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년 이후 여성에서 삶의 질 저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폐경 형태와 대사증후군 위험요인을 중심으로
Impact of Menopausal Status, Metabolic Syndrome and its Risk Factors on Impaired Quality of Life above Middle-aged Women 원문보기

KJWHN :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22 no.4, 2016년, pp.275 - 286  

김지순 (충남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  안숙희 (충남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explored influencing factors on quality of life (QoL) above middle-aged women in relation to demographic factors, health-related factors, menopausal status, metabolic syndrome (MS) and its risk factors. Methods: This study was secondary data analysis from the Sixth Korea Nation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제6기 국민건강영양조사를 원자료로 하여 중년 이후 폐경기 이행을 경험하고 있는 여성을 대상으로 삶의 질 수준을 파악하고, 삶의 질 저하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인구학적 특성, 건강 관련 특성, 폐경기간, 대사증후군 유무 및 위험요인에 따라 탐색하였다. 연구결과 삶의 질 수준은 높은 편이었으나 폐경후 후기 여성이 폐경전 여성과 폐경후 초기 여성에 비해 낮은 삶의 질을 보였다.
  • 본 연구는 중년 이후 여성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폐경기간과 대사증후군을 중심으로 통합적으로 탐색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중년 이후 여성의 폐경 기간과 대사증후군 및 위험요인을 중심으로 삶의 질 수준을 파악하고 삶의 질 저하에 폐경 기간과 대사증후군 및 위험요인이 미치는 영향을 통합적으로 탐색하기 위해 국민건강영양조사자료를 이용하여 상관성을 분석한 이차자료분석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중년 이후 여성의 삶의 질 수준을 평가하고, 삶의 질 저하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학적 특성, 건강 관련 특성, 폐경기간, 대사증후군 및 위험요인을 단변량 및 다변량 분석으로 탐색하였다. 본 연구의 초점은 폐경이라는 생애주기 변화와 심혈관계 건강 위험요인으로 대두되는 대사증후군 및 위험요인의 영향력을 평가하는 것으로, 그 결과 여성의 스트레스, 우울, 수면부족, 폐경기간이 10년 이상인 것과 건강위험요인 중에서는 대사증후군 위험요인의 하나인 복부비만이 삶의 질 저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다.
  • 즉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을 통합적으로 평가하지 않아 관련요인의 상대적 중요성을 해석하는데 제한점이 있고, 일부 보고에서는 그 관련성에 대해 일관된 결과를 나타내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중년이후 여성을 대상으로 폐경기간에 따른 삶의 질 수준을 파악하고, 인구학적 특성, 건강 관련 특성, 폐경기간과 대사증후군 유무 및 위험요인과 삶의 질 간에 관련성을 검정하고, 또한 삶의 질 저하에 미치는 관련 요인을 다변량분석법을 통해 상대적 중요도를 평가하고자 한다. 이는 건강한 폐경기로의 이행을 도모할 수 있도록 질병예방과 건강증진을 위한 간호전략을 수립하는데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건강 관련 삶의 질은 무엇에 의해 영향을 받는가? 건강 관련 삶의 질은 다양한 신체적 · 정신적 · 사회적 변화를 경험하는 개인의 주관적 건강상태에 대한 만족도로, 생애주기에 따라 다양한 인구학적 특성과 건강 관련 특성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1]. 우리나라 여성의 폐경 연령은 48~52세로서, 2013년 평균기대수명 85.
우리나라 여성의 폐경 연령은 언제인가? 건강 관련 삶의 질은 다양한 신체적 · 정신적 · 사회적 변화를 경험하는 개인의 주관적 건강상태에 대한 만족도로, 생애주기에 따라 다양한 인구학적 특성과 건강 관련 특성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1]. 우리나라 여성의 폐경 연령은 48~52세로서, 2013년 평균기대수명 85.1세를 기준으로 볼 때 대부분의 여성은 삶의 1/3 이상을 폐경 상태로 살아가게 된다[2].
폐경후 여성은 대사증후군을 포함한 심혈관계 질환이 발생할 위험에 처하는데 그 이유는 무엇인가? 폐경후 여성은 폐경기간이 경과하면서 중장기 건강문제로 대사증후군을 포함한 심혈관계 질환이 발생할 위험에 처한다. 그 이유는 폐경 이후에 에스트로겐 호르몬의 혈관 보호효과 감소, 혈중 지질대사의 변화, 복부로의 지방축적으로 인한 내장비만, 인슐린 저항성 발현 등 생리적 기전에 따른다[10]. 대사증후군이란 심혈관계 질환의 발생과 관련한 여러 위험인자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질환으로, 진단 기준은 혈압, 고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이하 HDL-C), 중성지방, 혈당 및 허리둘레에 대한 위험 요인 중 세 개 이상을 갖고 있을 때이다[1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Nam HS. South Korean time trade-off values for EQ-5D health states [Internet]. Seoul: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7 [cited 2016 May 16]. Available from:http://www.cdc.go.kr/CDC/info/CdcKrInfo0301.jsp?menuIdsHOME001-MNU1132-MNU1138-MNU0037-MNU1380&cid12449 

  2. Statistics Korea. 2014 Life tables for Korea [Internet]. Daejeon:Statistics Korea; 2014 [cited 2016 January 8]. Available from:http://kosis.kr/nsportalStats/nsportalStats_0102Body.jsp?menuId6 

  3. Ko HY, Lee JK, Shin JY, Jo EI.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cardiovascular disease risk in Korean adults.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2015;36(6):349-356. 

