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갈만 추출물의 미백활성 및 기전 연구
Whitening Effect and Mechanism of Aerial Part of Pueraria lobata 원문보기

생약학회지, v.47 no.4, 2016년, pp.343 - 351  

김다은 (원광대학교 약학대학 약품연구소) ,  황연실 (원광대학교 약학대학 약품연구소) ,  장보윤 (원광대학교 약학대학 약품연구소) ,  한지혜 (원광대학교 약학대학 약품연구소) ,  김대성 (한풍제약) ,  김혜수 (한풍제약) ,  조형권 (한풍제약) ,  김성연 (원광대학교 약학대학 약품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whitening effect of aerial part of Pueraria lobata and mechanisms. Aerial part of Pueraria lobata, dose-dependently reduced the melanin content. Aerial part of Pueraria lobata, significantly decreased cellular tyrosinase activity, while there was not an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진은 선행된 연구에서 갈만 추출물이 daidzin,daidzein, genistin, genistein, puerarin등의 isoflavonoid를 함유하고 있으며 미백효능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17) 본 연구는 갈만의 화장품 소재로서 산업적 이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 Western Blot을 이용한 미백관련 단백질의 발현 분석 −갈만이 B16F10 세포에 멜라닌 생성과정과 관련된 단백질의 발현을 조절하는지 조사하였다.
  • 갈만의 미백기전을 밝히기 위해 멜라닌 생성 과정 중 초기속도를 결정하는 역할을 하는 tyrosinase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Tyrosinase는 tyrosine을 DOPA로 전환시키고 DOPA는 DOPA-quinone으로 전환시키며 또 DOPA chrome에서 유도된 5,6-dihydroxyindole(DHI)이 indole-5,6-quinone으로 변환되는 과정에 관여하여 인체 내의 멜라닌 생합성 경로에서 가장 중요한 초기 속도결정단계에 관여하는 효소로서 많은 미백 성분이 이 효소를 억제하는 작용기전을 가지고 있다.
  • 멜라닌합성 과정에 관여하는 주요 인자인 tyrosinase와 TRP-1의 전사조절과 갈만의 미백 작용의 관련성을 확인하는데 중요 전사조절인자인 MITF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천연물 유래의 성분이 MITF의 저해를 통해 melanin 색소 생성을 억제할 수 있음이 보고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갈만의 미백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30%주정추출물의 ethyl acetate 분획물의 세포독성, tyrosinase 저해 활성, melanin 생성 억제 활성, α-glucosidase 저해 활성, MITF, TRP-1과 tyrosinase의 단백질 및 유전자 발현 억제 효과 및 항산화 활성 등을 조사하였다.

가설 설정

  • Tyrosinase는 tyrosine을 DOPA로 전환시키고 DOPA는 DOPA-quinone으로 전환시키며 또 DOPA chrome에서 유도된 5,6-dihydroxyindole(DHI)이 indole-5,6-quinone으로 변환되는 과정에 관여하여 인체 내의 멜라닌 생합성 경로에서 가장 중요한 초기 속도결정단계에 관여하는 효소로서 많은 미백 성분이 이 효소를 억제하는 작용기전을 가지고 있다.32) 갈만은 mushroom tyrosinase에 대한 저해활성 효과는 없었다. 그러나 세포내 tyrosinase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농도 의존적인 유의적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멜라닌은 무엇인가? 멜라닌은 동물, 식물에 널리 분포하는 페놀류 고분자화합물로 피부와 머리카락의 색상을 결정하는 주요인자이다. 일반적으로 멜라닌은 자외선이나 자유 라디칼과 같은 외부자극 요인으로부터 피부 세포의 손상을 억제하기 위해 만들어 진다.
칡의 효능은 무엇인가? 칡(野葛, Pueraria lobata Ohwi)은 콩과에 속하는 덩굴성 다년식물로 한국, 중국, 일본 등을 포함한 극동아시아의 온대영역에 넓게 분포하여 야생하고 있다. 칡은 예로부터 중요한 약용식물로 사용되어왔고, 해열작용, 폐경기 질환, 술독 제거, 담즙과 위액의 분비 증가, 혈압저하작용, 심혈관계질병, 저산소증 보호효과 활성, 납 독성에 대한 보호작용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0-12) 한약명으로는 사용부위에 따라 칡뿌리는 갈근(葛根), 꽃은 갈화(葛花), 열매는 갈곡(葛穀), 잎은 갈엽(葛葉), 덩굴은 갈만(葛蔓)이며 질병의 증상 및 치료 방법에 따라 각각 다르게 사용하여 왔다.
피부 미백제 개발에서 tyrosinase, TRP-1, TRP-2의 활성 억제가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멜라닌은 자외선이나 자유 라디칼과 같은 외부자극 요인으로부터 피부 세포의 손상을 억제하기 위해 만들어 진다.1,2) 멜라닌이 과도하게 합성되면 피부 표면에 침착되어 기미, 주근깨 등 다양한 색소 침착을 유발하고 피부 노화를 촉진시킨다.3) 멜라닌은 tyrosine을 기질로 tyrosinase, tyrosinase relatedprotein-1(TRP-1), tyrosinase related protein-2(TRP-2)에 의해 3,4-dihydroxyphenylalanine(DOPA)와 DOPA quinone,DOPA chrome을 거쳐 생성 된다. 따라서 피부 미백제의 개발에 있어서 tyrosinase, TRP-1과 TRP-2 활성 억제는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Jun, H. J., Lee, J. H., Cho, B. R., Seo, W. D., Kang, H. W., Kim, D. W. and Lee, S. J. (2012) Dual inhibition of ${\gamma}$ -Oryzanol on cellular melanogenesis: inhibition of tyrosinase activity and reduction of melanogenic gene expression by a protein kinase A-dependent mechanism. J. Nat. Prod. 75: 1706-1711. 

