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이 없습니다.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mitochondria energy metabolism 에 관여하는 RNA array 분석 결과 mitochondria potential 강화와 관련된 효소 (NADH dehydrogenase oxidase, ATP synthase)의 활성화를 유도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팀에서는 광조사는 파장별로 세포 내 기능을 다르게 유도할 수 있고 세포종류 혹은 상태에 따라 다르게 조절 할 수 있는 것으로 보고 파장별, 세포별로 나누어 다양한 생리활성 효과를 연구하고 있다. 본 연구팀에서 수행했던 그리고 진행 중인 몇 가지 연구 결과를 아래에 나열하였다.
  • 본 연구팀은 850nm LED와 골수유래 성체줄기세포를 이용하여 피부조직 괴사 억제 및 상처치유효과를 연구한 바 있다. 쥐의 등 부분에 가로 3cm 세로 1.
  • 비분화성이기 때문에 항암치료에 내성을 보이며 증식이 폭발적으로 일어나 전이되기 쉬운 특성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팀은 비분화성 갑상선 암의 광역학 치료 동물모델 구축 중에 이 현상을 발견하게 되었다. 그림 6과 같이 쥐의 갑상선에 비분화성 갑상선 암세포를 주입하고 광역학치료 대조군 중의 하나로 630nm 광조사군만 설정하였다.
  • 유비퀴논도 대표적인 HSP 이지만 변성단백질에 공유 결합하여 proteasome분해 지표로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HSP 이 광조사에 의해 조절되는지 확인해보기 위해 사람의 정상섬유아세포에 LED 조사 후 HSP의 발현을 확인해 보았다. HSP 발현을 형광분석한 결과 660 nm 는 HSP 60 (증식), 27 (세포사멸) 발현에, 850 nm 는 HSP 60, 90 (세포사멸) 발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그림 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저출력 광치료기술이란 무엇인가? 저출력 광치료기술 (LLLT, low level light therapy) 은 적정수준의 빛 에너지를 조사하여 세포의 기능을 자극하거나 억제함으로써 임상효과를 볼 수 있는 광 치료기술로 visible 또는 near-infrared 광원을 이용하여 고통 완화, 염증, 부종, wound healing, 조직 괴사 방지 등 적용이 광범위한 기술이다. 2003년 action spectra concept과 함께 세포 내 mitochondria 의 활성과 특정 파장의 빛 에너지와의 관계가 알려지면서 LLLT 의 생물학적 유효성이 공식적으로 이론화되었으며 이후 photobiomodulation (PBM)개념으로 광 적용에 대한 연구를 세포수준으로 끌어올리고 있다.
LLLT 분야의 핵심은 무엇인가? 2003년 action spectra concept과 함께 세포 내 mitochondria 의 활성과 특정 파장의 빛 에너지와의 관계가 알려지면서 LLLT 의 생물학적 유효성이 공식적으로 이론화되었으며 이후 photobiomodulation (PBM)개념으로 광 적용에 대한 연구를 세포수준으로 끌어올리고 있다. LLLT 분야의 핵심은 치료에 필요한 정확한 파장과 적절한 출력, 그리고 광에너지 양의 제어에 있다. 광이 조직에 닿으면 투과, 산란, 반사, 흡수가 반드시 일어나고 생물학적 효과를 가지기 위해서는 반드시 조직에 흡수되어야 한다.
광 치료기기의 광원인 LED의 특징은? 현재 시판되는 광 치료기기의 광원들이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다양해지면서 구조, 출력, 크기, 파장대 등이 변화되고 있어 추후에는 이 부분의 융합적 연구가 많이 요구되어 질 것으로 보인다. 레이저는 단일파장(monochromaric), 동일한 위상과 파동의 균일성(coherent), 직진성 (collimated)의 특성을 가지고 있는데 비해 LED 는 레이저 광원에 비하여 다소 넓은 출력 스펙트럼을 가지는 비간섭성 (non-coherent) 이고 비평행광(non-coillimated) 이어서 넓은 범위의 조사가 가능한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다색 및 다단계 밝기 제어, 소형화, 높은 광전환 효율이 가능하므로 기능 확장이 얼마든지 가능한 광원이다. LED 칩의 광 출력은 파장에 따라 차이가 존재하는데 400nm 대역의 UV 영역은 광출력이 20mW, 850-90 0nm 대역은 10mW 이상, 상처치유 및 통증완화에 효과가 있는 600-700nm 대역의 경우 평균 40mW 까지 개발되어 있으므로 치료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는 LED 단위 칩 개발이 중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Robijns J, Censabella S, Bulens P, Maes A, Mebis J. The use of low-level light therapy in supportive care for patients with breast cancer: review of the literature. Lasers Med Sci. 2016 Aug 19. 

  2. Chow RT, Armati PJ. Photobiomodulation: Implications for Anesthesia and Pain Relief. Photomed Laser Surg. 2016 Jul 15. 

  3. Ayuk SM, Abrahamse H, Houreld NN. The Role of Matrix Metalloproteinases in Diabetic Wound Healing in relation to Photobiomodulation. J Diabetes Res. 2016;2016:2897656. 

