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인의 가구유형에 따른 정보 활용과 삶의 질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Information Use and Quality of Life by Household Types of Elderly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7 no.10, 2016년, pp.213 - 220  

전병주 (충북대학교 아동복지학과) ,  곽현주 (충북대학교 아동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충 남북 지역에 거주하는 노인 252명을 조사대상자로 하여 정보 활용과 삶의 질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 과정에서 독거노인과 일반노인 집단으로 나누어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자료분석을 위하여 PASW Statistics 18.0을 이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들의 정보 활용은 일반노인 집단이 유의미하게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삶의 질 하위영역에서 '정신 심리적 건강' 및 '사회적 관계' 영역은 일반노인 집단이 유의미하게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환경' 영역은 집단별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요인은 하위영역별로 두 집단이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그 요인의 영향력은 집단별로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두 집단에서 경제적 상태가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정보 활용, 교육수준, 거주 지역 등은 집단에 따라 영향력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두 집단 모두 '정신 심리적 건강' 영역에서 정보 활용의 영향력이 가장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노인들의 가구 특성을 고려한 실증적 분석을 진행함으로써 고령화 및 정보화 사회에 맞추어 노인들의 정보 접근을 강화하고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구체적인 실천전략을 제시하였다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surveyed 252 senior citizens in the Chungnam and Chungbuk regions to review the effects that information use has on quality of lif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wo sub-groups based on household types. Data was analyzed using PASW Statistics 18.0.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세계에서 유례를 찾아볼 수 없을 정도로 빠르게 고령화가 진행되어 몇 년 이내에 고령사회에 진입할 전망이다. 더욱이, 의학기술과 경제수준이 높아지면서 노인들은 길어진 노년기를 맞이하였고, 이 기간에 보다 건강하고 의미 있는 삶을 영위하고자 노력한다. 하지만, 한국 사회의 노인들은 빈곤과 소외 등의 여러 이유로 만족스런 노후를 보내지 못하고 있으며[1], 가족부양에 대한 가치관의 변화로 핵가족화가 심화되고 홀로 생활하는 노인들이 증가하고 있다.
  • 따라서, 본 연구는 노인들의 정보 활용이 전반적인 삶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였고, 독거노인이 증가하는 현실을 반영하여 독거노인과 일반노인 집단 간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비교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노인 인구의 삶의 질과 관련된 정보 이용 활성화를 위한 실질적인 방안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충남·북 지역에 거주하는 252명의 노인을 조사대상자로 하여 정보 활용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고, 이 과정에서 독거노인과 일반노인 집단으로 나누어 비교분석하였다.
  • 여기에는 ICF(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가 주요 기반이 되어 노인 누구나 의욕하는 삶을 추구하고, 스스로 일상적인 삶을 영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따라서, 본 연구는 노인들의 정보 활용이 전반적인 삶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였고, 독거노인이 증가하는 현실을 반영하여 독거노인과 일반노인 집단 간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비교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노인 인구의 삶의 질과 관련된 정보 이용 활성화를 위한 실질적인 방안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지금까지 고령화와 정보화가 급격히 진행되는 한국에서 노인들의 정보 활용이 건강, 사회적 관계, 환경 등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 과정에서 한국에서 증가하는 독거노인 등의 가구특성을 반영한 비교분석을 처음으로 시도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가설 설정

  • 둘째, 독거노인들의 정보화 교육을 우선적으로 강화해야 한다. 삶의 질에 대한 정보 활용의 영향력은 독거집단에서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 첫째, 노인들의 가구유형에 따라 정보 활용과 삶의 질은 차이가 있는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선진국에서 시행되는 노인 케어프로그램의 목적은? 스웨덴, 미국 등의 선진국들은 노인 건강과 정보제공, 의료혜택, 여가활동 등에서 다양한 케어프로그램을 국가적 차원에서 운용하며, 노인복지를 증대하고 있다. 여기에는 ICF(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가 주요 기반이 되어 노인 누구나 의욕하는 삶을 추구하고, 스스로 일상적인 삶을 영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015년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독거생활 노인의 비율은? 하지만, 한국 사회의 노인들은 빈곤과 소외 등의 여러 이유로 만족스런 노후를 보내지 못하고 있으며[1], 가족부양에 대한 가치관의 변화로 핵가족화가 심화되고 홀로 생활하는 노인들이 증가하고 있다. 2015년 통계청 자료에 의하면, 실제로 65세 이상의 노인 중에서 22%(127만명)는 독거생활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2].
우리나라는 고령화에 대한 전망은? 우리나라는 고령화와 정보화로 대표되는 사회적 환경에 직면해 있다. 세계에서 유례를 찾아볼 수 없을 정도로 빠르게 고령화가 진행되어 몇 년 이내에 고령사회에 진입할 전망이다. 더욱이, 의학기술과 경제수준이 높아지면서 노인들은 길어진 노년기를 맞이하였고, 이 기간에 보다 건강하고 의미 있는 삶을 영위하고자 노력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K. S. park, M. S. Kim, "The Impact of Changes in Household Living Arrangements on the Changes in Poverty Rate among Elderly People in South Korea", Korean Journal of Sociology, vol. 50, no. 1, pp. 221-253, 2016. DOI: http://dx.doi.org/10.21562/kjs.2016.02.50.1.221 

  2. National Statistical Office, Current Status of Older Adults. 2015 

  3. H. J. Jun, M. Y. Kim, "The Influence of Internet Use on Satisfaction with Social Relationships and Depression among Older Adults Living Alone in Seoul", Journal of Social Welfare Research, vol. 43, pp.78-98, 2015. 

