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음압격리병실에 있어서 단계별 공간구성의 격리효과
Isolation Effectiveness by Progressive Space Organization in Negative Pressured Isolation Unit 원문보기

의료·복지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Healthcare Architecture, v.22 no.4, 2016년, pp.79 - 86  

권순정 (Department of Architecture, Ajou university) ,  성민기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Sejong university)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 of Progressive Space Organization (ante-rooms) in Negative Pressured Isolation Unit(NPIU) such as National and Regional Isolation Units in Korea in order to build basic data for the evidence based design of Airborne Infection Isolation Un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실험에서는 가스발생 병실의 SF6가스가 인접 구역으로 얼마나 유출되는지를 측정하였다. [Table 3], [Table 4]는 SF6가스 방출량을 입원환자의 날숨으로 환산하여 격리병실 내 입원한 환자의 날숨이 인접구역에 얼마나 확산되었는지를 ppm 으로 나타낸 것이다.
  • 본 연구는 2007년부터 정부 지원으로 설치되고 있는 국가지정 입원치료병상 및 거점병원의 음압중환자 입원시설을 대상으로 병실에서 발생한 공기감염물질이 어느 정도 일반구역으로 확산되는지 확인하기 위해 실험을 수행하였다. 총 23개 감염병관리시설2)에 대하여 실험이 수행되었으며, 이중에 지역거점병원 격리중환자실이 10개, 국가지정 입원치료병상이 13개를 차지한다.
  • 5Pa, 환기회수는 6회~12회를 기준으로 하였지만 실제 차압과 환기회수는 시설별로 차이가 있어 가스 확산이 시설 간 불균등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가능성이 많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다양한 영향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는 가정에서 단계별로 SF6가스의 확산 감쇠효과가 얼마나 있는지를 파악하는 것에 의미를 둔다.
  • 예를 들면 거치는 공간의 수가 많은 경우, 그리고 그들이 전실과 같이 인터록이 되어 있는 경우, 격리성능이 더욱 우수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격리구역 외부(일반구역)와 격리병실 사이에 설치된 구획된 공간의 개수(단계)가 격리성능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 지를 실험을 통해 정량적으로 밝히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향후 감염병관리시설 계획 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가설 설정

  • 조사원들은 의료진의 병동 및 병실출입 간격을 조사하고 이 시간에 맞추어 하나의 병실만 출입하였다. 실제 의료진은 여러 병실에 출입하지만 조사원들이 하나의 병실만 출입해도 병실 내에서 나오는 SF6가스의 양에는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출입이 없는 음압격리병실의 경우 병실 전실이 있고, 또한 차압이 유지되기 때문에 병실 내 SF6가스가 병실 외부로 나오는 양이 극히 미미하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SF6 가스는 무엇인가? 이렇게 가스를 방출하는 것은 실제 병원을 가동하는 상황에서 환자가 침대에 누워 호흡하는 것과 비슷한 조건을 만들기 위해서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SF6 가스는 일반적인 환경에서는 존재하지 않아 환기효율의 조사나 오염물질 확산을 모사하는데 사용되는 대표적인 추적가스이다. 
격리음압병동의 설계 시 공간의 차압단계의 설계시 차압 단계를 줄일 수 있는 합리적인 방안은 무엇이 있는가? 이러한 분석 결과는 격리음압병동의 설계 시 공간의 차압단계를 4단계까지 설치하는 것이 합리적인가에 대한 문제를 제기한다. 공간의 구성단계(차압단계)를 줄이는 대신 실간 차압을 더 많이 준다든지, 환기량을 늘린다든지, 혹은 공간의 크기를 더 크게 한다든지, 시공을 더욱 기밀하게 한다든지, 또는 의료진의 동선을 합리적으로 구성한다든지 등의 조치를 통해 격리의 효과를 유지하면서 차압의 단계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
시설의 격리성능 및 공간단계별 격리성능을 어떻게 파악하는가? 전체적인 시설의 격리성능 및 공간단계별 격리성능을 파악하기 위해 격리병동 내 각 공간의 환자날숨 절대농도(exposure)대신 병실 내 환자 날숨농도(source)에 대한 상대적인 농도비율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방식은 격리병실 내 환자 날숨농도(source)에 상관없이 병동 내 각 공간의 가스 누출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CDC) and Healthcare Infection Control Practices Advisory Committee(HICPAC), 2003. Guidelines for Environmental Infection Control in Health-Care Facilities 

  2. European Network for Highly Infectious Diseases, Manual for the safe and appropriate management of Highly Infectious Disease patients in isolation facilities 

  3. Kowalski, Wladyslaw, 2002, Immune Building Systems Technology - Appendix A : Database of Biological Weapon Agents 

  4. The Facility Guidelines Institute(FGI), 2014, Guidelines For Design and Construction of Health Care Facilities. 

  5. Victorian Advisory Committee on Infection Control, 2007, Guidelines for the classification and design of isolation rooms in health care facilities 

  6. 권순정, 2016.10, 중증 호흡기 감염병 진료를 고려한 음압격리병동부의 건축계획,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지, 22권 3호 

  7. 김영주, 김희갑, 2007, 환경통계학 

  8. 법제처,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2015.12.29 

  9. 보건복지부,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2013, 지역거점 공공병원 병동부 건축계획기준개발 

  10. 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2012, 2012년도 공중보건위기사업단 운영 최종보고서 

  11. 연세대학교 의료법윤리학연구원, 2013, 의료기관 시설기준 개선방안 연구용역 최종보고 

  12. 질병관리본부, 2011, 국가지정입원치료(격리)병상 운영과 관리 

  13. 질병관리본부, 2011, 지역별 거점병원 운영과 관리 

  14.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2013, 2013년도 공중보건위기사업단 운영 최종보고서 

  15. 日本醫療福祉施設協會, 2013, 病院空調設備의 設計 및 管理指針(HEAS-02-2013) 

  16. 放射線醫學綜合硏究所, 라돈 濃度測定.線量平價委員會, 1998, 日本勞動厚生省, 2004, 感染症指定?療機?の施設基準の手引き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