 2010. Anthelmintic constituents of Clonostachys candelabrum. J. Antibiotics. 63, 119-122. 

  3. Bae, J. J., Choo, Y. S. and Song, S. D. 2003. The patterns of inorganic cations, nitrogen and phosphorus of plants in moojechi moor on Mt. Jeongjok. Soil Biol. Biochem. 31, 965-977. 

  4. Brotman, Y., Cuadros-Inostroza, A., Takayuki, T., Fernie, A.R., Chet, I., Viterbo, A. and Willmitzer, L. 2013. Trichodermaplant root colonization: Escaping early plant defense responses and activation of the antioxidant machinery for saline stress tolerance. PloS Pathog. 9: e1003221. doi:10.1371/journal.ppat.1003221 

  5. Chamorro, M., Aguado, A. and De los Santos, B. 2016. First report of root and crown rot caused by Pestalotiopsis clavispora (Neopestalotiopsis clavispora) on strawberry in Spain. J. APS. 100, 1495. 

  6. Cheon, W. and Jeon, Y. 2016. First report of anthracnose caused by Colletotrichum spaethianum of Fragrant plantain lily in Korea. J. APS. 7, 1498. 

  7. Clay, K. And Holah, J. 1999. Fungal endophyte symbiosis and plant diversity in successional fields. Science 285, 10.1126/science.285.5434.1742. 

  8. Decock, C. 2006b. Studies in Perenniporia: Polyporus unitus, Boletus medulla-panis, the nomenclature of Perenniporia, Poria and Physisporus, and a note on europcan Perenniporia with a resupinate basidiome. Taxon 55, 759-778. 

  9. Gianinazzi-Pearson, Vivienne. 1996. Plant cell responses to arbuscular mycorrhizal fungi: Getting to the roots of the symbiosis. Plant Cell. 8, 1871-1883. 

  10. Goettel, M. S. 1988. Pathogenesis of the hyphomycete Tolypocladium cylindrosporum in the mosquito Aedes aegypti. J. Invert. Pathol. 51, 259-274. 

  11. Grunig, C. R. and Sieber, T. N. 2005. Molecular and phenotypic description of the widespread root symbiont Acephala applanata gen. Et sp. Nov., formerly known as dark-septate endophyte Type 1. Mycologia 97, 628-640 

  12. Hill, M. O. 1973. Diversity and evenness: A unifying notation and its consequences. Ecology 54, 427-432. 

  13. Hill, T. C., Walsh, K. A., Harris, J. A. and Moffett, B. F. 2003. Using ecological diversity measures with bacterial communities. FEMS Microbiol. Ecol. 43, 1-11. 

  14. Howell, C. R. 2002. Mechanisms employed by Trichoderma species in the biological control of plant diseases: The history and evolution of current concepts. Phytopathol. 87, D-2002-1028-01F. 

  15. Jost, L. 2006. Entropy and diversity. Ecology 113, 363-75. 

  16. Khan, S. A., Hamayun, M., Yoon, H. J., Kim, H. Y., Suh, S. J., Hwang, S. K., Kim, J. M. and Kim, J. G. 2008. Plant growth promotion and Penicillium citrinum. BMC Microbiol. 8, 231. 

  17. Khan, S. A., Hamayun, M., Kim, H. Y., Yoon, H. J., Seo, J. C., Choo, Y. S., Lee, I. J., Kim, S. D., Rhee, I. K. S. J. and Kim, J. G. 2009. A new strain of Arthrinium phaeospermum isolated from Carex kobomugi Ohwi is capable of gibberellin production. Biotechnol. Lett. 31, 283-287. 

  18. Kil, Y. J., Eo, J. K. and Eom, A. H. 2009. Molecular identification and diversity of endophytic fungi isolated from Pinus densiflora in Boeun, Korea. Kor. J. Mycol. 37, 130-133. 

  19. Kim, H., You, Y. H. Yoon, H., Seo, Y., Kim, Y. E., Choo, Y. S., Lee, I. J., Shin, J. H. and Kim, J. G. 2014. Culturable fungal endophytes isolated from the root of coastal plant inhabiting korean east coast. Mycobiology 42, 100-108. 

  20. Kim, H. G., Jeong, J. Y. and Koo, B. H. 2010. The identification and vegetation structure of several mountainous wetlands in Dan-yang and around area. J. Kor. Env. Res. Tech. 13, 1-13. 

