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Hunt 해석해를 이용한 천부대수층 지하수 양수로 인한 하천수 감소 영향 분석
Evaluation of stream depletion from groundwater pumping in shallow aquifer using the Hunt's analytical solution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49 no.11, 2016년, pp.923 - 930  

이정우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하천연구소) ,  정일문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하천연구소) ,  김남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하천연구소) ,  홍성훈 (한강홍수통제소 수자원정보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2층 누수대수층-하천 시스템에 관한 Hunt (2009)의 해석해를 이용하여 천부대수층 지하수 양수가 하천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대수층 및 하상의 수리특성 조건에 따라 총 2,187가지 경우의 수에 대해서 양수량 대비 하천수 감소량을 산정한 결과 하천고갈인자가 1,000-10,000 보다 큰 경우에 비교적 작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하천바닥층 수리전도도보다는 1, 2층간 반대수층의 수리전도도 크기에 상대적으로 민감한 반응을 보였다. 또한, Hunt (1999)의 해석해로 산정한 하천수 감소비에 비해 최대 0.3을 넘는 차이가 발생하는 등 1층의 하천고갈인자가 큰 경우에는 2층의 수리특성치에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실제로 충주시에 위치한 임의의 천부지하수 관정에 적용하여 양수 경과시간에 따른 하천수 감소비를 산정한 결과 수일 내로 0.8을 초과하여 하천수에 미치는 영향이 단기간에 크게 발생하였으며, 또한 누수계수가 작고 천부대수층의 수리확산계수가 큰 지역에서는 하천-관정 이격거리가 하천수 감소량 크기를 결정하는데 지배적인 인자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stream depletion from groundwater pumping in shallow aquifer using the Hunt's analytical solution (2009) which considers a two-layer leaky aquifer-stream system. From the total 2,187 cases of simulations with combinations of various aquifer and stream properties, the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천부대수층 지하수 양수량 대비 하천수 감소량을 산정할 수 있는 Hunt (2009)의 해석해를 소개하고, 이 해석해를 이용하여 대수층 및 하상의 다양한 수리특성 조건에 따른 지하수 양수 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실제로 충주시에 위치한 임의 지하수 관정에 대해 하천수 감소량의 시간적 거동 특성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천부대수층 지하수 양수량 대비 하천수 감소량을 산정할 수 있는 Hunt (2009)의 해석해를 소개하고, 이 해석해를 이용하여 대수층 및 하상의 다양한 수리특성 조건에 따른 지하수 양수 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실제로 충주시에 위치한 임의 지하수 관정에 대해 하천수 감소량의 시간적 거동 특성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가설 설정

