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순사상의 신 개념에 관한 연구 - 『주역』의 신·신명·신도 개념을 중심으로 -
A Study of the Concept of God in Daesoon Thought: Focusing on the Concept of God, Divine Beings, and the Divine Dao as Depicted in the I Ching 원문보기

大巡思想論叢 = Journal of the Daesoon Academy of Sciences, v.28, 2017년, pp.267 - 302  

최치봉 (아시아종교연구원)

초록

이 연구는 목적은 대순사상의 신 개념을 『주역』의 신·신명·신도를 통해 살펴보고 그 특질을 밝히는 것이다. 『역경』과 「역전」은 신 중심에서 천명이나 인간의 자발적인 도덕의지를 부각시키려는 패러다임 전환의 시기에 성립되었기 때문에 『주역』에서 신의 의미는 다양하게 해석되고 있다. 다양한 신 개념 중에서 본 논문은 『주역』의 신 개념을 인격적이고 의지를 가지는 변화의 주체, 형이상의 원리적 측면에서 신묘함, 인간에 내재한 신성과 도덕성으로 나누어 보았다. 그리고 대순사상에서 각각 이를 비교하여 최고신의 신의와 법칙으로서 신도, 형이상의 구현으로서 묘용의 신, 인간에 내재한 덕성으로서 신명에 대한 개념에 접근해보았다. 이에 따라 알아볼 수 있는 대순사상에서 신 개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격성을 가지는 존재이며 일정한 의지와 뜻을 가지고 만물에 주재하고 있다. 둘째, 형이상자이면서도 형이하에 신묘하게 작용하며 상제의 명을 받아 그 뜻을 태극에 굴신하여 인세에 구현하는 존재이다. 셋째, 인간의 마음을 통해 소통하며 인간과 의도(依導)의 관계에 있다. 신 관한 어휘 가운데 특히 신도는 신 개념을 잘 드러내고 있는 용어로서, 이를 중심으로 신 개념의 특질을 살펴보았다. 신도는 상제의 의지와 뜻 그리고 상제의 명을 부여받은 신들을 통해 세상에 펼쳐진 질서이다. 이렇게 신의 의지가 펼쳐지는 질서의 측면으로 고려해 볼 때, 신도의 주된 뜻은 상생대도이며, 무위이화로 운영되며, 신인의도로 실현된다. 대순사상에서 신인은 서로 신명인사일반의 관계이자, 신은 인간의 사후의 존재로 의지와 감정을 가지며 상호영향을 미치는 유기적관계이다. 생전의 의지와 감정을 가진 존재로서 신은 원과 한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신의 원과 한은 해원시대를 맞이하여 상생으로써 그 원이 풀리게 된다. 또한, 신의 행사와 활동은 태극의 이법적 틀에 맞춰 굴신하며 상제의 뜻인 신도에 맞게 움직인다. 이는 신들이 따라야하는 규율이며, 신정체계가 운용되는 법리이다. 상제의 신도와 천명은 태극지기에 굴신하여 이법적으로 그 모습이 펼쳐져 드러나고 신과 인간은 그 이법성에 맞춰 나아갈 때 일은 무위이화로 성사된다. 신도의 실현에 있어서는 인간과 신은 인의예지라는 같은 도의 범주 안에서 있으며, 서로 이끌고 의지하여 신도인 상생의도를 구현하는 것이 신인의 일을 이루는 것이며, 나아가 천지의 도를 완성시키는 것이라 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God in Daesoon thought through gods, divine beings, and divine Dao as they are featured in the I Ching. This study also explores analysis by dividing the 'one' from the I Ching into personal subject, metaphysical and fundamental marvel, innate divinity an...

주제어

참고문헌 (57)

  1. 『전경』, 여주: 대순진리회 출판부, 2010 

  2. 『대순지침』, 여주: 대순진리회 출판부, 2012 

  3. 『대순진리회요람』, 여주: 대순진리회 출판부, 2010 

  4. 『태극도통감』, 부산: 태극도, 1956 

  5. 『포덕교화기본원리(其二)』, 1983 

  6. 『무극대도교개황』, 대순종교문화연구소 옮김, 일본학습원대학 동양문화연구소, 1925 

  7. 『大學』 

  8. 『禮記』 

  9. 『周易』 

  10. 『朱子大全』 

  11. 『朱子語類』 

  12. 10.34225/jidc.2011.3.132 강돈구, 『종교이론과 한국종교』, 서울: 박문사, 2011 

  13. 강돈구, 「대순진리회의 신관과 의례」, 『종교연구』 73, 2013 http://uci.or.kr/G704-000716.2013..73.001 

  14. 10.25050/jdaos.1998.4.0.13 고남식, 「전경에 나타난 원의 양상과 해원」, 『대순사상논총』 4, 1998 

  15. 10.25050/jdaos.2000.10.0.12 고남식, 「상제 초월성에 대한 외경심의 양상」, 『대순사상논총』 10, 2000 

  16. 10.25050/jdaos.2001.12.0.9 고남식, 「삼요체 성경신에 대한 소고」, 『대순사상논총』 12, 2001 

  17. 10.25050/jdaos.2002.14.0.9 고남식, 「종합적 삼계관과 지ㆍ인관계의 인존 논리」, 『대순사상논총』 14, 2002 

  18. 곽신환, 『주역의 이해: 주역의 자연관과 인간관』, 서울: 서광사, 1990 

  19. 금장태, 『한국현대의 유교문화』,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2 

  20. 김경재, 『이름 없는 하느님』, 서울: 삼인, 2010 

  21. 김성기, 「선진유학의 본질을 어떻게 재해석할 것인가」, 『유교사상연구』 29, 2007 http://uci.or.kr/G704-001248.2007..29.007 

