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폐경 후 중년여성의 우울 증상 영향요인의 융합연구
A Convergence Study of Factors Influencing on Depressive Symptoms in Postmenopausal Middle-Aged Women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10 no.4, 2020년, pp.25 - 34  

김영란 (백석문화대학교 간호학과) ,  원미화 (원광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폐경 후 중년여성의 우울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시도된 이차 자료분석 연구이다. 2016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40~65세의 중년여성 중 폐경여성 64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분석은 복합표본 independent t-test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중회귀분석에서 폐경 후 중년여성의 우울 증상은 경제상태, 주관적 건강상태, 지각된 스트레스, 흡연여부, 신체활동 및 활동제한여부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36%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된 폐경 후 중년여성의 우울 증상 영향요인을 고려하여 폐경 이행기 중년여성의 우울 증상을 감소하기 위한 중재 전략을 개발하고 적용할 것을 제언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its influencing factors of depressive symptoms in postmenopausal middle-aged women though analyzing secondary data. The data of 647 with 40~65 aged women who participated in the Seven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in 2016 were used...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무엇보다 우울 증상은 초기에 적절한 치료가 유지되면 80% 이상 회복되므로, 우울 증상으로 인해 나타나는 신체적 및 심리적 문제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적극적인 예방과 조기발견 및 관리가 중요하다 [14]. 따라서 본 연구는 폐경 후 중년여성의 우울 증상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살펴봄으로써, 폐경 후 중년여성의 우울 증상 예방 및 감소와 더불어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맞춤화된 적극적이고 적절한 중재 프로그램을 기획하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 중년여성은 폐경을 맞이하면서 정서적 혼돈과 상실감으로 인해 심리사회적으로 취약한 시기를 경험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폐경 후 중년여성의 중요한 정신건강 문제의 하나로 드러나고 있는 우울 증상의 영향요인을 살펴보기 위한 연구로서, 우울 증상의 영향요인을 일반적, 심리적 및 건강행위 관련 특성에 따라 살펴보았다.
  •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7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의 원시 자료를 이용하여 폐경 후 중년여성의 일반적, 심리적 및 건강행위 관련 특성이 우울 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이차자료 분석연구이다.
  • 본 연구에서는 폐경 후 중년여성의 일반적, 심리적 및 건강행위 관련 특성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우울 증상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 폐경 후 중년여성의 경제상태가 낮을수록, 주관적 건강상태가 나쁠수록, 지각된 스트레스가 있을수록, 현재 흡연을 할수록, 신체활동이 부족할수록, 활동에 제한이 있을수록 우울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중년의 시기를 중년의 위기라고도 하는 이유는? 중년의 시기는 신체적으로 성숙의 정상을 넘어 서서히 노쇠현상이 나타날 뿐만 아니라, 정서적으로 불안정한 인생의 과도기로서 지나간 삶을 회고하면서 사고력과 신체기능의 변화가 심해져 삶의 방식이 변화하는 시기이다[1,2]. 또한, 이 시기를 ‘중년의 위기’라고도 하는데, 이는 시간에 대한 전망을 축소함과 함께 자신에 대한 내향성이 증가함은 물론 생의 전반적인 부분에 대해 재조명과 재평가를 통해 갈등과 혼란을 경험하고, 심리적 격동과 고통이 가중되기 때문이다[3]. 여성의 경우 호르몬 수치의 감소에 따른 폐경 증상과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성적 요인 등이 함께 가중되어 갱년기 불편감이 여러 형태로 나타나기도하며 전반적인 집중력 감퇴와 빈 둥지 증후군 및 우울 증상을 경험하기도 한다[1,4]
폐경 후 중년여성의 우울 증상 발생률은 폐경 전 중년 여성에 비해 몇 배 높은가? 특히, 폐경 후 중년여성과 우울 증상은 강하게 연관되어 있음이 일부 선행연구에서 제시되고 있는데[1,4], 폐경기 여성의 약 20%는 심한 우울 증상으로 고통받고 있으며[7], 폐경 전 중년여성에 비해 폐경 후 중년여성의 우울 증상 발생률이 4배 이상 높은 것으로 종단적 연구결과 나타났다[8]. 또한, 폐경 후 중년여성의 우울 증상은 호르몬 변화로 인한 수면장애 및 안면홍조와 같은 신체화 증상 정도가 높거나 폐경을 일생 과정의 일부분이 아닌 젊음의 상실과 위기로 인식할수록 우울 증상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9,10].
폐경 후 중년여성의 우울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폐경 후 중년여성의 우울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경제상태, 주관적 건강상태, 지각된 스트레스, 흡연여부, 신체활동, 활동제한여부가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폐경 후 중년여성의 우울 증상을 완화하기 위한 일반적, 심리적, 및 건강행위 관련 특성에 따른 차별화된 간호사정과 중재 방안 마련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3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N. Santoro. (2016). Perimenopause: from research to practice. Journal of women's health, 25(4), 332-339. DOI : 10.1089/jwh.2015.5556 

