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독거노인의 사회적 고립이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Social Isolation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Older Adults Living Alone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8 no.8, 2020년, pp.343 - 351  

김아린 (청주대학교 보건의료과학대학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독거노인의 사회적 관계망, 외로움, 수면의 질이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다.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독거노인 111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수집을 하였다. SPSS Statistics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linear regressions로 통계분석하였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교육 수준(β=.20, p=.020), 사회적 관계망(β=.31, p=.012) 및 수면의 질(β=-.23, p=.011)은 신체적 건강관련 삶의 질을 예측하는 요인으로 나타났고, 설명력은 25.7%이었다. 외로움(β=-.37, p=.004)은 정신적 건강관련 삶의 질을 예측하는 요인으로 나타났고, 설명력은 31.7%이었다. 독거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사회적 고립을 해소하는 중재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ocial networks, loneliness, and sleep quality related to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older adults living alone. Data were collected from 111 community-dwelling elderly.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wa...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객관적 및 주관적 측면의 사회적 고립이 건강관련 삶의 질의 다차원적 속성 중 어느 측면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해 사회적 고립의 객관적 측면인 사회적 관계망과 주관적 측면인 외로움을 구분하여 이들이 신체적 및 정신적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독거노인의 사회적 관계망, 외로움, 수면의 질이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Kim & Kim[20]의 자료 중 독거노인의 자료를 이차분석한 연구로, 본 연구에서는 종속변수인 건강관련 삶의 질을 추가로 분석에 활용하였다.
  • 본 연구는 독거노인의 사회적 관계망, 외로움, 수면의 질이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시행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본 연구 결과 신체적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사회적 관계망, 수면의 질, 교육 수준 순으로 나타났고, 정신적 건강관련 삶의 질의 영향요인은 외로움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는 독거노인의 사회적 관계망, 외로움, 수면의 질이 신체적 및 정신적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신체적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사회적 관계망, 수면의 질, 교육 수준 순으로 나타났고, 설명력은 25.
  • 본 연구의 목적은 독거노인의 사회적 고립이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독거노인 중 우울 증상을 호소하는 비율은? 2%보다 높았다[2]. 독거노인 중 우울 증상을 호소하는 비율은 30.2%로, 노인부부가구 16.4%, 자녀동거가구 21.
독거노인의 사회적 고립은 노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성공적 노화를 위해 노인에게 신체적 건강보다 사회적 참여가 더 중요한 요소이다[5]. 노인의 사회적 고립은 건강 위험 행동에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6]. 종단 연구를 통해 노인의 외로움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우울과 기능 제한에 영향을 미치고, 더 나아가 질병 이환율과 사망률을 높이는 위험요소로 나타났다[7]. 특히 노인의 사회적 고립은 신체적 동반 질환, 연령, 성별, 독거 여부, 고용, 거주 등 다른 요인을 통제하고 난 후에도 건강 상태 및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요인으로 보고되고 있다[8].
2018년 기준 우리나라 독거노인의 비율은? 우리나라에서 고령화가 심화되어 노인 인구는 증가하고 있으나, 부모부양 인식과 가족 가치관이 소가구 중심으로 변화됨에 따라, 2018년 기준 우리나라 독거노인은 140만 명으로 전체 노인 인구 중 19.4%를 차지하고 있고, 이 비율은 빠른 속도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1]. 2017년 노인실태조사에 따르면[2], 독거노인의 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8). The Second Measures for Comprehensive Support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Online). http://www.mohw.go.kr/ 

  2.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7). 2017 National Survey of Older Koreans.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3. World Heath Organization. (2020). WHOQOL: Measuring Quality of Life. WHO(Online). https://www.who.int/healthinfo/survey/whoqol-qualityoflife/en/ 

  4. M. Sajid, A. Tonsi, & M. Baig. (2008).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Measure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Health Care Quality Assurance, 21(4), 365-373. DOI: 10.1108/09526860810880162 

  5. C. A. Depp & D.V. Jeste. (2006). Definitions and Predictors of Successful Aging: A Comprehensive Review of Larger Quantitative Studies. The American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14(1), 6-20. DOI: 10.1097/01.JGP.0000192501.03069.bc 

  6. A. Shankar, A. McMunn, J. Banks, & A. Steptoe. (2011). Loneliness, Social Isolation, and Behavioral and Biological Health Indicators in Older Adults. Health Psychology, 30(4), 377-385. DOI: 10.1037/a0022826 

  7. Y. Luo, L. C. Hawkley, L. J. Waite, & J. T. Cacioppo. (2012). Loneliness, Health, and Mortality in Old Age: A National Longitudinal Study. Social Science & Medicine, 74(6), 907-914. DOI: 10.1016/j.socscimed.2011.11.028 

  8. A. Hawton et al. (2011). The Impact of Social Isolation on The Health Status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Older People. Quality of Life Research, 20(1), 57-67. DOI:10.1007/s11136-010-9717-2 

  9. E. N. Kang. (2018). Labour Force Participation and Social Participation among Older Adults in Korea,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264, 44-55. 

  10. J. Golden et al. (2009). Loneliness, Social Support Networks, Mood and Wellbeing in Community­ Dwelling Elderly.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24(7), 694-700. DOI: 10.1002/gps.2181 

  11. T. J. Holwerda, D. J. Deeg, A. T. Beekman, T. G. van Tilburg, M. L. Stek, C. Jonker, & R. A. Schoevers. (2014). Feelings of Loneliness, but not Social Isolation, Predict Dementia Onset: Results from the Amsterdam Study of the Elderly (AMSTEL). Journal of Neurology, Neurosurgery & Psychiatry, 85(2), 135-142. DOI: 10.1136/jnnp-2012-304479 

  12. H. Choi, M. R. Irwin, & H. J. Cho. (2015). Impact of Social Isolation on Behavioral Health in Elderly: Systematic Review. World Journal of Psychiatry, 5(4), 432-438. DOI: 10.5498/wjp.v5.i4.432 

  13. E. H. Kim & Y. K. Kim. (2010). Factors related to the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Institutionalized Elder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2(3), 281-290. 

