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후변화에 따른 주요 도시의 하수도 침수 재현기간 예측
Prediction of Return Periods of Sewer Flooding Due to Climate Change in Major Cities 원문보기

上下水道學會誌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Water and Wastewater, v.30 no.1, 2016년, pp.41 - 49  

박규홍 (중앙대학교 사회기반시스템공학부) ,  유순유 (중앙대학교 사회기반시스템공학부) ,  뱜바도지 엘베자르갈 (울란바타르 상하수도국)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rainfall characteristics with stationary and non-stationary perspectives were analyzed using generalized extreme value (GEV) distribution and Gumbel distribution models with rainfall data collected in major cities of Korea to reevaluate the return period of sewer flooding in those ci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를 고려하여 시간에 따라 강우 사상의 분포가 이동하는 비정상계열(Non-stationary) 극치분포 모델을 이용하여 서울을 포함한 우리나라 8개 주요도시의 강우강도의 변화를 예측하고 이를 하수관 설계기준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앞서 알아본 바와 같이 모든 주요 대도시에서 재현주기에 따른 강우량이 정상계열의 결과 보다 더 큰 값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70~99%의 신뢰도로 향후 강우강도가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었고 이는 현재 하수관 설계에 기준이 되는 확률 강우량을 재정의 해야 할 필요성을 나타낸다.
  • 본 연구에서는 대한민국 주요도시(서울, 강릉, 인천, 원주, 대전, 대구, 울산, 광주, 부산)의 40년(1972∼2011) 강우자료(hourly rainfall data)를 대상으로 지속 시간별 강우량을 분석을 통해 비정상성 여부를 검토 하였다.
  • 이와 같은 강우사상의 변동을 예측하고 대처하기 위해서는 과거의 강우자료를 바탕으로 한 정량적 분석이 매우 중요하다 할 수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극치사상의 발생빈도의 증감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비정상 계열의 극치분포(Non-Stationary Extreme Value Distribution) 모델을 사용하여 국내 주요도시별 극한 강우의 특성 및 향후 극한 강우량 변동을 예측하였고 이를 하수관로의 계획 확률년수 관점에서 검토하였다.

가설 설정

  • 비정상 계열 분석에 있어 앞서 언급된 세 개의 매개변수 모두를 시간의 함수로볼 수 있으나 가능한 최소의 매개변수의 수로 관측 자료를 잘 설명할 수 있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므로 매개 변수 중 함수의 최댓값의 위치를 나타내고 있어 강우량 증감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ξ만을 다음과 같이 시간의 1차 함수로 가정하여 분석을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극치분포 모델의 사용 목적은? 이와 같은 강우사상의 변동을 예측하고 대처하기 위해서는 과거의 강우자료를 바탕으로 한 정량적 분석이 매우 중요하다 할 수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극치사상의 발생빈도의 증감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기위해 비정상 계열의 극치분포(Non-Stationary Extreme Value Distribution) 모델을 사용하여 국내 주요도시별 극한 강우의 특성 및 향후 극한 강우량 변동을 예측하였고 이를 하수관로의 계획 확률년수 관점에서 검토하였다.
정상계열이란? 기후변화 등에 의한 강우량의 시간적 변동은 모델매개변수들을 시간의 함수로 가정함으로써 모사할 수 있다. 관측 자료의 통계적 성질이 시간에 불변이라 가정한 것을 정상계열(stationary sequence)이라 하고 시간에 따라 변한다고 가정한 것을 비정상 계열(nonstationary sequence)이라 한다. 비정상 계열 분석에 있어 앞서 언급된 세 개의 매개변수 모두를 시간의 함수로볼 수 있으나 가능한 최소의 매개변수의 수로 관측 자료를 잘 설명할 수 있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므로 매개 변수 중 함수의 최댓값의 위치를 나타내고 있어 강우량 증감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ξ만을 다음과 같이 시간의 1차 함수로 가정하여 분석을 하였다.
GEV 분포가 홍수량 및 갈수량 자료계열의 분석에 사용되는 이유는? 연간 최대 시간당 강우량과 같이 자료의 최대치 혹은 최소치의 자료의 열은 일반 극치 분포(Generalized Extreme Value Distribution, GEV)를 따라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GEV 분포는 수문자료 중 홍수량 혹은 갈수량 자료계열의 분석에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 기후변화 예측을 위한 확률강우량을 산정하는 연구에 많이 활용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Byambadorj, E. (2013). Evaluation of sewer flooding and drought by estimating design rainfalls of cities in Korea and Mongolia due to climate change, Ma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2. Bell, V. A., Kaya, A.L., Jonesb, R.G., Moorea, R.J., and Reynard, N.S. (2009). Use of soil data in a grid-based hydrological model to estimate spatial variation in changing flood risk across the UK. Journal of Hydrology, 377(3-4), 335-350. 

