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혼자의 가족여가의례와 가족여가의례 후 긍정적·부정적 효과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Family Leisure Ritual and Positive·Negative Outcomes of Family Leisure Ritual on Marital Satisfaction with the Married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7 no.11, 2016년, pp.168 - 176  

배재현 (대구과학대학교 유아교육과) ,  박세정 (영남이공대학교 사회복지.보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기혼자를 대상으로 가족여가의례와 가족여가의례 후 긍정적 부정적 효과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결혼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실천적 함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기혼자 216명에 대한 설문조사 자료를 토대로 다변량분산분석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여가의례의 주요활동은 '근교나들이'가 가장 높았고, 갈등요인은 '가족 공동의 시간을 갖기 어려워서'가 가장 높았다. 둘째, 가족여가의례는 연령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30대 이상이 50대 이상보다 가족여가의례를 더 많이 실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가족여가의례 후의 긍정적 부정적 효과는 성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기혼 남성이 기혼 여성보다 긍정적 효과를 높게 지각하였고, 기혼 여성이 기혼 남성보다 부정적 효과를 높게 지각하였다. 셋째, 가족여가의례와 가족여가의례 후 긍정적 부정적 효과는 결혼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가족여가의례를 많이 실행할수록, 가족여가의례 후 긍정적 효과를 높이 지각할수록, 부정적 효과를 낮게 지각할수록 결혼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기혼자들이 가족여가의례 수행과정에서 긍정적인 인식을 높이기 위한 노력들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family leisure ritual and positive negative outcomes of family leisure ritual on marital satisfaction of the married. A survey questionnaire was completed by 216 married people. SPSS Win program was used to perform MANOVA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기혼자들을 대상으로 가족여가의례와 가족여가의례 후의 긍정적·부정적 효과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한다. 이는 기혼자들에게 역할에 대한 부담과 시간사용의 제약에도 불구하고 가족이 함께 하는 가족여가의례의 중요성을 밝힐 수 있고, 가족여가의례의 실행과정에서 유발되는 긍정적 혹은 부정적 인식을 활용하여 개인의 결혼만족도를 높이는 전략을 마련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혼자 216명에게 설문조사를 한 결과 가족여가의례와 가족여가의례 후 긍정적 부정적 효과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이었는가?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여가의례의 주요활동은 '근교나들이'가 가장 높았고, 갈등요인은 '가족 공동의 시간을 갖기 어려워서'가 가장 높았다. 둘째, 가족여가의례는 연령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30대 이상이 50대 이상보다 가족여가의례를 더 많이 실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가족여가의례 후의 긍정적 부정적 효과는 성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기혼 남성이 기혼 여성보다 긍정적 효과를 높게 지각하였고, 기혼 여성이 기혼 남성보다 부정적 효과를 높게 지각하였다. 셋째, 가족여가의례와 가족여가의례 후 긍정적 부정적 효과는 결혼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가족여가의례를 많이 실행할수록, 가족여가의례 후 긍정적 효과를 높이 지각할수록, 부정적 효과를 낮게 지각할수록 결혼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기혼자들이 가족여가의례 수행과정에서 긍정적인 인식을 높이기 위한 노력들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가족여가의례의 정의는 무엇인가요? 개인의 여가활동이 가족단위로 이루어질 때 가족여가활동이라 일컫는다. 가족여가활동은 가족이 함께 하는 여러 활동 중 여가와 관련된 일부의 활동을 의미하는데 반해[7] 가족여가의례는 가족여가활동이 일상화되고 장기간 유지되어 가족구성원이 공유하는 활동이라 정의할 수 있다[8]. 또한 가족여가의례는 가족구성원이 공유하는 활동임과 동시에 그에 대한 가족구성원이 느끼는 감정, 상징적인 의미인 주관적인 측면까지 포함하는 좀 더 넓은 범주의 개념이다[8].
결혼만족도의 범주는 어떻게 되나요? 한편 결혼만족도는 개인이 현재의 결혼생활에 대해 만족하는 정도를 평가하는 개념[9]으로, 부부관계의 다양한 측면들과 관련되므로 주관적인 측면과 객관적인 측면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정의된다. 또한 결혼만족도는 크게 두 범주로 분류되는데[10], 하나는 부부관계에 한정된 범주로 부부간의 애정 및 성, 의사소통, 갈등, 배우자 역할수행 등을 포함한 좁은 범주이고 다른 하나는 부부관계를 포함한 경제, 여가, 사회활동, 자녀 및 관계, 자아개념 등 결혼생활 전반을 포함시킨 넓은 범주이다. 또한 중․노년기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부부관계 요인으로 Cho[11]는 부부간의 헌신 및 책임, 애정관계, 여가공유, 의사소통, 가사분담을 들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ChoSun-IlBo, 'Space Cut' Contest, Available From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6/05/23/2016052301735.html cited 2016 May 23. 

  2. V. Bryson, Gender and the Politics of Time : Feminist Theory and Contemporary Debates, Bristol : The Policy Press, 2007. 

  3. M. N. Jang, G. H. Han, A typology of dual-earner families using work-family-leisure time ratio and the differences in the daily emotional experiences between husbands and wives, Family and Culture, vol. 27, no. 2, pp. 98-129, 2015. 

  4. P. S. Kim, T. H. Kim, Family Relationship Adaptation by Leisure Activities and Leisure Satisfaction, Journal of family relations, vol. 9 no. 3, pp. 1-31, 2004. 

  5. H. S. Byun,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Activity and Family Stress, Family Cohesion among Married Women,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vol. 39 no. 1, pp. 170-178, 2000. 