  2. M. S. Chung, Y. H. Kim & K. C. Lim. (2018). The Influence of Health Status and Type of Health Management on Depression in Middle -Aged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4(3), 250-258. DOI : 10.5977/jkasne.2018.24.3.250 

  3. M. J. Han & J. H. Lee. (2014). Factors influencing self-identity and menopausal symptoms on level of depression in middle aged wome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9(4), 275-284. DOI : 10.4069/kjwhn.2013.19.4.275 

  4. E. W. Freeman, M. D. Sammel, H. Lin & D. B. Nelson. (2006). Associations of hormones and menopausal status with depressed mood in women with no history of depression.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63(4), 375-382. DOI : 10.1001/archpsyc.63.4.375 

  5. J. Jeon. (2016). editor Korean women's mental health indicators.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5, 47-60. 

  6. Korea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Depression in midlife and elderly 2019 [Online]. http://opendata.hira.or.kr/op/opc/olapMfrnIntrsIln sInfo.do. 

  7. L. Gao, L. Zhang, H. Qi & I. Petridis. (2016). Middle-aged female depression in perimenopausal period and square dance intervention. Psychiatria Danubina, 28(4), 372-378. 

  8. E. W. Freeman, M. D. Sammel, H. Lin & D.B. Nelson. (2006). Associations of Hormones and Menopausal Status with Depressed Mood in Women With No History of Depression. Arch Gen Psychiatry, 63(4), 375-382. 

  9. S. J. Kim & S. Y. Kim. (2013). A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marital intimacy, depression, and menopausal symptoms in middle-aged wome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9(3), 176-187. DOI : 10.4069/kjwhn.2013.19.3.176 

  10. M. Terauchi et al. (2012). Associations between anxiety, depression and insomnia in peri-and post-menopausal women. Maturitas, 72(1), 61-65. DOI:10.1016/j.maturitas.2012.01.014 

  11. H. Tanaka, Y. Sasazawa, S. Suzuki, M. Nakazawa & H. Koyama. (2011). Health status and lifestyle factors as predictors of depression in middle-aged and elderly Japanese adults: a seven-year follow-up of the Komo-Ise cohort study. BMC psychiatry, 11(1), 11-20. DOI : 10.1186/1471-244X-11-20 

  12. E. Kwon, H. Kim, S. Cho, S. Ko & H. Cho. (2014). Association of menopausal status, psychological factors, health behaviors and depressive symptoms of middle aged Korean women. Health and Social Science, 35, 25-54. 

  13. Y. J. Yang & S. H. Shin. (2014). The effects of self-esteem and family stress on depression of middle-aged couples: Analysis of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3(2), 60-69. DOI : 10.12934/jkpmhn.2014.23.2.60 

  14. C. G. Kim & S. Park. (2012). Gender Difference in Risk Factors for Depression in Community -dwelling Eld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2(1), 136-147. DOI : 10.4040/jkan.2012.42.1.136 

  15. E. H. Erikson, J. M. Erikson & H. Q. Kivnick. (1986). Vital Involvement in Old Age, New York : Norton. 

  16.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0). The Asia-Pacific perspective: redefining obesity and its treatment.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Obesity. International Obesity Taskforce, 15-21. 

