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제주도 대정유역의 수리전도도 적용에 따른 지하수 모델링 결과 평가
Assessment of Groundwater Flow Modeling according to Hydraulic Conductivity Zonation in the Dae-jeong Watershed of Jeju Island 원문보기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 한국환경과학회지, v.25 no.12, 2016년, pp.1727 - 1738  

박재규 (한국농어촌공사) ,  김민철 (제주대학교 토목공학과) ,  양성기 (제주대학교 토목공학과) ,  이준호 (제주대학교 토목공학과) ,  김용석 (제주대학교 토목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groundwater flow was analyzed targeting Dae-jeong watershed, which exhibited the largest variations of groundwater levels at the identical elevation points among the 16 watersheds of Jeju Island. The issues of the methods applied in practice were identified and improvement plans were ...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또한, 분석된 결과를 대상으로 실제 등수위선 자료와 비교 검토하여 미계측지역에 대하여 지하수위 검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실제 지하수 모델링 수행 시 발생가능 한 문제점을 파악하고, 지역의 특성에 적절한 모델 적용방안과 정상류 상태의 검증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제주지역의 최근 용수 수요량은 변화는? 제주지역은 최근 지하수 보전과 관리를 위해 신규 지하수관정 개발을 제한하고 있으나, 급증하는 인구 유입으로 택지개발과 주택건축이 활발하여 용수의 수요량이 현저하게 늘어나고 있다. 이로 인해 안정적인 용수확보를 위한 지하수의 신규개발이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지하수 해석모형을 통해 어떤 연구가 진행중인가? 지하수 해석모형은 실제 현장을 재현하기 위한 수치 해석 모델로서 지역별 지하수 개발에 따른 유동특성, 해수침투, 지하수-지표수 연계해석 등 다양한 연구·조사가 수행되고 있다(Ahn et al., 2013; Kim, 2009; Kim et al.
용수의 수요량이 급증하면서 어떤 대처를 하고있는가? 제주지역은 최근 지하수 보전과 관리를 위해 신규 지하수관정 개발을 제한하고 있으나, 급증하는 인구 유입으로 택지개발과 주택건축이 활발하여 용수의 수요량이 현저하게 늘어나고 있다. 이로 인해 안정적인 용수확보를 위한 지하수의 신규개발이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신규 지하수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제주특별자치도 지하수관리 조례에 의거한 지하수 영향조사서가 작성되어야 하고, 굴착예정지역의 지하수위 예측과 해석모델을 이용하여 지하수 양수에 따른 수위강하 및 유동방향 등 다양한 해석을 수행하여야만 한다(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20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hn, S. S., Park, D. I., Oh, Y. H., 2013, Characteristics of ground water capture zone according to pumping rate, J. Environ. Sci. Inter., 22(7), 895-903. 

  2. Cho, B., 2001, Hydroge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groundwater resources in the Busan area, Korea. Ph. D.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36. 

  3. Choi, B. S., 1999, Determination of aquifer characteristics from specific capacity data of wells in Cheju Island, J. of sci. Groundwater Environment, 6, 180-187. 

  4. Chung, S. Y., Yoo, I. K., Yoon, M. J., Kweon, H. W., Heo, S. H., 1999, Application of geostatistical method to groundwater flow analysis in a heterogeneous anisotropic aquifer, J. of Engineering Geology., 9(2), 147-159. 

  5. Fetter, C. W., 1994, Applied hydrogeology, third edition, Macamillan College Publishing Company. 

  6. GIMS (National groundwater information center), 2013, https://www.gims.go.kr/ 

  7. Han, J. S., 1999, 3D groundwater model and application, Parkyoungsa. 

  8. Jejudo, 2003, Comperhensive survey of hydrogeology and groundwater resources in Jeju Island(III), 173-179. 

  9.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2013, Water resources management master plan. 

  10.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2014, Groundwater management regulations. 

  11. Kang, D. H., Yang, S. I., Kim, T. Y., Park, H. J., Kwon, B. H., 2008, The Variation characteristics of groundwater level with distance from shoreline in the Jeju Island, J. of Engineering Geology. 

  12. Kim, B. S., 2011, Study on hydrogeological characteristics of volcanic rocks in Jeju Island, Ph. D. Dissert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Korea. 

  13. Kim, G. B., 2009, Model application for groundwater resource development and management, J.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22(4), 40-45. 

  14. Kim, K. J., 1999, Current situation and problems in applying groundwater flow medels to EIAs in Korea, J. the Korean Society Groundwater Environment, 6(2), 66-75. 

  15. Kim, M. C., Yang, S. K., Oh, S. T., 2015, Analysis on groundwater flow according to low permeable layer structure over Seongsan watershed of Jeju Island, J. Environ. Sci. Inter., 24(4), 449-459. 

  16. Kim, N. W., Na, H. N., Chung, I. M., 2013, Simulation of groundwater variation characteristics of Hancheon watershed in Jeju Island using integrated hydrologic modeling, J. Environ. Sci. Inter., 22(5), 515-522. 

  17. Ko, G. W., 1997, Characteristics of the groundwater and hydrogeologic implications of the Seoguipo formation in Cheju Island, Ph. D. Dissert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Korea. 

  18. Ko, J. W., 2016, Surface & ground water based on the observation data of Jeju Island midwest basin flow characteristic analysis, Ph. D. Dissertation, Jeju National University, Korea. 

  19. Lee, B. D., 2001, Study on hydrogeological characteristics related to the excavation of Youngchun waterway tunnel, Ph. D. Dissert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Korea. 

  20. McDonald, M. G., Harbaugh, A. W., 1988, A modular three-dimensional finite-difference groundwater flow model, Techniques of Water-Resources Investigations of the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21. Na, H. N., Koo, M. H., Cha, J. H., Kim, Y. J., 2007, Sensitivity analysis of groundwater model predictions associated with uncertainty of boundary conditions: A Case study,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 12(3), 53-65. 

  22. Park, N. S., Koh, B. R., Lim, Y. D., 2013, Impacts of fresh and saline groundwater development in Sungsan watershed, Jeju Island, J. of Korea Water Resour. Assoc., 46(7), 783-794. 

  23. Sacks, J., Welch, W. J., Mitchell, T. J., Wynn, H. P., 1989, Design and analysis of computer experiments, Statistical Science, 4(4), 409-435. 

  24. Williams, J. R., Nicks, A. D., Arnold, J. G., 1985, Simulato for water resources in rural basins, J. Hydrological. Eng. ASCE, 111(6), 970-987.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