  2. Yoon, N. Y., Eom, T. K., Kim, M. M. and Kim, S. K. (2009) Inhibitory effect of phlorotannins isolated from Ecklonia cava on mushroom tyrosinase activity and melanin formation in mouse B16F10 melanoma cells. J. Agric. Food Chem. 57: 4124-4129. 

  3. Jin, M. H., Jeong, E. T., Kim, M. S., Song, H. J., Kwak, T. J., Park, S. G. and Lee, S. M. (2011) The effects of polydatin isolated from Polygonum cuspidatum on melanogenesis and wrinkle formation. J. Soc. Cosmet. Sci. Korea 37: 327-335. 

  4. Ye, Y., Chou, G. X., Wang, H., Chu, J. H. and Yu, Z. L. (2010) Flavonoids, apigenin and icariin exert potent melanogenic activities in murine B16 melanoma cells. Phytomedicine 18: 32-35. 

  5. Lee, S. Y., Jun, H. J., Lee, I. C. and Lee, J. Y. (2013) Downregulation of tyrosinase, MITF, TRP-1, and TRP-2 expressions by Juniperus rigida sieb. in murine B16F10 melanoma. J. Life. Science 23: 1445-1453. 

  6. Seo, E. J., Hong, E. S., Choi, M. H., Kim, K. S. and Lee, S. J. (2010) Antioxidant and skin whitening effects of Rhamnus yoshinoi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42: 750-754. 

  7. 김은화 (2006) 천연 추출물을 이용한 미백화장품 개발 동향에 관한 연구, 대한피부미용학회지 4: 195-203. 

  8. Kim, K. Y. and Lee, N. K. (2014) Herbal extracts research trend that have effects on melanin production and control. Kor. J. Aesthet. Cosmetol. 12: 453-461. 

  9. Kim, D. M., Kim, K. H., Sung, N. Y., Jung, P. M., Kim, J. S., Kim, J. K. and Kim, J. K. (2011). Effects of gamma irradiation on the extraction yield and whitening activity of polysaccharides from Undaria pinnatifida sporophyll.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712-716. 

  10. Kayano, S. I., Matsumura, Y., Kitagawa, Y., Kobayashi, M., Nagayama, A., Kawabata, N. and Kitada, Y. (2012) Isoflavone C-glycosides isolated from the root of kudzu (Pueraria lobata) and their estrogenic activities. Food Chem. 134: 282-287. 

  11. Wu, Y., Wang, X. and Fan, E. (2012) Optimisation of ultrasound- assisted extraction of puerarin and total isoflavones from puerariae lobatae radix (Pueraria lobata (Wild.) Ohwi) with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Phytochem. Anal. 23: 513-519. 

  12. Lee, E. J., Kwon, J. E., Kim, S. J. and Park, T. H. (2013) Isoflavones and biotransformed dihydrodaidzein production with in vitro cultured callus of Korean wild arrowroot Pueraria lobata. J. Plant Biotechnol. 40: 217-223. 

  13. Kim, C. S., Ha, H. K., Kim, H. J., Lee, J. H. and Song, K. Y. (2002). Pueraria lobata Ohwi as an osteoporosis therapeutics.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710-718. 