  3. Choi, D. (2010), Analysis of Impact of Future Climate Change and Evaluation on Its Effect on Water Resources in Watershed. Master's thesis, Pukyong University. 

  4. Coles, G.S. (2001). An Introduction to Statistical Modeling of Extreme Values. Springer. 

  5. Fowler, H.J. and Kilsby, C.G. (2003). A regional frequency analysis of United Kingdom extreme rainfall from 1961 to 2000. International Journal of Climatology, 23, 1313-1334. 

  6. Grum M, Jorgensen A.T, Johansen R.M, and Linde J.J. (2006). The effect of climate change on urban drainage: an evaluation based on regional climate model simulation. 

  7. He, Y., Bardossy, A., and Brommundt, J. (2006). Non-stationary flood frequency in southern Germany. The 7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Hydroscience and Engineering. 

  8. Mailhot, A. and Duchesne, S. (2010). Design criteria of urban drainage infrastructures under climate change. Journal of Water Resources Planning and Management, 136(2), 201-208. 

  9.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2000) Study on Development of 1999 Water Resources Management Methodology - Map of Probable Rainfall in Korea. 

  10. Na, Y. (2009). A Study on the Design Rainfall and Variation of Floods Due to Climate Change. Master's thesis, Sejong Univ. 

  11. Kim, B., Kim, B., Kyung, M., and Kim, H. (2008). Evaluation of the effect of climate change on the extreme rainfall and IDF analysis, Kore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1(4), 379-394. 

  12. Kim, E., Lee, D., and Yoo, C., (2004). Analysis on effect of runoff in Dam Daecheong watershed due to climate change, Kore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37, 305-314. 

  13. Korean Association of Water and Wastewater (2011). Standard on Sewerage Facilities. 31-33. 

  14. Korean Meteorological Adminstration (2011). White Paper on Monsoon Seasons. 

  15. Kwon, Y., Park, J., and Kim, T. (2009). Estimation of design probable rainfall considering increasing trend of rainfall depth,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29(2), 131-139. 

  16. Kwon, J. (2009). Detailing of GCM Climate Change Simulation Scale Using Climate Change Trend Analysis and Random Cascade Model. Master's thesis, Dankook Univ. 

  17. Lim, H., Kwon, H., Bae, D., and Kim, S. (2006). Hydrologic Analysis on Watershed of Dam Soyan Due to Climate Change Using CA-Markov technique, Kore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39(5), 241-245. 

  18. Lee, H. (2012) Analysis of Generalized Extreme Distribution on Design Rainfall Standard Due to Climate Change,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19. Lee, H., Ryu, J., Yoo, S., and Park, K. (2012) Analysis of generalized extreme value distribution to estimate stormwater capacity of sewer system under climate change, Korean Society of Water and Wastewater, 26(2), 321-329. 

  20. Lee, S. (2010). Regional Variation of Probable Rainfall Due to Climate Change, Master's thesis, Dankook University. 

  21. Oh, S. (2004). Change of Flood Runoff in Rivershed Due to Climate Change.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22. Ouarda, T.B.M.J. and Adlouni, S.E. (2008). Bayesian inference of non-stationary flood frequency models, World Environmental and Water Resources Congress 2008. 

  23. Park, K. (2012) Annual Report on Development of Analysis System on Level of Sewer Service and Investigation on Planning and Evaluation System on the Integrated Sewer Asset Management System. Research Center of Urban Sewer and Drainage System. 

  24. Ryu, J., Lee, H., Yoo, S, and Park, K. (2014). Statistical evaluation on storm sewer design criteria under climate change in Seoul, South Korea, Urban Water Journal, 11(5), 370-378. 

  25. Semadeni-Daviesa, A., Hernebringb, C., Svenssonb, G., and Gustafssonc, L.G. (2008). The impacts of climate change and urbanisation on drainage in Helsingborg, Sweden : Combined sewer system. Journal of Hydrology, 350(1-2), 100-113. 

  26. Seo, L. (2011). Development of Method to Estimate the Probable Rainfall Considering Climate Change,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27. The Seoul Institute (2011). Forum on Flood Prevention Policy in Seoul Due to Climate Change.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