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신보건시설인증제에서 요구되는 시설환경 평가에 관한 연구 - 의료기관평가인증원의 정신의료기관평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Environmental Quality required in the Accreditation Program for Mental Health Facilities - Focus on the Mental Institutions Assessment of KOIHA 원문보기

의료·복지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Healthcare Architecture, v.22 no.4, 2016년, pp.57 - 66  

정희분 (Department of Architecture, Hong ik University) ,  김억 (Department of Architecture, Hongik University)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According to the trend of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in the future our society is expected to face with gradually increasing problems related to mental health and the demand for the various types of quality mental health facilities.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the accreditation of M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우리나라 정신보건시설의 평가기관인 의료기관평가인증원(KOIHA1))의 평가항목을 분석하고 그 가운데 건축과 관련된 평가항목을 도출한다. 도출한 시설평가항목이 관련 법규정에 부합하는지, 또한 구체적인 시설기준을 마련하고 있는지 검토한다. 정신의료시설평가의 평가항목 중 환경적 측면과 연관이 있는 항목이 차지하는 비율과 필수등급의 비율을 통해, 건축과 관련된 평가항목이 인증에 미치는 중요도는 어느 정도인지 분석한다.
  • 본 연구는 현재 우리나라의 정신보건시설을 대상으로 한 인증제도인 정신의료기관평가가 의료시설의 질 향상을 위한 수단으로 작동하여, 정신질환자들의 환경적인 복지에 기여할 수 있을지 확인하려고 한다. 또한 정신의료기관평가에서 평가하고 있는 시설의 기준은 무엇이고 그 한계는 어디까지인지 규명하려고 한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정신의료시설의 디자인설계지침과 평가에 필요한 시설의 규정항목과 기준개발을 위한 기초연구자료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이로써 정신보건시설의 환경개선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 또한 정신의료기관평가에서 평가하고 있는 시설의 기준은 무엇이고 그 한계는 어디까지인지 규명하려고 한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정신의료시설의 디자인설계지침과 평가에 필요한 시설의 규정항목과 기준개발을 위한 기초연구자료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이로써 정신보건시설의 환경개선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 우리나라는 정신보건시설의 경우 정신보건법 제18조의3에 따라 3년마다 정신보건시설평가를 통해 인증을 받도록 하고 있다. 본 연구는 현재 우리나라의 정신보건시설을 대상으로 한 인증제도인 정신의료기관평가가 의료시설의 질 향상을 위한 수단으로 작동하여, 정신질환자들의 환경적인 복지에 기여할 수 있을지 확인하려고 한다. 또한 정신의료기관평가에서 평가하고 있는 시설의 기준은 무엇이고 그 한계는 어디까지인지 규명하려고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정신보건법에서 정의한 정신의료기관, 정신질환자사회복귀시설, 정신요양시설 및 보건복지부에서 분류한 정신건강증진센터,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를 정신보건시설로 규정하고, 그 가운데 입원실을 운영하는 인증평가 대상기관인 정신 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정신건강의학과의원의 인증평가항목을 중심으로 연구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정신의료시설평가가 정신질환자들의 안전과 치유 및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시설규정을 가지고 환경의 질적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정신보건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정신의료시설의 시설기준을 고찰한다.
  • 정신의료시설평가의 평가항목 중 환경적 측면과 연관이 있는 항목이 차지하는 비율과 필수등급의 비율을 통해, 건축과 관련된 평가항목이 인증에 미치는 중요도는 어느 정도인지 분석한다. 시설환경에 대한 평가방법의 형태를 분석하여 환경의 질적 평가가 이루어지는지 조사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정신질환자의 정의는 무엇인가 정신보건법 제3조 1항에 "정신질환자"라 함은 정신병(기질적정신병을 포함한다) · 인격장애 · 알코올 및 약물중독 기타 비정신병적정신장애를 가진 자를 말한다. 또한 정신보건법 제3조 2항에"정신보건시설"이라 함은 이 법에 의한 정신의료기관 · 정신질환자사회복귀시설 및 정신요양시설을 말한다고 정의되어 있다.
의료기관평가인증원의 설립목적은 무엇인가? 의료기관평가인증원은 “의료기관 인증제도 및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각종 평가 업무를 통합⋅수행하여 의료의질과 환자안전 수준을 제고함으로써 국민 건강의 유지⋅증진에기여할 목적으로 설립되었다.”라고 설립목적을 밝혔다.
논문에서 지적하는 의료기관평가인증원의 정신의료기관평가의 현재 미비한점은 무엇인가? 본 연구를 통해 현재 의료기관평가인증원의 정신의료기관평가는 법규정을 기반으로 한 최소한의 시설을 갖추었는지 평가하고는 있지만, 시설환경에 대한 질적 평가는 거의 이뤄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정신질환자의 치유와 사회복귀라는 정신보건시설의 목적에 부합하도록 환경을 개선하고 시설의 질을 향상시킬 수단으로써 인증제가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음을 의미한다고 판단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lkhenizan, Abdullah; Shaw, Charles, 2011, "Impact of Accreditation on the Quality of Healthcare Services: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Annals of Saudi Medicine, 31(4), PP.407-416. 