  • 여기서, B1과 B2는 각각 1층과 2층의 대수층 두께이고, Kv1과 Kv2는 각각 1층과 2층의 연직방향 수리전도도이며 본 연구에서는 이 값은 수평방향 수리전도도의 1/10로 가정하여 사용하였다.
  • 하상수리전도성 λ을 입력하기 위해서 하폭 W은 지도상에서 도측하여 15 m를 사용하였고, 미측정 값인 단위깊이당 하상수리전도도 Ks/M는 Lee et al. (2015)를 참고하여 1.0×10-5 1/s로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하수 양수로 하천으로의 지하수 유출량이 줄거나 하천수가 지하수계로 유입되면 어떤 현상이 발생하는가? 지하수 양수로 인해 하천으로의 지하수 유출량이 줄어들 거나 하천수가 역으로 지하수계로 유입되면 하천유량의 감소를 초래하게 되는데, 이러한 현상을 ‘streamflow depletion’, 또는 ‘stream depletion’ 이라 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하천유량 또는 하천수 감소, 고갈로 명명되고 있다. 이러한 하천수감소 정도를 정량적으로 예측, 평가하기 위해서는 지하수 양수에 따른 하천수 감소량을 실제 현장에서 직접 계측하거나 (Hunt et al.
대수층하천-양수정 시스템을 단순화한 조건에서 유도된 해석해를 이용한 지하수 양수 영향 분석에 관한 국내 연구는 무엇이 있는가? 해석해를 이용하여 하천수에 미치는 지하수 양수 영향을 분석한 국내 연구로는 Kim (2010)이 균질의 무한대수층에 관한 Hunt (1999)의 해석해를 갑천유역에 적용하여 하천수 감소율의 시간적 변화를 분석하였고, Lee et al. (2016b)이 역시 Hunt (1999) 해석해를 실제로 하천 인근에 위치한 지하수 관정에 적용하여 양수로 인한 지하수위 강하 및 하천수 감소량을 산정하고 대수층의 수리상수, 하천과 관정간의 이격거리, 하천바닥층의 하상수리전도도 등의 크기에 따른 그 변동 특성을 고찰하였다. 또한 Lee et al. (2016a)는 누수대수층-하천-양 수정 시스템 및 심부대수층 양수 조건에 대해 유도된 Ward and Lough (2011)의 해석해를 Lee et al. (2016b)의 분석 대상과 동일한 관정에 적용하여 하천수에 미치는 암반층 지하수양수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처럼 국내에서는 해석해를 이용하여 지하수 양수 영향을 분석한 연구가 드물게 수행되었으며, 해석해 적용의 간편함과 용이함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은 관계로 실무에 널리 활용되고 있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하천수감소를 정량적으로 예측, 평가하기 위해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 지하수 양수로 인해 하천으로의 지하수 유출량이 줄어들 거나 하천수가 역으로 지하수계로 유입되면 하천유량의 감소를 초래하게 되는데, 이러한 현상을 ‘streamflow depletion’, 또는 ‘stream depletion’ 이라 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하천유량 또는 하천수 감소, 고갈로 명명되고 있다. 이러한 하천수감소 정도를 정량적으로 예측, 평가하기 위해서는 지하수 양수에 따른 하천수 감소량을 실제 현장에서 직접 계측하거나 (Hunt et al., 2001; Kim et al., 2012a), 지하수 유동해석 모델링 (Sophocleous, 1995; Nyholm et al., 2003; Zume and Tarhule, 2008) 또는 지표수-지하수 통합모델링(Kim et al., 2012b, c; Lee et al., 2013)을 통해 간접적으로 산정해야 하며, 대수층하천-양수정 시스템을 단순화한 조건에서 유도된 해석해 (Theis, 1941; Glover and Balmer, 1954; Hantush, 1965; Hunt, 1999; Butler et al., 2001)를 활용할 수도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Butler Jr., J. J., Zhan, X., and Zlotnik, V. A. (2007). "Pumpinginduced drawdown and stream depletion in a leaky aquifer system." Ground Water, Vol. 45, No. 2, pp. 178-186. 

  2. Butler Jr., J. J., Zlotnik, V. A., and Tsou, M.-S. (2001). "Drawdown and stream depletion produced by pumping in the vicinity of a partially penetrating stream." Ground Water, Vol. 39, No. 5, pp. 651-659. 

  3. Environment Canterbury (2000). Guidelines for the assessment of groundwater abstraction effects on stream flow. 

  4. Hantush, M. S. (1965). "Wells near streams with semipervious beds."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Vol. 70, No. 12, pp. 2829-2838. 

  5. Hunt, B. (1999). "Unsteady stream depletion from ground water pumping." Ground Water, Vol. 37, No. 1, pp. 98-102. 

  6. Hunt, B. (2003). "Unsteady stream depletion when pumping from semiconfined aquifer." Journal of Hydrologic Engineering, Vol. 8, No. 1, pp. 13-19. 

  7. Hunt, B. (2008). "Stream depletion for streams and aquifers with finite widths." Journal of Hydrologic Engineering, Vol. 13, No. 2, pp. 80-89. 

