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포도갈색무늬병 발병수준이 '켐벨얼리' 유기포도의 광합성률에 미치는 영향
Photosynthetic Rates of 'Campbell Early' Organic Grape as Affected by Degree of Leaf Spot Disease Caused by Pseudocercospora vitis 원문보기

韓國有機農業學會誌 = Korean journal of organic agriculture, v.24 no.4, 2016년, pp.773 - 786  

류영현 (경상북도농업기술원 유기농업연구소) ,  배수곤 (경상북도농업기술원 유기농업연구소) ,  연일권 (경상북도농업기술원 유기농업연구소) ,  김광섭 (경상북도농업기술원 유기농업연구소) ,  박상조 (경상북도농업기술원 농업환경과) ,  박준홍 (경상북도농업기술원 농업환경과) ,  박종호 (국립농업과학원 유기농업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포도 캠벨얼리품종은 우리나라 포도재배면적의 70%를 차지하고 있으며 다른 품종에 비해서 갈색무늬병에 대해서 감수성으로 병 발생이 심할 경우 과실당도의 저하를 가져와 품질하락과 생육불량 등의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켐벨얼리 포도품종에서의 갈색무늬병에 의한 생육피해 해석을 위해서 7년생의 유기재배 켐벨얼리 품종대상으로 2015년 8월에 갈색무늬병이 발병된 포도나무를 대상으로 광합성 효율 특성, 엽록소함량 및 감염잎의 화학성분 등을 비교분석하였다. 갈색무늬병 감염면적이 증가함에 따라서 $CO_2$ differential value (기준기와 분석기 $CO_2$ 농도차이), WUE value (광합성수분사용효율)와 A value ($CO_2$의 흡수율/호흡률) 등은 크게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며 stomatal conductance value (기공전도도)은 큰 영향이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총 엽록소의 함량은 병징이 심할 경우 50% 이상 감소하여 엽록소 함량의 감소가 포도갈색무늬병 발병잎의 광합성 효율 저하에 큰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생각되며 병반면적률에 따른 화학성분을 조사한 결과 병반면적률이 증가할수록 잎의 질소, 인산, 칼륨 함량은 감소하였으며 반면에 총탄소, 칼슘 그리고 마그네슘의 함량은 병반면적률에 비례해서 증가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Grape cultivar "Campbell Early" account for 70% of table grape in Korea and Leaf Spot Disease caused by Pseudocercospora vitis is one of a major disease in greenhouse and field grown area during late summer season in both of organic and conventional grape farm. Leaf spot disease can cause lowing of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포도 갈색무늬병 피해를 해석하기 위한 Park et al. (2004b)의 연구에서 갈색무늬병이 발생된 포도나무를 발병 엽률별로 구분하여 병 발생이 심했던 집단과 발생이 적었던 집단 간의 포도 당도를 조사한 결과 뚜렷한 차이가 있음을 보고하였는데 본 연구는 우리나라 유기 재배포도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켐벨얼리 품종에서 포도 갈색무늬병 발병수준에 따른 광합성 효율 특성, 엽록소함량 등을 조사하여 과실 당도에 영향을 주는 광합성 반응의 저하에 대한 구체적인 자료를 제시하고 발병수준별 포도 잎의 화학성분을 비교함으로써 갈색무늬병 발병시 포도잎의 화학성분 변화에 대한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갈색무늬병이 발병된 포도나무를 대상으로 광합성 효율 특성, 엽록소함량 및 감염잎의 화학성분 등을 비교분석한 결과는? 이러한 켐벨얼리 포도품종에서의 갈색무늬병에 의한 생육피해 해석을 위해서 7년생의 유기재배 켐벨얼리 품종대상으로 2015년 8월에 갈색무늬병이 발병된 포도나무를 대상으로 광합성 효율 특성, 엽록소함량 및 감염잎의 화학성분 등을 비교분석하였다. 갈색무늬병 감염면적이 증가함에 따라서 CO2 differential value (기준기와 분석기 CO2 농도차이), WUE value (광합성수분사용효율)와 A value (CO2의 흡수율/호흡률) 등은 크게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며 stomatal conductance value (기공전도도)은 큰 영향이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총 엽록소의 함량은 병징이 심할 경우 50% 이상 감소하여 엽록소 함량의 감소가 포도갈색무늬병 발병잎의 광합성 효율 저하에 큰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생각되며 병반면적률에 따른 화학성분을 조사한 결과 병반면적률이 증가할수록 잎의 질소, 인산, 칼륨 함량은 감소하였으며 반면에 총탄소, 칼슘 그리고 마그네슘의 함량은 병반면적률에 비례해서 증가하였다.
국내 포도재배시 미국계 품종인 켐벨얼리를 주로 재배하게 된 이유는? 국내 포도 재배면적은 2009년에 18,000 ha 정도이며 이중 캠벨얼리품종은 전체 포도재배면적의 70%를 차지하고 있는 실정으로 이는 우리나라의 경우 여름철에는 고온다습, 겨울철에는 극한기온의 특징적인 기후 특성으로 인해서 미국계 품종인 켐벨얼리를 주로 재배하게 된 것으로 이 품종은 노균병, 흰가루병 등 유럽계 품종에 주로 발생하는 병에 대해서 비교적 강한 특성이 있으나 갈색무늬병에는 취약한 문제점이 있다(National Inst. of Horticulture, 2002).
포도의 미국계 품종인 켐벨얼리의 장점과 단점은? 국내 포도 재배면적은 2009년에 18,000 ha 정도이며 이중 캠벨얼리품종은 전체 포도재배면적의 70%를 차지하고 있는 실정으로 이는 우리나라의 경우 여름철에는 고온다습, 겨울철에는 극한기온의 특징적인 기후 특성으로 인해서 미국계 품종인 켐벨얼리를 주로 재배하게 된 것으로 이 품종은 노균병, 흰가루병 등 유럽계 품종에 주로 발생하는 병에 대해서 비교적 강한 특성이 있으나 갈색무늬병에는 취약한 문제점이 있다(National Inst. of Horticulture, 200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National Inst. of Horticulture. Research Report 2002 ; Development of control technology for downy mildew and leaf spot disease in grape. RDA, Suwon, Korea. (In Korean) 

