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모유수유의 효과성 측정도구 개발
Development of a Breastfeeding Effectiveness Scale (BES) 원문보기

KJWHN :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22 no.4, 2016년, pp.264 - 274  

양현주 (창신대학교 간호학과) ,  정민영 (마산대학교 간호학과) ,  서지민 (부산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evaluate breastfeeding effectiveness scale to measure effectiveness of breastfeeding for mothers in the early postpartum period. Methods: A conceptual framework was constructed from properties of effective breastfeeding (Yang and Seo, 2011), an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Yang과 Seo [8]의 ‘효과적인 모유수유’에 대한 개념분석을 통해 도출한 정서적, 행위적, 결과적 측면을 모두 포함한 개념적 속성과 선행연구의 고찰을 바탕으로 출산 4주 이내 수유모의 모유수유의 효과성을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자가평가형 측정도구를 개발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출산 4주 이내의 수유모를 대상으로 모유수유의 효과성을 측정하는 도구를 개발하기 위한 방법론적 연구이다.
  • 본 연구를 통해 모유수유의 효과성을 측정할 수 있는 신뢰도와 타당도가 검증된 측정도구가 개발되었다. 개념적 기틀과 내용타당도 검증, 사전 조사 등을 거쳐 개발된 이 도구는 총 20문항의 7개 하부척도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체 변량의 65.
  • 본 연구의 목적은 출산 4주 이내의 수유모를 대상으로 모유수유의 효과성을 측정하는 도구를 개발하고, 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연구 목표는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모유수유가 정착되는 기간에 산모가 경험하는 문제점은? 그러나 이 시기에 대부분의 초산모들은 모유수유 자세를 익히고, 아기의 수유욕구를 만족시키는데 많은 어려움을 경험한다[1]. 모유수유가 정착되는 기간에 산모가 경험하는 직접적인 문제로는 젖양의 부족, 젖 물리기의 어려움, 유방울혈, 유두손상, 유두통증 등이 있으며, 그 중 초기 모유수유를 중단 하는 가장 일반적인 이유는 수유모의 젖양 부족과 유두통증 때문이다[1]. 이는 젖을 잘 물리고, 충분히 젖을 빨려 유방을 완전히 비우는 수유행위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발생하며, 이러한 문제들은 결국 모유수유 조기종결을 초래한다[2].
젖양 부족과 유두통증의 원인은? 모유수유가 정착되는 기간에 산모가 경험하는 직접적인 문제로는 젖양의 부족, 젖 물리기의 어려움, 유방울혈, 유두손상, 유두통증 등이 있으며, 그 중 초기 모유수유를 중단 하는 가장 일반적인 이유는 수유모의 젖양 부족과 유두통증 때문이다[1]. 이는 젖을 잘 물리고, 충분히 젖을 빨려 유방을 완전히 비우는 수유행위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발생하며, 이러한 문제들은 결국 모유수유 조기종결을 초래한다[2].
모유수유란 어떤 과정인가?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들이 모유수유의 효과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기 보다는 효과적인 모유수유의 속성 중 일부인 모성과 영아의 모유수유행위 적절성과 모유수유 지속기간을 평가하는데 국한되어 있었다[2,4]. 모유수유는 단일 행동이 아니라 아기의 수유욕구에 따라 젖을 물리는 수유모의 수유행위와 아기가 젖을 물고 빠는 수유행위가 이루어지고, 그 결과로 모성과 영아의 욕구가 충족되는 상호작용 과정이다[7,8]. Yang과 Seo[8]의 효과적인 모유수유 개념분석 연구에 따르면, 효과적인 모유수유는 모성의 수유자세와 젖 물리기, 영아의 젖 빨기, 모유 전송, 모아 상호작용, 모성과 영아의 만족감과 편안함, 모성의 자신감, 영아의 적절한 체중 증가와 배설, 일정한 수유간격을 그 속성으로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Cooke M, Sheehan A, Schmied V. A Descrip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breastfeeding experiences, breastfeeding satisfaction, and weaning in the first 3 months after birth. Journal of Human Lactation. 2003;19(2):145-146. 