  14. Chang, B. Y., Lee, D. S., Lee, J. K., Kim, Y. C., Cho, H. K. and Kim, S. Y. (2016) Protective activity of kudzu(Pueraria thunbergiana) vine on chemically-induced hepatotoxicity: in vitro and in vivo studies. BMC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16: 1-9. 

  15. Keung, W. M. and Vallee, B. L. (1998) Kudzu root: an ancient Chinese source of modern antidipsotropic agents. Phytochemistry 47: 499-506. 

  16. Tanaka, T., Tang, H., Yu, F., Michihara, S., Uzawa, Y., Zaima, N. and Kawamura, Y. (2011) Kudzu(Pueraria lobata) vine ethanol extracts improve ovariectomy-induced bone loss in female mice. J. Agric. Food Chem. 59: 13230-13237. 

  17. Han, E., Chang, B., Kim, D., Cho, H. and Kim, S. (2015) Melanogenesis inhibitory effect of aerial part of Pueraria thunbergiana in vitro and in vivo. Arch. Derm. Res. 307: 57-72. 

  18. Carmichael, J., DeGraff, W. G., Gazdar, A. F., Minna, J. D. and Mitchell, J. B. (1987) Evaluation of a tetrazolium-based semiautomated colorimetric assay assessment of chemosensitivity testing. Cancer Res. 47: 936-942. 

  19. Kim, J. E., Joo, S. I., Seo, J. H. and Lee, S. P. (2009) Antioxidant and ${\alpha}$ -glucosidase inhibitory effect of tartary buckwheat extract obtained by the treatment of different solvents and enzym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989-995. 

  20. Blois, M. 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21. Kang, K. A., Han, S. S., Lee, M. H. and Kim, Y. J. (2008) Screening of inhibitory effects of an oriental herb on melanogenesis.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14: 74-80. 

  22. Baek, M. R., Choi, Y. H., Yoo, D. S., Kim, M. R., Choi, S. U., Hong, K. S. and Ryu, S. Y. (2009) Anti-proliferative components in the roots extract from Pueraria thunbergiana. Kor. J. Pharmacogn. 40: 46-50. 

  23. Lukas, S. E., Penetar, D., Berko, J., Vicens, L., Palmer, C., Mallya, G. and Lee, D. Y. W. (2005) An extract of the Chinese herbal root kudzu reduces alcohol drinking by heavy drinkers in a naturalistic setting. Alcohol Clin Exp Res. 29: 756-762. 

  24. Wang, X., Wu, J., Chiba, H., Umegaki, K., Yamada, K. and Ishimi, Y. (2003) Puerariae radix prevents bone loss in ovariectomized mice. J Bone Miner Metab. 21: 268-275. 

  25. Kim, D. K., Jang, D. S., Kim, J. S. and Kim, J. H. (2009) Genetic variations and phylogenetic relationship of and Pueraia lobata Ohwi(Fabaceae) and related taxa by RAPD makers. Korean J. Plant Res. 22: 446-453. 

  26. Prasain, J. K., Jones, K., Kirk, M., Wilson, L., Smith-Johnson, M., Weaver, C. and Barnes, S. (2003) Profiling and quantification of isoflavonoids in kudzu dietary supplements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and electrospray ionization tandem mass spectrometry. J. Agric. Food Chem. 51: 4213-4218. 

  27. Jang, D. S., Kim, J. M., Lee, Y. M., Kim, Y. S., Kim, J. H. and Kim, J. S. (2006). Puerariafuran, a new inhibitor of 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s(AGEs) isolated from the roots of Pueraria lobata. Chem. Pharm. Bull. 54: 1315-1317. 

  28. Zhang, D., Ren, Y., Dai, S., Liu, W. and Li, G. (2009) Isoflavones from vines of Pueraria lobata. Zhongguo Zhong Yao Za Zhi 34: 3217-3220. 

  29. Park, W. S., Kwon, O., Yoon, T. J. and Chung, J. H. (2014). Anti-graying effect of the extract of Pueraria thunbergiana via upregulation of cAMP/MITF-M signaling pathway. J. Dermatol. Sci. 75: 153-155. 

  30. Park, J. S., Kim, D. H., Lee, J. K., Lee, J. Y., Kim, D. H., Kim, H. K. and Kim, H. C. (2010). Natural ortho-dihydroxyisoflavone derivatives from aged Korean fermented soybean paste as potent tyrosinase and melanin formation inhibitors. Bioorg Med Chem Lett. 20: 1162-1164. 

  31. Kim, K. S., Kim, J. A., Eom, S. Y., Lee, S. H., Min, K. R. and Kim, Y. (2006) Inhibitory effect of piperlonguminine on melanin production in melanoma B16 cell line by downregulation of tyrosinase expression. