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농업인의 유기농업 기술개발 만족도 조사
Survey on Farmers' Satisfaction in Organic Agricultural Technologies Developed by RDA 원문보기

韓國有機農業學會誌 = Korean journal of organic agriculture, v.26 no.2, 2018년, pp.173 - 180  

김진호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유기농업과) ,  이상범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유기농업과) ,  박광래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유기농업과) ,  홍승길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유기농업과) ,  이초롱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유기농업과) ,  김민기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유기농업과) ,  김용기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유기농업과) ,  이상민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유기농업과) ,  변영웅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유기농업과) ,  고병구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유기농업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farmers' satisfaction in organic farming technologies developed by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The survey targeted farmers who were eco-friendly or interested in eco-friendly agriculture. 70% of the target farmers were doing eco-friendly farm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이번 연구는 농업인들이 현장에서 느끼는 유기농업 R&D의 만족도를 파악하고 향후 기술개발의 방향을 정립하기 위하여 추진되었다.
  • 본 연구는 농촌진흥청에서 개발한 유기농업기술들에 대해 농업인들이 느끼는 만족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유기농산물 재배기술에 대한 농가에서의 활용과 향후 중점적으로 보급해야 할 기술에 대해 친환경농업 실행 또는 실행 예정인 271농가를 대상으로 2017년 3월부터 11월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 첫째, 액비 이용 양분관리, 난황유 활용 병 • 해충 관리방법, 클로렐라를 활용한 병 • 해충 관리 및 품질 향상 등 다양한 유기농업 재배기술을 활용한 경험이 있는지에 대해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유기농업의 시작은? 우리나라 유기농업의 역사는 공식적으로는 1976년 1월 20일에 설립된 정농회를 중심으 로 민간주도로 시작되었으며, 1991년 12월에 한국유기농업학회를 창립함으로써 학술분야 로 확대, 유기농업 발전에 기여하여 왔다(Kim, 2017). 이러한 민간중심의 유기농업의 역사 는 2002년에부터는 큰 변화를 맞이하게 되었다.
1991년 12월에 한국유기농업학회를 창립함으로써 무엇에 기여하여 왔는가? 우리나라 유기농업의 역사는 공식적으로는 1976년 1월 20일에 설립된 정농회를 중심으 로 민간주도로 시작되었으며, 1991년 12월에 한국유기농업학회를 창립함으로써 학술분야 로 확대, 유기농업 발전에 기여하여 왔다(Kim, 2017). 이러한 민간중심의 유기농업의 역사 는 2002년에부터는 큰 변화를 맞이하게 되었다.
유기농산물 재배기술에대한 농가에서의 활용 및 향후 요구되는 기술에 대해서는 크게 4가지로 구분하여 조사, 분석하면? 유기농산물 재배기술에 대한 농가에서의 활용 및 향후 요구되는 기술에 대해서는 크게 4가지로 구분하여 조사, 분석하였다. 첫째, 액비 이용 양분관리, 난황유 활용 병 ․ 해충 관리방법, 클로렐라를 활용한 병 ․ 해충 관리 및 품질 향상 등 다양한 유기농업 재배기술을 활용한 경험이 있는지에 대해 조사하였다. 나아가 활용한 적이 있다면 그에 대한 만족도를 리커트 5점 척도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둘째, 개발된 유기농업 관련 기술의 현장적용 확대 를 위한 농가 현장실증 및 시범사업에 참여한 적이 있는지와 이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셋째, 유기농업 농가에서 활용이 가능한 유기재배지침서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한 후, 향후 유기농업 확대를 위해 농가에서 필요한 기술개발 분야를 조사하였다. 마지막으로 현재 개발되어 있는 유기재배 관련 기술과 매뉴얼에 대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해 다중회귀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Kim, H. 2017. Issues on Overcoming Present Crises of Organic Agriculture through its Philosophy and Principle. Korean Journal of Organic Agriculture. 25(1): 53-69. 

  2. Kim, J. H. and S. B. Yang. 2017. A Study on the Value of Environmental-friendly's Certification for the Rice, Korean Journal of Organic Agriculture. 25(1): 23-35. 

  3. Han, S. H., B. H. Lee, M. S. Park, J. H. Seung, H. S. Yang, and S. C. Shin. 2011. A Study on Building Crop Yield Forecasting Model Considering Meteorological Elements.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p. 152. 

  4. Heo, S. W. 2013. An Analysis on Farmer's Awareness and Satisfaction Level of the Project for Developing Large-Scale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Districts. Korean Journal of Organic Agriculture. 21(1): 49-59. 

  5. Hong, S. G., J. H. Kim, Y. K. Kim, J. H. Shin, J. C. Yun, and D. S. Park. 2014. Trends in Organic Farming Technology by Patent Analysis. Korean Journal of Organic Agriculture. 22(3): 369-379. 

  6. Hong, S. G., S. B. Lee, K. L. Park, M. H. Lee, H. S. Nam, J. H. Kim, J. C. Yun, and D. S. Park. 2014. Research Trends in Organic Farming Technology by Journal Article Analysis. Korean Journal of Organic Agriculture. 22(4): 549-559. 

  7. Kim, P. S. and J. H. Park. 1996. Planning Survey on Customer's Satisfaction for Public Services done by Central Administration Bodies. Forum on the Construction of Customer- Oriented Government hosted by The Ombudsman of Korea. 

  8. Lee, H. T. 2004. Analysis on the Customer's Satisfaction for City Public Services. Local Government Research. 7(4): 215-232. 

  9. Park, J. H. 1999. Meaning and Function of the Civic Evaluation System. Local Administration. 

  10. Park, J. H. 2001. Survey on Customer's Satisfaction for Public Services. Korean Administra- tion Research. 10(1): 40-66. 

  11. Park, J. K., Y. S. Park, and C. H. Shin. 2012. R&D Planning for Enhancing the Technology Quality Focused on the Organic Agriculture Field. Korean Journal of Organic Agriculture. 20(2): 109-124.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