  2. Kronborg H, Vaeth M. How are effective breastfeeding technique and pacifier use related to breastfeeding problems and breastfeeding duration? Birth. 2009;36(1):34-42. 

  3. Shrago L, Bocar D. The infant's contribution to breastfeeding. Journal of Obstetric, Gynecologic, and Neonatal Nursing. 1990;19(3):209-215. 

  4. Mulford C. The Mother-Baby Assessment(MBA):An “Apgar score" for breastfeeding. Journal of Human Lactation. 1992;8(2):79-82. 

  5. Jensen D, Wallace S, Kelsay P. LATCH: A breastfeeding charting system and documentation tool. Journal of Obstetric, Gynecologic, and Neonatal Nursing. 1994;23(1):27-32. 

  6. Mulder PJ, Johnson TS. The beginning breastfeeding survey:Measuring mother's perceptions of breastfeeding effectiveness during the postpartum hospitalization. Research in Nursing & Health. 2010;33(4):329-344. 

  7. Mulder PJ. A concept analysis of effective breastfeeding. Journal of Obstetric, Gynecologic, and Neonatal Nursing. 2006;35 (3):332-339. 

  8. Yang HJ, Seo JM. Concept analysis of effective breastfeeding.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11;17(4):317-327. 

  9. Jeong GH. Effect of the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on promoting the breast-feeding practice in primipara [dissertation].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1997. p. 1-133. 

  10. Lee EJ. The effect of prenatal breastfeeding education on breastfeeding practice and retention of knowledge [master's thesis]. Daegu: Keimyung University; 1997. p. 1-60. 

  11. Kim SH. Development of a breast feeding adaptation scal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9;39(2):259-269. 

  12. Kim YM, Park YS.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breastfeeding empowerment scale.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04;10(4):360-367. 

  13. Dennis CL. The breastfeeding self-efficacy scale: Psychometric assessment of the short form. Journal of Obstetric, Gynecologic, and Neonatal Nursing. 2003;32(6):734-744. 

  14. Matthews MK. Developing an instrument to assess infant breastfeeding behaviour in the early neonatal period. Midwifery. 1998;4(4):154-165. 

  15. Johnson TS, Mulder PJ, Strube K. Mother-infant breastfeeding progress tool: a guide for education and support of the breastfeeding dyad. Journal of Obstetric, Gynecologic, & Neonatal Nursing. 2007;36(4):319-327. 

  16. Leff EW, Jefferis SC, Gagne MP. The development of the maternal breastfeeding evaluation scale. Journal of Human Lactation. 1994;10(2):105-111. 

  17. Lee EO, Im NY, Park HA. Lee IS, Kim JI, Bae JY, et al. Nursing research and statistical analysis. 1st ed. Seoul: Soomoonsa;2009. p. 1-733. 

  18. Stevens J. Applied multivariate statistics for the social sciences.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996. p. 1-659. 

  19. Yang HJ, Seo JM. A structural model for primiparas' breastfeeding behavio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3;43(3):399-408. 

  20. Lee HS, Im J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AMOS 18.0/19.0. 1st ed. Seoul: Jiphyeonjae; 2011. p. 1-319. 

  21. Pett MA, Lackey NR, Sullivan JJ. Making sense of factor analysis:The use of factor analysis for instrument development in health care research. California: Sage publication; 2003. p. 1-348. 

  22. Kim SK, Kim YK, Kim HR, Park CS, Shon SK, Choi YJ, et al. The 2012 national survey on fertility, family health and welfare in Korea. Research report. Seoul: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2. Report No.:2012-54. 

  23. Netsu Y. Breast management. 2nd ed. Kim YR. translator. Seoul:Knowledge and creative; 2007. p. 25. 

  24. Streiner DL. Starting at the beginning: An introduction to coefficient alpha and internal consistency.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2003;80(1):99-10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