  6. J. Y. Lee, A study on the family function, leisure constraint and leisure satisfaction : Focus on married employee, Journal of Leisure Studies, vol. 6, no. 3, pp. 135-156, 2009. 

  7. E. Y. Kim, J. Y, Park, A Study on the Satisfaction with Life and Family Role Salience Perception through Types of Family Rituals - Mainly for unmarried males and females, Korean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vol. 17, no. 3, pp. 105-124, 2013. 

  8. H. S. Jung, G, S, Ryu, Family Relationship, 2006. 

  9. S. M. Yung, H. S. Jung, Variables affecting the adjustment of marital Life and satisfaction of international marriage couple of rural in Korea, Journal of family relations, vol. 11, no. 3, pp. 223-252, 2006. 

  10. Y. J. Hong, S. J. Moon, K. O. Huh, The Effects of the Division of Household Labor in Couples and the Sense of Fairness on Marital Satisfaction,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vol. 35, no. 2, pp. 345-358, 1997. 

  11. H. S. Cho, The Effect of Conjugal Relationship in Middle and Old age on Marital Satisfaction: Focused on the Moderate Effect of Ego-Resilience, Journal of Life-span Studies, vol. 3, no. 2, pp. 1-19, 2013. 

  12. H. J. Choi, D. S. Kim,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Rituals and Marital Satisfaction for Wives,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vol. 27, no. 6, pp. 111-124, 2009. 

  13. M. G. Son, Special Issue : Policy of the city in low birth time, Urbanology, vol. 45 no. 501, pp. 22-26, 2010. 

  14. S. H. Park, The relationship of martial empathy, intimacy and the leisure joint ownership intention of leisure application quality, emotional expressivity and the couple of the married wome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ook-Min University, 2007. 

  15. D. S. Ahn, J. W. Lee, The Effects of Leisure Activity Patterns to Marital Satisfaction of the Urban House Wives,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vol. 1, no. 1, pp. 55-65, 1983. 

  16. Y. B. Lee, Conjugal Role Sharing on Women's Marital Satisfaction,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vol. 33, no. 1, pp. 103-131, 2010. 

  17. B. J. Lim, H. S. Kim, The Relationship Between Types of Leisure Activity and Leisure Satisfaction Among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vol. 35 no. 4, pp. 4480-4491, 1996. 

  18. H. J. Cheon, Family Leisure Motivation and Outcomes of Family Leisure Activities, Korean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vol. 8, no. 2, 2004. 

  19. B. H. Fiese, Dimensions of family rituals across two generations : Relation to adolescent identity. Family Process, vol. 31, pp. 151-162, 1992. DOI: https://doi.org/10.1111/j.1545-5300.1992.00151.x 

  20. H. J. Choi, The Relationships between Family Ritual and Marital Satisfaction of Wife, Unpublished Mater's thesis, Bu-San University, 2009. 

  21. H. S. Jung, Research : Marital Relations : A Crithical Review and Development of Measurement,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vol. 35, no. 1, pp. 191-204, 1997. 

  22. J. S. Han, 'The Vacation of Seoulite and Leisure Culture Activity' Available From http://www.edaily.co.kr/news/newsRead.edy?SCDJG31&DCDA00703&newsid01282486612719768 Edaily, cited 2016 July. 30. 

  23. P. S. Kim, T. H. Kim, Family Relationship Adaptation by Leisure Activities and Leisure Satisfaction, Journal of family relations, vol. 9, no. 3, p.1-31, 2004. 

  24. H. B. Lee, The Study for Desirable Use of Elderly People's Leisure, HONG-IK collection of dissertations, vol. 26, 1994. 

  25. S. K. Han, S. O. Kim, Development of Parent Education for Family Leisure -Focus on the parent of adolescent,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vol. 46, no. 5, pp. 35-61, 2008. 

  26. S. W. Jang, H. J. Chung, J. Y. Lee, The Influence of Family-of-Origin Experiences and Marital Intimacy on Parent-Child Relation, Journal of family relations, vol. 15, no. 4, pp. 93-111, 2011. 

  27. G. S. Ryu, S. H. Kang, A. L. Oh, J. H. Lee, Effects of the Division of Household Labor on the Marital Satisfaction of the Husbands and Wives in Dual-Earner Families, Korean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vol. 15, no. 1, pp. 117-136, 2011. 

  28. S. J. Kang, J. H. Choi, A Study on the Marital Satisfaction and Family Strengths of Rural Housewives, Journal of family relations, vol. 15, no. 2, pp. 71-85, 2010. 

  29. W. K. Bryant, Y. Wang, Time together, time apart : an analysis of wives solitary time and shared time with spouses, Journal of Family and Economic Issues, vol. 11, no. 1, pp. 89-119, 1990. DOI: https://doi.org/10.1007/BF00986943 

  30. L. S. Greenberg, P. S, James, R. F. Conry, Perceived change processes in emotionally focused couples therapy,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vol. 2, pp. 5-23, 1988. DOI: https://doi.org/10.1037/h0080484 

  31. H. J. Ha, S. M. Kwon, Suggestions for psycho -therapeutic application of mindfulness meditation, Buddhism school newspaper, vol. 56, pp. 241-271, 2010. 

  32. E. Kennedy-Moore, J. Watson, Expressing emotion. New York: Guilford Press, 1999. 

  33. J. H. Kim, Y. J. Moon, The Impacts of Gender Role Attitudes on Marriage Life Satisfaction and Work Satisfaction among Women of Double Income Households: With a focus on the mediating effects of work-family conflict and work-family enhancement, Korean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vol. 14, no. 2, pp. 109-126,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