  8. Hunt, B. (2009). "Stream depletion in a two-layer leaky aquifer system." Journal of Hydrologic Engineering, Vol. 14, No. 9, pp. 895-903. 

  9. Kim, G. B. (2010). "Application of analytical solution for stream depletion due to groundwater pumping in Gapcheon watershed, South Korea." Hydrological Processes, Vol. 24, pp. 3535-3546. 

  10. Kim, N. W., Lee, J., Chung, I. M., and Sung, G. Y. (2012b). "Analysis of effects of groundwater abstraction on streamflow for Sinduncheon watershed."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WRA, Vol. 45, No. 12, pp. 1259-1273. 

  11. Kim, N. W., Lee, J., Chung, I. M., and Kim, C. H. (2012a). "Change of groundwater-streamflow interaction according to groundwater abstraction in a green house land." Vol. 45, No. 10, pp. 1051-1067. 

  12. Kim, N. W., Lee, J., Lee, J. E., and Won, Y. S. (2012c). "Development of relational formula between groundwater pumping rate and streamflow depletion."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WRA, Vol. 45, No. 12, pp. 1243-1258. 

  13. Lee, J., Chun, S. G., Yi, M. J., Kim, N. W., Chung, I. M., and Lee, M. H. (2015). "Measurements of streambed hydraulic conductivity using drive-point piezometers and seepage meters in the upper reaches of anseong stream."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Vol. 25, No. 3, pp. 1-8. 

  14. Lee, J., Chung, I.-M., and Kim, N. W. (2016a). "Evaluation of stream depletion from groundwater pumping in deep aquifer using an analytical model."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ivil Engineering, Vol. 36, No. 5B, pp. 769-777. 

  15. Lee, J., Chung, I. M., Kim, N. W., and Lee, M. H. (2016b). "Evaluation of effects of groundwater pumping near stream using analytical model."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ivil Engineering, Vol. 36, No. 4B, pp. 617-625. 

  16. Lee, J., Kim, N. W., and Chung, I. M. (2013). "Assessment of streamflow depletion due to groundwater pumping from a well."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WRA, Vol. 46, No. 11, pp. 1079-1088. 

  17. McDonald, M. G., and Harbaugh, A. W. (1988). A Modular Three-Dimensional Finite-Difference Ground-water Flow Model, Techniques of Water Resources Investigations Report, U.S. Geological Survey, Book 6, Chapter A1, p. 528. 

  18. Nyholm, T., Rasmussen, K. R., and Christensen, S. (2003). "Estimation of stream flow depletion and uncertainty from discharge measurements in a small alluvial stream." Journal of Hydrology, Vol. 274, pp. 129-144. 

  19. Sophocleous, M., Koussis, A., Martin, J. L., and Perkins, S. P. (1995). "Evaluation of simplified stream-aquifer depletion models for water rights administration." Ground Water, Vol. 33, No. 4, pp. 579-588. 

  20. Theis, C. V. (1941). "The effect of a well on the flow of a nearby stream." Transactions of the American Geophysical Union, Vol. 22, No. 3, pp. 734-738. 

  21. Ward, N. D. and Falle, S. (2013). "Simulation of a multilayer leaky aquifer with stream depletion." Journal of Hydrologic Engineering, Vol. 18, No. 6, pp. 619-629. 

  22. Ward, N. D., and Lough, H. (2011). "Stream depletion from pumping a semiconfined aquifer in a two-layer leaky aquifer system." Journal of Hydrological Engineering, Vol. 16, No. 11, pp. 955-959. 

  23. Zlotnik, V. A., and Tartakovsky, M. (2008). "Stream depletion by groundwater pumping in leaky aquifers." Journal of Hydrologic Engineering, Vol. 13, No. 2, pp. 43-50. 

  24. Zume, J., and Tarhule, A. (2008). "Simulating the impacts of groundwater pumping on stream-aquifer dynamics in semiarid northwestern Oklahoma, USA." Hydrogeology Journal, Vol. 16, pp. 797-81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