  2. Iyendo, Timothy Onosahwo; Uwajeh, Patrick Chukwuemeke; Ikenna, Ezennia Stephen, 2016, "The Therapeutic Impacts of Environmental Design Interventions on Wellness in Clinical Settings: A Narrative Review", COMPLEMENTARY THERAPIES IN CLINICAL PRACTICE, 24, pp.174-188. 

  3. KOIHA, 2015a, Accreditation Standard for Department of Psychiatry 

  4. KOIHA, 2015b, Accreditation Standard for Psychiatry Clinic 

  5. KOIHA, 2016, Accreditation Standard for Mental Hospital(Ver 2.0) 

  6.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Medical Law 

  7.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Mental health Law 

  8.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Enforcement Regulation of Medical Law 

  9.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Enforcement Regulation of Mental Health Act 

  10. OECD, OECD Health Statistics 2016: Frequently Requested Data, http://www.oecd.org/els/health-systems/health-statistics.htm 

  11. Walshe, Kieran, 2009, "Pseudoinnovation: the Development and Spread of Healthcare Quality Improvement Methodologies", INTERNATIONAL JOURNAL FOR QUALITY IN HEALTH CARE, 21(3), pp.153-159. 

  12. WHO, 2008,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2004 UPDATE 

  13. 김삼열.김형보, 2010, "BREEAM 과 LEED를 통해서 본 국내 친환경건 축물 인증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계획계, 26(12), pp.271-278. 

  14. 김의현, 2012, 의료기관 인증제도가 병원건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15. 김의현.양내원, 2012, "의료기관인증제도에서 요구되는 건축계획요소에 관한 연구-국내 의료기관인증제도, JCI병원인증기준을 중심으로",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21(2), pp.223-230. 

  16. 김효정.권순정, 2014, "JCI병원인증기준을 반영한 건축계획요소에 관한 연구-종합병원 병동부를 중심으로", 한국의료복지시설학회지, 5(1), pp.13-16. 

  17. 보건복지부, 2016, "2016년 정신건강사업안내", 보건복지부 건강정책국 정신건강정책과. 

  18. 안광호.김형근.최용석, 2012, "BIM 기반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도의 사용자 중심적인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계획계, 28(1), pp.101-108. 

  19. 이선희 외 4인, 2011, "정신의료기관 평가지표 개발을 위한 실태조사 및 지표 개발", 의료기관평가인증원 한국건강증진재단. 

  20. 정진욱 외 5인, 2012, "국내 정신보건자원 현황연구",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1. 조맹제 외 19인, 2011, "2011년도 정신질환 실태 역학조사",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22. 주용선, 2007, "일본정신병원의 시설현황과 병동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계획계, 23(2), pp.39-46. 

  23. 중앙정신보건사업지원단, 2014, "2014년 중앙정신보건사업지원단 사업보고서", 보건복지부. 

  24. 중앙정신보건사업지원단, 2015, "2015년 중앙정신보건사업지원단 사업보고서", 보건복지부.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