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말라리아 위험지역에서 채집된 말라리아 매개모기 Anopheles sinensis의 피레스로이드계 저항성 대립형질 분석
Analysis of Pyrethroid Resistance Allele in Malaria Vector Anopheles sinensis from Malaria High-risk Area 원문보기

농약과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v.20 no.4, 2016년, pp.286 - 292  

최광식 (경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부) ,  이승열 (경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응용생명과학부) ,  황도운 (경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부) ,  김흥철 (주한 미8군 65의무여단 168대대, 5의무대) ,  장규식 (질병관리본부 질병매개곤충과) ,  정희영 (경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응용생명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리나라 경기북부지역은 말라리아 위험지역으로 말라리아는 주로 이 지역의 우점종인 Anopheles sinensis에 의해 감염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에 대한 방제는 주로 피레스로이드계 살충제가 사용되고 있고 지금까지의 살충제 저항성 조사에서 지속적으로 저항성이 나타나고 있다. 이에 우리나라 말라리아 주요 매개모기인 An. sinensis의 피레스로이드계 살충제 저항성을 조사하여 말라리아 위험지역에서의 매개모기 방제에 대한 실태를 조사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하여 파주, 김포, 강화 세 지역에서 채집된 An. sinensis를 DNA 염기서열 분석을 통하여 저항성 유전형질을 분석하였다. 파주는 동형 감수성 유전형질은 발견되지 않았고 모든 개체에서 저항성 유전형질을 가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김포에서는 6.7%의 동형 감수성 유전형질과 93.3%의 이형 또는 동형 저항성 유전형질을 나타내었고 강화의 경우는 5.7%의 동형 감수성 유전형질과 94.3%의 이형 또는 동형 저항성 유전형질이 조사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서 우리나라 말라리아 위험지역인 파주, 김포, 강화에서의 말라리아 주요매개 모기인 An. sinensis의 피레스로이드계 살충제 저항성은 이전 조사에서보다 매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 지역의 말라리아 매개모기 방제를 위해서는 피레스로이드계 살충제 저항성 관리가 시급한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alaria is mainly transmitted by Anopheles sinensis which is dominant species in malaria high-risk area, northern part of Gyeonggi province in Korea. Pyrethroid insecticide is used for malaria vector, An. sinensis in Korea and the previous investigation consistently reported insecticide resistance 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우리나라의 말라리아 위험지역인 김포, 파주, 강화 세 지역에서의 피레스로이드계 살충제에 의한 화학적 방제로부터 말라리아 매개모기 An. sinensis의 kdr 대립형질을 분석하여 살충제 저항성에 대한 상황을 보고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말라리아가 발생하는 이유는? 2015년 세계보건기구 보고서(WHO, 2015)에 따르면, Anopheles속 매개모기에 의해 감염되는 말라리아는 열대열 말라리아원충(Plasmodium falciparum)에 의해 발생하고, 한해 200만명 이상 감염되며 40만명 이상이 사망하는 심각한 질병이지만 우리나라에는 삼일열원충(Plasmodium vivax)만이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세계보건기구는 1979년 우리나라에서 발생하는 말라리아가 완전히 박멸되었다고 선언했지만(WHO, 1981) 1993년부터 말라리아 환자가 다시 발생하여 매년 꾸준하게 발병 보고되고 있는 추세이다(KCDC, 2012).
국내 말라리아의 발생지는? 한국의 말라리아는 대부분 비무장지대 근처인 강원도 및 경기 북부 지역에서 발생한다(Park et al., 2003).
국내 말라리아의 발생지역인 비무장지대 근처인 강원도 및 경기 북부 지역의 방제가 어려운 이유는? 2014년 WHO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말라리아 발병은 북한의 높은 말라리아 발병율과 비무장지대의 적합한 서식지로 인한 매개모기 개체군의 번성에 따른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하지만 북한과의 국경 인접 및 군사 활동의 민감성으로 인하여 매개모기 방제 작업에 많은 어려움이 따르고 있다 (WHO, 2014; KCDC, 2012; Chang et al., 201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Chang, K. S., J. S. Jung, C. Park, D. K. Lee and E. Shin (2009) Insecticide susceptibility and resistance of larvae of the Anopheles sinensis group (Diptera: Culicidae) from Paju, Republic of Korea. Entomol. Res. 39:196-200. 

  2. Chang, K.-S., D.-H. Yoo, E.-H. Shin, W.-G. Lee, J. Y. Roh and M. Y. Park (2013) Susceptibility and resistance of field populations of Anopheles sinensis (Diptera: Culicidae) collected from Paju to 13 insecticides. Osong Public Health Res. Perspect. 4:76-80. 

  3. Chang, K. S., D.-H. Yoo, Y. R. Ju, W. G. Lee, J. Y. Roh, H.-C. Kim, T. A. Klein and E.-H. Shin (2016) Distribution of malaria vectors and incidence of vivax malaria at Korean army installations near the demilitarized zone, Republic of Korea. Malar. J. 15:259. 

  4. Diabate, A., C. Brengues, T. Baldet, K. R. Dabir, J. M. Hougard, M. Akogbeto, P. Kengne, F. Simard, P. Guillet, J. Hemingway and F. Chandre (2004) The spread of the Leu-Phe kdr mutation through Anopheles gambiae complex in Burkina Faso: genetic introgression and de novo phenomena. Trop. Med. Int. Health 9:1267-1273. 