  4. J. D. Kwon, Y. J. Kim, T. Y. Um, "A Qualitative Study on Experiences of Internet Use in Their Daily Lives and Its Meaning among Older Adults",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vol. 32, no. 3, pp. 835-850, 2012. 

  5. S. M. Yang, H. K. Song, K. K. Cho, "Information Democracy and Information Welfare Policy in the Knowledge-based Society", Korean Social Science Review, vol. 24, no. 1, pp. 79-112, 2002. 

  6. P. J. Lee, "Legal System for Information Access of the Disabled in Ubiquitous Era", Journal of Safety and Crisis Management, vol. 6, pp. 184-200, 2010. 

  7. Y. J. Lee, "The Effect of Information Conditions on Mental Health among Elderl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1, no. 10, pp. 17-29, 2013. 

  8. B. R. Kang, H. S. Kim, M. S. Lee, "An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Older Adults' Online Information Activities and their Life Satisfaction",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ol. 48, no. 2, pp. 159-175, 2014. DOI: http://dx.doi.org/10.4275/KSLIS.2014.48.2.159 

  9. S. Y. Park, "Relationships of Depression and Positive Emotions with Hope and the Mediating and Moderating Role of Family Support for People in Low-income", Korean Journal of Family Social Work, vol. 40, pp. 189-214, 2013. DOI: http://dx.doi.org/10.16975/kjfsw.2013..40.007 

  10. C. R. Snyder, "The past possible future of hope",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vol. 19, pp. 206-228, 2000. DOI: http://dx.doi.org/10.1521/jscp.2000.19.1.11 

  11. G. Kim, "An Exploratory Analysis on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Divide and Social Exclusion in Korea",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Regional Information Society, vol. 17, no. 2, pp. 61-88, 2014. 

  12. P. J. Tichenor, G. Donohue & C. Olien, "Mass Media Flow and Differential Growth in Knowledge", Public Opinion Quarterly, vol. 34, pp. 159-170, 1970. DOI: http://dx.doi.org/10.1086/267786 

  13. H. Whit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the psychosocial impact of providing internet training and access to older adults", Journal of Aging & Mental Health, vol. 6, no. 3, pp. 213-221, 2002. DOI: http://dx.doi.org/10.1080/13607860220142422 

  14. B. J. Jeon, A. K. Han, "Predictors of Social Service Utilization of Elderly Using the Anderson model",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2, no. 8, pp. 19-27, 2014. DOI: http://dx.doi.org/10.14400/JDC.2014.12.8.19 

  15. S. E. Wilks, B. Croo, "Perceived stress and resilience in Alzheimer's disease caregivers", Aging & Mental Health. vol. 12, no. 3, pp. 357-365, 2008. DOI: http://dx.doi.org/10.1080/13607860801933323 

  16. S. K. Min, C. I. Lee, K. I. Kim, D. G. Kim, S. Y. Seo, "Development of Korean Version of WHO Quality of Life Scale Abbreviated Version",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vol. 39, no. 3, pp. 571-579, 2000. 

  17. G. H. Kim, J. H. Sung, "Relationships between Social Support and Psychological Distress of the Low-income Single Mother", Family and Culture, vol. 22, no. 1, pp. 65-93, 2010. 

  18. Y. J. Shin, "The use of IT education for the empowerment of older adults", Journal of Lifelong Education, vol. 11, no. 4, pp. 33-53, 2005. 

  19. J. M. Sung, "Longitudinal Study on the Effects of Depression by Household's Economic Factors According to Income Levels",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vol. 62, no. 1, pp. 109-132, 2010. 

  20. M. S. Jeong, Y. R. Lee, "A Study on the Influence of the Satisfaction of the Internet Use o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Andragogy Today: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Continuing Education, vol. 15, no. 1, pp.63-85, 2012. 

  21. M. Y. Kim, "Attitudes to Use and Non-use of Information Technology among Elderly Women in Seoul",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7, no. 3, pp. 352-369, 2016.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6.17.3.352 

  22. S. H. Cho, H. Y. Lee, "A Study on Life Satisfaction of Low-Income Elderly People who Living Alone",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6, pp. 8957-8965, 2015.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5.16.12.8957 

  23. P. S. Kim, H. S. Kim, M. S. Lee, "The Effect of the Elderly's Information Application Level on Quality of Lif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Regional Information Society, vol. 17, no. 1, pp. 25-47, 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