  2. Arnon, D. I. 1949. Copper enzymes in isolated chloroplasts, polyphenoxidase in Beta vulgaris. Plant physiology 24: 1-15. 

  3. Bastiaans, L. 1991. Ratio between virtual and visual lesion size as a measure to describe reduction in leaf photosynthesis of rice due to leaf blast. Phytopathology. 81: 611-615. 

  4. Cha, B. J., Y. S. Lee and H. R. Lee. 2000. The present knowledge of farmers on pests and chemical control in grapevine culture.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4: 38-43. 

  5. Dang, J. K. and B. S. Daulta. 1982. Varietal behavior of grapes to different fungal foliar diseases. Haryana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s. 11: 47-52. 

  6. Hiscox, J. D. and G. F. Israelstam. 1979. A method for the extraction of chlorophyll from leaf tissue without maceration. Canadian journal of botany. 57: 1332-1334. 

  7. Jung, S. M., J. H. Park, S. J. Park, H. C. Lee, J. W. Lee and M. S. Ryu. 2009. Regional differences of leaf spot disease on grapevine cv. 'Campbell Early' caused by Pseudocercospora vitis in plastic green house. Res. Plant Dis. 15: 193-197. 

  8. Lopes, D. B. and R. D. Berger. 2000. The effects of rust and anthracnose on the photosynthetic competence of diseased bean leaves. Phytopathology. 91: 212-220. 

  9. Nam, M. H., Y. N. Jeon, H. C. Lee, H. D. Lee, and H. K. Kang. 2012.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healthy and Powdery mildew-infected plants of strawberry cultivar Seolhyang. Res. Plant Dis. 18: 80-85. 

  10. NIAST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2000. Methods of soil and plant analysis. Suwon, Korea. (In Korean) 

  11. Park, J. H. 2004a. Ecology and etiology of leaf spot caused by Pseudocercospora vitis on grapevine and its cultivar resistance in Korea. Ph. D thesi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ChongJu, Korea. 

  12. Park, J. H., K. S. Han, J. S. Lee, S. T. Seo, H. I. Jang, and H. T. Kim. 2004b. Occurrence tendency and decrease of fruits Brix according to increasing grapevine leaf spot disease caused by Pseudocercospora vitis. Res. Plant Dis. 10: 341-344. 

  13. Park, J. H., K. S. Han, J. S. Lee, S. T. Seo, H. I. Jang, and H. T. Kim. 2006a. Effect of temperature on pathogen growth and damage analysis of leaf spot disease on grapevine caused by Pseudocercospora vitis in Korea. Res. Plant Dis. 12: 10-14. 

  14. Park, J. H., K. S. Han, J. S. Lee, S. T. Seo, H. I. Jang and H. T. Kim. 2006b. Pathogenicity and Infection Mechanism of Pseudocercospora vitis Causing Leaf Spot Disease on Grapevine in Korea. Res. Plant Dis. 12: 15-19. 

  15. Pearson, R. and A. Goheen. 1998. Compendium of grape disease. The American Phytopathological society. 

  16. Roloff, I. and H. Scherm. 2004. Photosynthesis of blueberry leaves as affected by Septoria leaf spot and abiotic leaf damage. Plant Disease. 88: 397-401 

  17. Shin, H. D. and J. D. Kim. 1998. Taxonomic Studies on Cercospora and Allied Genera in Korea (I) The Korean journal of mycology. 26: 327-341. 

  18. Shtienberg D., 1992. Effects of foliar diseases on gas exchange processes; A comparative study. Phytopathology 82: 760-765. 

  19. Sisterna, M. and L. Ronco. 2005. Occurrence of grapevine leaf spot caused by Pseudocercospora vitis in Argentina. Plant Pathology 54: 247. 

  20. The American Phytopathological Society. 2008. Assess 2.0 : Image analysis software for Plant disease quantification. ISBN 978-0-89054-369-6. USA. 

  21. The Korean Society of Plant Pathology. 2009. List of plant diseases in Korea. Fifth Edition, p. 213. Seoul, Korea. (In Korean) 

  22. Yeh, W. H, Y. H. Park, L. Y. Kim, J. S. Taik, Y. J. Nam, H. S. Shim, Y. K. Kim, and B. Y. Yeol. 2009. Comparison of inorganic amounts in paddy field soil, rice straw and grain with severity of Brown spot caused by Cochliobolus miyabeanus. Res. Plant Dis. 15: 41-4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