  5. Gayathri, V. and P. B. Murthy (2006) Reduced susceptibility to deltamethrin and kdr mutation in Anopheles stephensi Liston, a malaria vector in India. J. Am. Mosq. Control Assoc. 22:678-688. 

  6. Hall, T. A. (1999) Bioedit: a user-friendly biological sequence alignment editor and analysis program for Windows 95/98/NT. Nucleic Acids Symp. Ser. 41:95-98. 

  7. Hemingway, J., N. J. Hawkes, L. McCarroll and H. Ranson (2004) The molecular basis of insecticide resistance in mosquitoes. Insect Biochem. Mol. Biol. 34:653-665. 

  8. Hoti, S. L., V. Vasuki, P. Jambulingam and S. S. Sahu (2006) kdr allele-based PCR assay for detection of resistance to DDT in Anopheles culicifacies sensu lato Giles population from Malkangiri District, Orissa, India. Curr. Sci. 91:658-661. 

  9. Hunt, R. H., G. Fuseini, S. Knowles, J. Stiles-Ocran, R. Verster, M. L. Kaiser, K. S. Choi, L. L. Koekemoer and M. Coetzee (2011) Insecticide resistance in malaria vector mosquitoes at four localities in Ghana, West Africa. Parasite. Vector. 4:107. 

  10. Joshi, D., W. Choochote, M. H. Park, J. Y. Kim, T. S. Kim, W. Suwonkerd and G. S. Min (2009) The susceptibility of Anopheles lesteri to infection with Korean strain of Plasmodium vivax. Malar. J. 8:42. 

  11. Joshi, D., M. H. Park, A. Saeung, W. Choochote and G. S. Min (2010) Multiplex assay to identify Korean vectors of malaria. Mol. Ecol. Resour. 10:748-750. 

  12. Joshi, D., J. Y. Kim, W. Choochote, M. H. Park and G. S. Min (2011) Preliminary vivax malaria vector competence for three members of the Anopheles Hyrcanus group in the Republic of Korea. J. Am. Mosq. Control Assoc. 27:312-314. 

  13. Kang, S., J. Jung, S. Lee, H. Hwang and W. Kim (2012) The polymorphism and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the knockdown resistance (kdr) of Anopheles sinensis in the Republic of Korea. Malar. J. 11:151. 

  14. Kim, H., J. H. Baek, W. J. Lee and S. H. Lee (2007) Frequency detection of pyrethroid resistance allele in Anopheles sinensis populations by real-time PCR amplification of specific allele (rtPASA). Pestic. Biochem. Phys. 87:54-61. 

  15.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CDC) (2012) A Guideline of Malaria Management, Republic of Korea.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49-70. 

  16.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CDC) (2015) A Guideline of Malaria Management, Republic of Korea.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49-72. 

  17. Lee, W. J., T. A. Klein, H. C. Kim, Y. M. Choi, S. H. Yoon, K. S. Chang, S. T. Chong, I. Y. Lee, J. W. Jones, J. S. Jacobs, J. Sattabongkot and J. S. Park (2007) Anopheles kleini, Anopheles pullus, and Anopheles sinensis: potential vectors of Plasmodium vivax in the Republic of Korea. J. Med. Entomol. 44: 1086-1090. 

  18. Li, C., J. S. Lee, J. L. Groebner, H. C. Kim, T. A. Klein, M. L. O'guinn and R. C. Wilkerson (2005) A newly recognized species in the Anopheles Hyrcanus Group and molecular identification of related species from the Republic of South Korea (Diptera: Culicidae). Zootaxa 939:1-8. 

  19. Mnzava, A. P., T. B. Knox, E. A. Temu, A. Trett, C. Fornadel, J. Hemingway and M. Renshaw (2015) Implementation of the global plan for insecticide resistance management in malaria vectors: progress, challenges and the way forward. Malar. J. 14:173. 

  20. Park, J. W., T. A. Klein, H. C. Lee, L. A. Pacha, S. H. Ryu, J. S. Yeom, S. H. Moon, T. S. Kim, J. Y. Chai, M. D. Oh and K. W. Choe (2003) Vivax malaria: a continuing health threat to the Republic of Korea. Am. J. Trop. Med. Hyg. 69:159-167. 

  21. Ree, H. I. (2005) Studies on Anopheles sinensis, the vector species of vivax malaria in Korea. Korean J. Parasitol. 43:75-92. 

  22. Rueda, L. M., C. Li, H. C. Kim, T. A. Klein, D. H. Foley and R. C. Wilkerson (2010) Anopheles belenrae, a potential vector of Plasmodium vivax in the Republic of Korea. J. Am. Mosq. Control Assoc. 26:430-432. 

  23. Wang, D., Z. Xia, S. Zhou, X. Zhou, R. Wang and Q. Zhang (2013) A potential threat to malaria elimination: extensive deltamethrin and DDT resistance to Anopheles sinensis from the malaria-endemic areas in China. Malar. J. 12:164. 

  24. World Health Organization (1981) Synopsis of the world malaria situation in 1979. The Weekly Epidemiological Record 56:145-149. 

  25. World Health Organization (1998) Test procedures for insecticide resistance monitoring in malaria vectors, bio-efficacy and persistence of insecticides on treated surfaces. WHO/CDS/CPC/MAL/98.12 Geneva, Switzerland. 

  26.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2) Global Plan for Insecticide Resistance Management in Malaria Vectors. Geneva, Switzerland: World Health Organization. 

  27.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4) Global Malaria Programme, World malaria report.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8.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5) Global Malaria Programme, World malaria report.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