  21. Kim, J. W. and Kim, J. H. 2003. Vegetation of moojechi moor in Ulsan: Syntaxonomy and syndynamics. Kor. J. Ecol. 26, 281-287. 

  22. Lugo, A. E., Brown, S. and Brinson, M. M. 1988. Forested wetlands in freshwater and salt-water environments. Limnol. Oceanogr, Inc. 33, 894-909. 

  23. Moreno, C. A., Castillo, F., Gonzalez, A., Bernal, D., Jaimes, Y., Chaparro, M., Gonzalez, C., Rodriguez, F., Restrepo, S. and Cotes, A. M. 2009. Biological and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the response of tomato plants treated with Trichoderma koningiopsis. Physol. Plant Pathol. 74, 111-120. 

  24. Park, J. K. and Chang, N. K. 1998. Past vegetation of moojaechi on Mt. Jungjok by pollen analysis. Kor. J. Ecol. 21, 427-433. 

  25. Park, S. J., An, B. R., Jang, S. Y. and Park, S. J. 2011. Diversity of moojechineup's flora. Kor. J. PI. Taxon. 41, 376-382. 

  26. Quilliam, R. S. and Jones, D. 2010. Fungal root endophytes of the carnivorous plant Drosera rotundifolia. Mycorrhiza 20, 341-348. 

  27. Santana, K. F. A., Garcia, C. B., Matos, K. S. and Hanada, R. E. 2016. First report of anthracnose caused by Colletotrichum spaethianum on Allium fistulosum in Brazil. J. APS. 1, 224. 

  28. Schreiner, R. P., Mihara, K. L., McDanie,l H. and Bethlenfalvay, G. J. 1997. Mycorrhizal fungi influence plant and soil functions and interactions. Plant Soil 188, 199-209. 

  29. Smolander, A. and Priha, O. 1999. Nitrogen transformations in soil under Pinus sylvestris, Picea abies and Betula pendula at two forest sites. Kor. J. Ecol. 26, 109-114. 

  30. Son, H. J., Kim, Y. S., Kim, S. C., Kim, S. C., Lee, H. B. and Park, W. G. 2015. Plants species diversity and flora of wetlands in the forest of Gangwon province. Kor. J. Plant Res. 28, 419-440. 

  31. Tamura, K., Stecher, G., Peterson, D., Filipski, A. and Kumar, S. 2013. MEGA6: molecular evolutionary genetics analysis version 6.0. Mol. Biol. Evol. 30, 2725-2729. 

  32. Van der H., Marcel, G. A., John, N. K., Margot, U., Peter, M., Ruth, S., Thomas, B., Andres, W. and Ian, R. S. 1998. Mycorrhizal fungal diversity determines plant biodiversity ecosystem variability and productivity. Nature 396, 69-72. 

  33. Vazquez, M. M., Cesar, S., Azcon, R. and Barea, J. M. 2000. Interactions between arbuscular myorrhizal fungi and other microbial inoculants (Azospirillum, Pseudomonas, Trichoderma) and their effects on microbial population and enzyme activities in the rhizosphere of maize plants. Appl. Soil Ecol. 15, 261-272. 

  34. Vinale, F., Sivasithamparam, K., Ghisalberti, E. L., Marra, R., Woo, S. L. and Lorito, M. 2008. Trichoderma-plant-pathogen interactions. Soil Biol. Biochem. 40, 1-10. 

  35. Yamada, A., Ogura, T., Degawa, Y. and Ohmasa, M. 2001. Isolation of Tricholoma matsutake and T. Bakamatsutake cultures from field-collected ecotomycorrhizas. Mycoscience 42, 43-50. 

  36. You, Y. H., Yoon, H, Woo, J. R., Seo, Y, Shin, J. H., Choo, Y. S., Lee, I. J. and Kim, J. G. 2011. Plant growth promotion activitiy of endophytic fungi isolated from the roots of Calystegia soldanella. Kor. J. Microbiol. Biotechnol. 39, 324-329. 

  37. You, Y. H., Yoon, H., Woo, J. R., Seo, Y., Kim, M., Lee, G. and Kim, J. G. 2012. Diversity of endophytic fungi from the roots of halophytes growing in go-chang salt marsh. J. Mycology 40, 86-92. 

  38. Zabalgogeazcoa, I., Oleaga, A. and Perez-Sanchez, R. 2008. Pathogenicity of endophytic entomopathogenic fungi to Ornithodoros erraticus and Ornithodoros moubata (Acari: Argasidae). Veterinary Parasitol. 158, 336-34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