  14. E. Y. Shin. (2016). Relationships between Health Status, Physical Activity Leve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and Sleep Duration in the Elderly. Korean Public Health Research, 42(3), 53-65. 

  15. S. M. Moon. (2017). Gender Differences in The Impact of Socioeconomic, Health-Related, and Health Behavioral Factors on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the Korean Elderl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6), 59-271. DOI: 10.14400/JDC.2017.15.6.259 

  16. M. J. Kim & G. S. Song. (2020). The Effect of Mental Health on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the Elderly in Busa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8(5), 269-277. DOI: 10.14400/JDC.2020.18.5.269 

  17. H. S. Kim. (2019). The Factors of Affecting on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for Young-Old and Old-Old in Women Living Alone. Journal of the Korean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36(1), 59-72. DOI: 10.12925/jkocs.2019.36.1.59 

  18. H. S. Kim. (2017). Effect Of Pain, Nutritional Risk, Loneliness, Perceived Health Status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Elderly Women Living Alone.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7), 207-218. DOI : 10.15207/JKCS.2017.8.7.207 

  19. J. S. Park & Y. J. Yu. (2016). Convergence Factors Influencing the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People Living Alon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4(11), 63-70. DOI : 10.14400/JDC.2016.14.11.63 

  20. A. Kim & O. Kim. (2015). The Path Model Based on Senescent Sleep Model for Sleep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7(2), 211-222. DOI : 10.7475/kjan.2015.27.2.211 

  21. F. Faul, E. Erdfelder, A. Buchner, & A. G. Lang. (2009). Statistical Power Analyses Using G*Power 3.1: Tests for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Behavior Research Methods, 41, 1149-1160. DOI : 10.3758/BRM.41.4.1149 

  22. J. Lubben & M. Gironda. (2003). Centrality of Social Ties to the Health and Well-being of Older Adults. In: L. F. Berkman & L. Harootyan (Eds.), Social Work and Health Care in an Aging Society (pp. 319-350). New York, NY: Springer. 

  23. M. Hong, B. L. Casado, & D. Harrington. (2011). Validation of Korean Versions of the Lubben Social Network Scales in Korean Americans. Clinical Gerontologist, 34(4), 319-334. DOI : 10.1080/07317115.2011.572534 

  24. D. Russell, L. A. Peplau, & C. E. Cutrona. (1980). The Revised UCLA Loneliness Scale: Concurr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Evidenc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9(3), 472-480. DOI : 10.1037//0022-3514.39.3.472 

  25. O. S. Kim. (1997). Korean Version of the Revised UCLA Loneliness Scale: Reliability and Validity Tes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7(4), 871-879. 

  26. D. J. Buysse, C. F. Reynolds, T. H. Monk, S. R. Berman, & D. J. Kupfer. (1989).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A New Instrument for Psychiatric Practice and Research. Psychiatry Research, 28(2), 193-213. DOI : 10.1016/0165-1781(89)90047-4 

  27. J. E. Jr. Ware, M. Kosinski, D. M. Turner-Bowker, M. Sundaram, B. Gandek, & M. E. Maruish. (2009). SF-12v2 Health Survey: Administration Guide for Clinical Trial Investigators. Lincoln, RI: QualityMetric Incorporated. 

  28. S. B. Rafnsson, A. Shankar, & A. Steptoe. (2015). Longitudinal Influences of Social Network Characteristics on Subjective Well-being of Older Adults: Findings from the ELSA Study. Journal of Aging and Health, 27(5), 919-934. DOI : 10.1177/0898264315572111 

  29. J. Golden, R. M. Conroy, & B. A. Lawlor. (2009). Social Support Network Structure in Older People: Underlying Dimensions and Association with Psychological and Physical Health. Psychology, Health & Medicine, 14(3), 280-290. DOI : 10.1080/13548500902730135 

  30. S. Y. Sohn et al. (2017). Social Network Types among Older Korean Adults: Associations with Subjective Health. Social Science & Medicine, 173(C), 88-95. DOI : 10.1016/j.socscimed.2016.11.042 

  31. J. I. Kim. (2013). Levels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EQ-5D) and Its Related Factors among Vulnerable Elders Receiving Home Visiting Health Care Services in Some Rural Area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4(1), 99-109. 

  32. J. D. Kim & M. H. Lee. (2020). The Impact of Social Network on Quality of Life among the Older Adults Collecting and Selling Wastepaper, Journal of Public Policy Studies, 37(1), 149-171. 

  33. J. H. Lee, E. H. Kim, & S. R. Suh. (2018). The Relation Between Frailty, Social Support,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Old-Old Elderly,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38(4), 891-903. DOI: 10.31888/JKGS.2018.38.4.891 

  34. J. W. Yoon & K. W. Um. (2015). A Study on the Moderating Effect of Female Elders' Positive Social Network Fun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requency of Contacts with Social Networks and Successful Aging. Korean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69, 171-192. 

  35. S. W. Su & D. Wang (2019).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Related Factors among Elderly Persons under Different Aged Care Models in Guangzhou, China: A Cross-sectional Study. Quality of Life Research, 28(5), 1293-1303. DOI : 10.1007/s11136-019-02107-x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