  22. 김성기, 「주역의 신인관계에 대한 해석학적 접근」, 『동양철학』 5, 1994 

  23. 김의성, 「대순사상의 윤리관 연구」, 대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24. 김충열, 『김충열 교수의 중국철학사1: 중국철학의 원류』, 서울: 예문서원, 2006 

  25. 김태수, 「천지공사에 나타난 의례적 성격 연구」, 대진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26. 노사광, 『중국철학사(고대편)』, 정인재 옮김, 서울: 탐구당, 1997 

  27. 『대순회보』 81, 여주: 대순진리회 출판부, 2008 

  28. 『대순회보』 152, 여주: 대순진리회 출판부, 2013 

  29. 료명춘ㆍ강학위ㆍ양위현, 『주역철학사』, 심경호 옮김, 서울: 예문서원, 2014 

  30. 몽배원, 『성리학의 개념들』, 홍원식 외 3명 옮김, 서울: 예문서원, 2008 

  31. 10.25050/jdaos.1997.3.0.14 박승식, 「신인조화의 사상적 의의」, 『대순사상논총』 3, 1997 

  32. 10.25050/jdaos.1999.8.0.11 박승식, 「대순사상의 신조: 경천ㆍ수도」, 『대순사상논총』 8, 1999 

  33. 박재주, 『주역의 생성 논리와 과정 철학』, 성남: 청계, 1999 

  34. 배용덕ㆍ임영창, 『증산신학개론(上)』, 서울: 증산사상연구회, 1982 

  35. 송재국, 「주역에 나타난 신도의 상징물들」, 『철학논총』 56, 2009 http://uci.or.kr/G704-000634.2009.56.2.004 

  36. 양방웅, 『초간노자』, 서울: 예경, 2003 

  37. 요아힘 바하, 『비교종교학』, 김종서 옮김, 서울: 대우학술총서, 1988 

  38. 유병덕, 「한밝사상의 본질과 전개」, 『한국종교』 22, 1997 

  39. 10.25050/jdaos.2013.21.0.1 윤용복, 「대순진리회 신관념의 특성」, 『대순사상논총』 21, 2013. 10.25050/jdaos.2013.21.0.1 

  40. 10.25050/jdaos.1997.3.0.13 이경원, 「대순신관과 신인조화의 이상」, 『대순사상논총』 3, 1997 

  41. 10.34225/jidc.2011.3.132 이경원, 『한국 신종교와 대순사상』, 서울: 문사철, 2011 

  42. 이경원, 「구천상제론의 시각에서 본 천지공사의 실제와 교리적 의의에 관한 연구」, 『대순사상논총』 22, 2014. 10.25050/jdaos.2014.22.0.33 

  43. 10.25050/jdaos.1996.1.0.6 임영창, 「대순사상의 신관고」, 『대순사상논총』 1, 1996 

  44. 장병길, 『대순종교사상』, 서울: 대순종교문화연구소, 1989 

  45. 조명기 외 33인, 『한국사상의 심층연구』, 서울: 우석, 1993 

  46. 주백곤, 『역학철학사』, 김학권 옮김, 서울: 소명출판, 2012 

  47. 주자, 『역주 주역본의』, 백은기 옮김, 서울: 여강출판사, 1999 

  48. 차선근, 「정역사상과 대순사상의 비교 연구」, 『종교연구』 60, 2010 http://uci.or.kr/G704-000716.2010..60.008 

  49. 차선근, 「근대 한국의 신선 관념 변용」, 『종교연구』 62, 2011 http://uci.or.kr/G704-000716.2011..62.003 

  50. 차선근, 「현대사회와 무속의례-해원상생굿의 출현과 그 의미를 중심으로」, 『종교연구』 72, 2013 

  51. 차선근, 「대순진리회의 죽음관 연구서설」, 『종교연구』 76-3, 2016 http://uci.or.kr/G704-000716.2016.76.3.002 

  52. 최영진, 「『주역』 「십익」에 있어서의 신의 개념」, 『주역연구』 2, 1997 

  53. 최영진, 「주역의 도와 음양대대의 원리」, 『동양의 고전을 읽는다 2-사상』, 서울: 휴머니스트, 2006 

  54. 최영진, 「대순사상의 역학적 조명」, 『대순사상논총』 20, 2014 

  55. 10.14774/JKIID.2014.23.1.034 최치봉, 「대순사상의 태극에 관한 연구」, 『대순사상논총』 23, 2014. 10.25050/jdaos.2014.23.0.385 

  56. 홍범초, 「증산사상에서 역을 어떻게 볼 것인가」, 『신종교연구』 5, 2001 

  57. 황인선, 「『주역』에서의 신의 의의」, 『철학논총』 52, 2008 http://uci.or.kr/G704-000634.2008.2.52.010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