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농업인의 병해충 방제연구 관련 의식실태 분석과 시사점
A Case Study on Improvement of Pest Control Research in Rural Development Institutions and its Implications 원문보기

韓國有機農業學會誌 = Korean journal of organic agriculture, v.24 no.4, 2016년, pp.609 - 625  

박부용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작물보호과) ,  이상범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작물보호과) ,  이상계 (농림축산검역본부 위험관리과) ,  박세근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작물보호과) ,  정인홍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작물보호과) ,  전익수 (충북대학교 농업경제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ggest implications of pest management system for agrarian improvement institute. We analyzed the informations about the pest management by listening to opinion of farmers and researchers including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and it's affliated organization.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병해충 방제연구는 현장 중심으로 연구의 포커스가 맞춰져야 한다고 판단되지만 이에 대한 기초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농업인과 관련종사자들 대상으로 방제 애로사항을 파악하고 기관의 병해충방제 연구분야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여 시사점을 도출해 앞으로의 병해충 방제 연구 방향에 대한 환류로 삼고자 한다.
  • 따라서 이러한 농업 현장의 애로사항을 조사하고, 그들의 농촌진흥기관의 방제 연구현황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여 변화하고 있는 병해충 발생상황에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대응하고자 한다. 이에 기존의 기관 위주의 병해충 예찰·발생 모니터링 자료에 국한되지 않고, 기관의 병해충 방제 연구에 대한 현장 인식실태에 대하여 농업인, 전문가로 이원화된 설문조사를 통한 사례분석을 수행하고 이를 토대로 현장 연계형 방제 방법을 모색하고자 한다.
  • 이에 기존의 기관 위주의 병해충 예찰·발생 모니터링 자료에 국한되지 않고, 기관의 병해충 방제 연구에 대한 현장 인식실태에 대하여 농업인, 전문가로 이원화된 설문조사를 통한 사례분석을 수행하고 이를 토대로 현장 연계형 방제 방법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방제란? 따라서 병해충 방제는 인류의 생존을 위한 필수적인 조건이었으며 물리적, 경종적, 화학적, 생물적 등 여러 가지 방법으로 방제를 해왔다. 방제란 병해충의 발생이나 피해를 미리 막는 예방(豫防)과 없애는 구제(驅除)를 아울러 지칭하는 말로써 병해충 자체에 대한 방제는 물론 농작물에 일어나는 피해에 대한 방제도 포함된다(Choi et al., 2011).
과거에 비하여 병해충 방제에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는 이유는? 그러나 백색혁명 이후 시설재배지역의 증가와 기후변화, 외래 침입 병해충의 확산 지역별 특화작목 단지화(團地化) 등 농업환경의 변화로 병해충의 발생 패턴이 다양해지고 약제저항성이 발생하였다(Cho et al., 1995).
병해충 방제 방법은? 예로부터 농경문화가 시작된 이래 인간은 생존을 위한 병충해와의 길고 긴 전쟁을 끊임없이 이어 왔으며 병해충잡초로 인한 농작물의 감수 피해는 30% 이상에 달한다(Aldrich and Kremer, 1997). 따라서 병해충 방제는 인류의 생존을 위한 필수적인 조건이었으며 물리적, 경종적, 화학적, 생물적 등 여러 가지 방법으로 방제를 해왔다. 방제란 병해충의 발생이나 피해를 미리 막는 예방(豫防)과 없애는 구제(驅除)를 아울러 지칭하는 말로써 병해충 자체에 대한 방제는 물론 농작물에 일어나는 피해에 대한 방제도 포함된다(Choi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Aldrich, R. J. and R. J. Kremer. 1997. Principles in weed management. Iowa State University press. p. 455. 

  2. California University. 1994. Crop protection guide fir tree fruit in Washington. EBO419. 

  3. Cha, B. J., Y. S. Lee and H. R. Lee. 2000. The present knowledge of farmers on pest and chemical control in grapevine cultur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4(1): 38-43. 

  4. Cho, J. R., Y. J. Kim, Y. J. Ahn, J. K. Yoo and J. O. Lee. 1995. Monitoring of acricide resistance in field-collected populations fo Tetranychus urticae (Acari: Tetranchidae) in Korea. Korean J. Appl. Entomol. 34 : 40-45. 

  5. Choi, J. E., S. H. Yu and S. W. Cho. Plant Medicine. 2011. 

  6. Croft, B. A. and S. C. Hoyt. 1983. Intergrated managemnet of insect pests of pome and stone fruit. New york : Wiley Interscience. 

  7. Driesche, R. C. and T. S. Bellows, Jr. 1996 Biological control. Chapman & Hall. 

  8. Ju, Y. J. and Y. C. Lee. 2011. The 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 of service quality according to buying experience of railtours. Korea Soc. Qual. Mana. 39: 34-44. 

  9. Kim, S. A. and S. T. Moon. An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on Satisfaction level of Agricultural and Rural polices. 

  10. Kim, S. S., J. M. Kim and D. J. Ju. 2010. A Study on the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ystems in the USA, Japan, and the Netherlands.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17(4): 655-683. 

  11. Marsde, T. K., S. J. Whatmore, R. J. C. Munton, and J. K. Little. 1986. The restructuring process and economic centrality in capitalist agrculture. Journal of rural studies 2(4): 281-280 

  12. Metcalf, R. L. and W. H. Luckmann. 1994. Introduction to insect pest management. 3rd ed. John Wiley & Sons, Inc., New York. 

  13. Park, K. H. 2009. The study of the eco-tourism destination attractives assessment via 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 Korea Tour. Res. Ass. 24: 1-20. 

  14. RDA. 2015. Atis researches statistics.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20(4): 1105-1147. 

  15. Stern, V. M., R. F. Smith, R. van den Bosch and K. S. Hagen. 1959. The integrated control concept. Hilgardia. 28: 81-101. 

  16. Vossen, P., D. Jolly, R. Mayer, L. Varela, and S. Blodgett. 1994. Disease, insect management pressures make orgrnic production risky in Sonoma conunty. Calif. Agr. 48: 29-36. 

  17. Yoo, J. C., B. Park and S. S. Yeo. 2013. Survey on Diversification of Organic farm as role of improving multifunctionality. J. Agr. Sci. Chungbuk Nat'l Univ. 29(2): 88-94.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