  4. Mohamed HA, Lamadah SM, Zamil LG. Quality of life among menopausal women. International Journal of Reproduction, Contraception, Obstetrics and Gynecology. 2014;3(3):552-561. 

  5. Leem GY. The study of menopause-related quality of life and management of climacteric in a middle-aged female population in Korea. Public Health Weekly Report, KCDC. 2013;6(31):609-613. 

  6. Shyu YK, Pan CH, Lin WM, Hsueh JY, Hsu CS, Tasi PS.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healthcare resource utilization in Taiwanese women with menopausal symptoms: A nationwide survey. Journal of Nursing Research. 2012;20(3):208-218. 

  7. Kim HS. The affecting factors of mental health and quality of life for the menopausal women[dissertation]. Gyeongbuk:Daegu Haany University; 2015. 

  8. Park YR, Son YJ. Relationship of satisfaction with appearance, self-esteem, depression, and stress to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women across the lifespa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09;16(3):353-361. 

  9. Kim JH, Kim KR, Cho KH, Yoo KB, Kwon JA, Park EC. The association between sleep duration and self-related health in the Korean general population. Journal of Clinical Sleep Medicine. 2013;9(10):1057-1064. 

  10. Han MS. Metabolic syndrome emerging from menopause. Journal of Menopausal Medicine. 2011;17(3):127-135. 

  11. Grundy SM, Brewer HB, Cleeman JI, Smith SC, Lenfant C. Definition of Metabolic syndrome: Report of the 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American Heart Association conference on scientific issues related to definition. Arteriosclerosis, Thrombosis, and Vascular Biology. 2004;24(2):e13-e18. 

  12. Bang SY, Cho IG. The effects of menopause on the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women.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5;16(4):2704-2712. 

  13. Lim S, Shin H, Song JH, Kwak SH, Kang SM, Yoon JW, et al. Increasing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in Korea: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for 1998-2007. Diabetes Care. 2011;34(6):1323-1328. 

  14. Ali SB, Belfki-Benali H, Aounallah-Skhiri H, Traissac P, Maire B, Delpeuch F, et al. Menopause and metabolic syndrome in Tunisian women. BioMed Research International. 2014; Article ID 457131:1-7. 

  15. Lee BG, Lee JY, Kim SA, Son DM, Ham OK. Factors associated with self-related health in metabolic syndrome and relationship between sleep duration and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5;45(3):420-428. 

  16. Jeon JH, Kim SH. Depression, stress and how they are related with health behaviors and metabolic syndrome among women over 40 yea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Maternal and Child Health. 2012;16(2):263-273. 

  17. Han KS, Park YH, Kim SN, Lee SJ, Yang SH. Influencing factors on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metabolic syndrome. Korean Journal of Stress Research. 2013;21(4):303-311. 

  18. Amiri P, Hosseinpanah F, Rambod M, Montazeri A, Azizi F. Metabolic syndrome predicts poor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women but not in men: Tehran Lipid and Glucose Study. Journal of Women's Health. 2010;19(6):1201-1207. 

  19. Amiri P, Deihim T, Nakhoda K, Hasheminia M, Montazeri A, Azizi F. Metabolic syndrome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reproductive age and post-menopausal women: Tehran Lipid and Glucose Study. Archives of Iranian Medicine. 2014;17(6):423-428. 

  20. So ES. Waist circumference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by sex in the Korean elderly. Journal of Aging and Health. 2014;26(6):887-899. 

  21. van Reenen M, Oppe M. EQ-5D-3L user guide: Basic information on how to use the EQ-5D-3L instrument version 5.1 [Internet]. Rotterdam: EuroQol Research Foundation; 2015 [cited 2016 January 16]. Available from:http://www.euroqol.org/fileadmin/user_upload/Documenten/PDF/Folders_Flyers/EQ-5D-3L_UserGuide_2015.pdf 

  22. The Korean Society of Menopause. Management of menopausal women. Seoul: Koonja; 2007. 

  23. Jang YH, Kim SH, Kim YS, Jung SH, Park J. The relationship between walking exercise and quality of life for Korean adults.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2013;11(5):325-334. 

  24. Choi H, Lee HK, Park HM. The Korean menopausal women's attitudes and awareness on menopause: Results of Korean Gallup epidemiologic survey on menopause and HRT. Journal of Menopausal Medicine. 2003;9(1):36-43. 

  25. Lee KS, Kim SC, Jung JE, Son JB, Joo JK. Differences of prevalence and components of metabolic syndrome according to menopausal status. Journal of Korean Society Menopause. 2012;18(3):155-162. 

  26. Polo-Kantola P. Sleep problems in midlife and beyond. Maturitas. 2011;68(3):224-232. 

  27. Hess R, Thurston RC, Hays RD, Chang CC, Dillon SN, Ness RB, et al. The impact of menopause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Results from the STRIDE longitudinal study. Quality of Life Research. 2012;21(3):535-544. 

  28. Bang SY. The effects of metabolic syndrome on quality of life.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5;16(10):7034-7042. 

  29. Vetter ML, Wadden TA, Lavenberg J, Moore RH, Volger S, Perez JL, et al. Relation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to metabolic syndrome, obesity, depression and comorbid illnesses. International Journal of Obesity. 2011;35(8):1087-1094. 

  30. Koh CY, Yang JS, Choi IS. Study on women's quality of life during menopause and suggestions for policy support. Policy Study Report. Suwon: Gyeonggido Family & Women's Research Institute;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