  4. Mamalis A, Siegel D, Jagdeo J. Visible Red Light Emitting Diode Photobiomodulation for Skin Fibrosis: Key Molecular Pathways. Curr Dermatol Rep. 2016;5:121-128. 

  5. Arany PR. Craniofacial Wound Healing with Photobiomodulation Therapy: New Insights and Current Challenges. J Dent Res. 2016 Aug;95(9):977-84. 

  6. Mignon C, Botchkareva NV, Uzunbajakava NE, Tobin DJ. Photobiomodulation devices for hair regrowth and wound healing: a therapy full of promise but a literature full of confusion. Exp Dermatol. 2016 Apr 20. 

  7. Fekrazad R, Asefi S, Allahdadi M, Kalhori KA. Effect of Photobiomodulation on Mesenchymal Stem Cells. Photomed Laser Surg. 2016 Apr 12. 

  8. Marques MM, Diniz IM, de Cara SP, Pedroni AC, Abe GL, D'Almeida-Couto RS, Lima PL, Tedesco TK, Moreira MS. Photobiomodulation of Dental 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A Systematic Review. Photomed Laser Surg. 2016 Apr 8. 

  9. Cassano P, Petrie SR, Hamblin MR, Henderson TA, Iosifescu DV. Review of transcranial photobiomodulation for major depressive disorder: targeting brain metabolism, inflammation, oxidative stress, and neurogenesis. Neurophotonics. 2016 Jul;3(3):031404. 

  10. Zecha JA, Raber-Durlacher JE, Nair RG, Epstein JB, Elad S, Hamblin MR, Barasch A, Migliorati CA, Milstein DM, Genot MT, Lansaat L, van der Brink R, Arnabat-Dominguez J, van der Molen L, Jacobi I, van Diessen J, de Lange J, Smeele LE, Schubert MM, Bensadoun RJ. Low-level laser therapy/photobiomodulation in the management of side effects of chemoradiation therapy in head and neck cancer: part 2: proposed applications and treatment protocols. Support Care Cancer. 2016 Jun;24(6):2793-805. 

  11. Zecha JA, Raber-Durlacher JE, Nair RG, Epstein JB, Sonis ST, Elad S, Hamblin MR, Barasch A, Migliorati CA, Milstein DM, Genot MT, Lansaat L, van der Brink R, Arnabat-Dominguez J, van der Molen L, Jacobi I, van Diessen J, de Lange J, Smeele LE, Schubert MM, Bensadoun RJ. Low level laser therapy/photobiomodulation in the management of side effects of chemoradiation therapy in head and neck cancer: part 1: mechanisms of action, dosimetric, and safety considerations. Support Care Cancer. 2016 Jun;24(6):2781-92. 

  12. Hadis MA, Zainal SA, Holder MJ, Carroll JD, Cooper PR, Milward MR, Palin WM. The dark art of light measurement: accurate radiometry for low-level light therapy. Lasers Med Sci. 2016 May;31(4):789-809. 

  13. Geneva II. Photobiomodulation for the treatment of retinal diseases: a review. Int J Ophthalmol. 2016 Jan 18;9(1):145-52. 

  14. Santana-Blank L, Rodriguez-Santana E, Santana-Rodriguez KE, Reyes H. "Quantum Leap" in Photobiomodulation Therapy Ushers in a New Generation of Light-Based Treatments for Cancer and Other Complex Diseases: Perspective and Mini-Review. Photomed Laser Surg. 2016 Mar;34(3):93-101. 

  15. Cotler HB, Chow RT, Hamblin MR, Carroll J. The Use of Low Level Laser Therapy (LLLT) For Musculoskeletal Pain. MOJ Orthop Rheumatol. 2015;2(5). 

  16. Sonis ST, Hashemi S, Epstein JB, Nair RG, Raber-Durlacher JE. Could the biological robustness of low level laser therapy (Photobiomodulation) impact its use in the management of mucositis in head and neck cancer patients. Oral Oncol. 2016 Mar;54:7-14. 

  17. Liebert AD, Chow RT, Bicknell BT, Varigos E. Neuroprotective Effects Against POCD by Photobiomodulation: Evidence from Assembly/Disassembly of the Cytoskeleton. J Exp Neurosci. 2016 Feb 1;10:1-19. 

  18. Johnstone DM, Moro C, Stone J, Benabid AL, Mitrofanis J. Turning On Lights to Stop Neurodegeneration: The Potential of Near Infrared Light Therapy in Alzheimer's and Parkinson's Disease. Front Neurosci. 2016 Jan 11;9:500. 

  19. Zarei M, Wikramanayake TC, Falto-Aizpurua L, Schachner LA, Jimenez JJ. Lowlevel laser therapy and hair regrowth: an evidence-based review. Lasers Med Sci. 2016 Feb;31(2):363-71. 

  20. Kuffler DP. Photobiomodulation in promoting wound healing: a review. Regen Med. 2016 Jan;11(1):107-22. 

  21. 한국특허정보원특허정보진흥센터, "레이저의료기기 기술동향" 2014. 

  22.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피부질환치료용 LED 기술동향및 시장기회분석"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