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지하수 개발 및 양수기간에 따른 수위 변동특성 분석
Analysis of Water Level Fluctuations according to Groundwater Development and Pumping Duration 원문보기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 한국환경과학회지, v.25 no.1, 2016년, pp.135 - 146  

김민철 (제주대학교 토목공학과) ,  양성기 (제주대학교 토목공학과) ,  이준호 (제주대학교 토목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d fluctuations of ground water level of ground water wells developed in Seongsan watershed of Jeju Island until 2013 using MODFLOW, a numerical analysis model. Ground water level shows greater fluctuations from increase of pump capacity compared to the number of ground water wells....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 연구는 제주도 성산유역의 2013년까지 연도별 지하수 개발량을 파악하고 관정의 양수능력을 고려한 지하 수위의 변동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기후변화에 의한 가뭄사상에 따른 지하수 흐름의 분포특성을 재현하기 위하여 2013년까지 개발된 지하수 관정을 적용하여 양수 지속기간에 따른 수위변동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제주 지역의 주요 수자원으로 지하수가 이용될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제주도는 대부분 하천이 건천 형태로 유지되고 있어 지표수를 활용한 수자원 확보는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Jung and Yang, 2013). 그러나 함양률이 높은 지질특성으로 인해 지하수자원이 풍부하게 확보되고 있어 제주 지역의 주요 수자원은 지하수로 이용되고 있다.
제주도에서 지표수를 활용한 수자원 확보가 어려운 이유는 무엇인가? 제주도는 대부분 하천이 건천 형태로 유지되고 있어 지표수를 활용한 수자원 확보는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Jung and Yang, 2013). 그러나 함양률이 높은 지질특성으로 인해 지하수자원이 풍부하게 확보되고 있어 제주 지역의 주요 수자원은 지하수로 이용되고 있다.
집중호우 및 가뭄재해 등의 피해가 발생 시 제주지역의 지하수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 2015). 특히 제주지역의 지하수는 기후변화인자의 변동성에 매우 취약하므로 대수층으로부터 지하수를 지속적으로 양수하면 지하수위 하강과 함께 해수침투 및 지하수 고갈 등 다양한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Jeju Development Institute, 2012; Song and Choi, 20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Ahn, S. S., Park, D. I., Oh, Y. H., 2013, Characteristics of ground water capture zone according to pumping rate,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s International, 22(7), 895-903. 

  2. Han, J. S., 1999, 3D groundwater model and application, Parkyoungsa. 

  3. Jejudo, 2003, Comperhensive survey of hydrogeolohgy and groundwater resources in Jeju Island(III). 

  4. Jeju Development Institute, 2012, Jeju water, 50. 

  5.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2013a, Water resources management master plan. 

  6.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2013b, Ground-water survey yearbook. 

  7. Jung, W. Y., Yang, S. K., 2009, Simulation on runoff of rivers in Jeju Island using SWAT model,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18(9), 1045-1055. 

  8. Kang, D. H., Yang, S. I., Kim, T. Y., Park, H. J., Kwon, B. H., 2008, The vriation characteristics of ground-water level with distance from shoreline in the Jeju Island,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18(2), 157-166. 

  9. Kim, B. S., 2011, Study on hydrogeological characteristics of volcanic rocks in Jeju Island, Ph. D. Dissert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Korea. 

  10. Kim, M. C., Yang, S. K., Oh, S. T., 2015a, Analysis on groundwater flow according to low permeable layer structure over Seongsan watershed of Jeju Island,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s International, 24(4), 449-459. 

  11. Kim, N. W., Na, H. N., Chung, I. M., 2013, Simulation of groundwater variation characteristics of Hancheon watershed in Jeju Island using integrated hydrologic modeling,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s International, 22(5), 515-522. 

  12. Kim, N. W., Chung, I. M., Na, H. N., 2015b, An integrated water budget analysis of oedocheon watershed in Jeju Island,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s International, 24(4), 471-480. 

  13. Kim, N. W., Chung, I. M., Yoo, S. Y., Lee, J. W., Yang, S. K., 2009, Integrated surface-groundwater analysis in Jeju Island,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s International, 18(9), 1017-1026. 

  14. Kim, N. W., Kim, Y. J., Chung, I. M., 2015c, Estimation of transmissivity using parameters of groundwater table fluctuation model,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s International, 24(4), 461-470. 

  15. Lee, J. H., Yang, S. K., Jung, W. Y., Yang, W. S., 2015, Estimation of design rainfall based on climate change scenario in Jeju Island,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s International, 24(4), 383-391. 

  16. McDonald, M. G., Harbaugh, A. W., 1988, A modular three-dimensional finite-difference groundwater flow model, Techniques of Water-Resources Investigations of the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17. Park, N. S., Koh, B. R., Lim, Y. D., 2013, Impacts of fresh and saline groundwater development in Sungsan watershed, Jeju Island,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6(7), 783-794. 

  18. Song, S. H., Choi, K. J., 2012, An appropriate utilization of agricultural water resources on Jeju Island with climate change(I), J. Soil Groundwater Environ., 17(2), 62-70. 

  19. Song, S. H., Lee, B. S., Choi, K. J., Kim, J. S., Kim, G. P., 2014, Evaluation of drought effect on groundwater system using groundwater level date in Jeju Island,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s International, 23(4), 637-647. 

  20. USGU, 1998, Basic ground-water hydrology.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