  17.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2013). Development of the Korean version of Glob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and assessment of reliability and validity.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18.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0). Global recommendations on physical activity for health. World Health Organization. 

  19. Y. Li, Y. Wu, L. Zhai, T. Wang, Y. Sun & D. Zhang. (2017). Longitudinal association of sleep duration with depressive symptoms among middle-aged and older Chinese. Scientific reports, 7(1), 11794-11801. DOI : 10.1038/s41598-017-12182-0 

  20. H. S. Choi et al. (2007). Standardiz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Patient Health Questionnaire -9 as a Screening Instrument for Major Depressive Disorder.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28(2), 114-119. 

  21. K. Kroenke, R. L. Spitzer & J. B. Williams. (2001). The PHQ-9 validity of a brief depression severity measure. Journal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16(9), 606-613. DOI : 10.1046/j.1525-1497.2001.016009606.x 

  22. M. S. Choi & J. W. Park. (2008). A study of educational need, attitude and knowledge toward menopause in middle-aged wome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4(4), 257-269. 

  23. D. E. Chung & K. M. Sung. (2011). The effects of an integrated management program on climacteric symptoms and depression in middle-aged women.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17(1), 40-47. DOI : 10.14370/jewnr.2011.17.1.040 

  24. M. Y. Choi. (2011). The development and effect of the endurance enhancement program for mid-aged women depression. Doctoral dissertation. Korea University. Seoul. 

  25. W. S. Choi & J. S. Lee. (2014).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for work plan of female babyboomer.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34(1), 299-327. 

  26. J. E. Chu, J. M. Lee & H. I. Cho, (2013). Park YJ. Relationships between obesity, blood and urinary compositions, and dietary habits and depressed mood in Koreans at the age of 40, a life transition period.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46(3), 261-275. DOI : 10.4163/jnh.2013.46.3.261 

  27. O. Klungsoyr, J. E. Nygard, T. Sorensen & I. Sandanger. (2006). Cigarette smoking and incidence of first depressive episode: an 11-year, population-based follow-up study. 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 163(5), 421-432. 

  28. Y. K. Jeon & W. J. Cho. (2016). The Comparative Analysis of Body Shape Perception, Nutritional Status and Metabolic Syndrome Factors of Middle-Aged Women by Physical Activity Level.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action, 55(4), 527-539. DOI : 10.1093/aje/kwj058 

  29. Y. Y. Chen et al. (2016). Neighborhood support network, perceived proximity to community facilities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low socioeconomic status Chinese elders. Aging & Mental Health, 20(4), 423-431. DOI : 10.1080/13607863.2015.1018867 

  30. Y. J. Lee. (2018). Gender differences in Factors Associated with the Severity of Depression in Middle-aged Adults : An Analysis of 2014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9(10), 549-559. DOI : 10.15207/JKCS.2018.9.10.549 

  31. Statistics Korea. (2017).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2017 [Online].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1/2/2/index.board. 

  32. C. Baglioni et al. (2011). Insomnia as a predictor of depression: a meta-analytic evaluation of longitudinal epidemiological studies.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135(1-3), 10-19. DOI : 10.1016/j.jad.2011.01.011 

  33. A. I. Luik, L. A. Zuurbier, N. Direk, A. Hofman, E. J. Van Someren & H. Tiemeier. (2015). 24-hour activity rhythm and sleep disturbances in depression and anxiety: A population-based study of middle-aged and older persons. Depression and Anxiety, 32(9), 684-692. DOI : 10.1002/da.22355 

  34. Y. Y. Bang. (2019). Convergence analysis of depression managing program for menopausal women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10(4), 257-264. DOI : 10.15207/JKCS.2019.10.4.257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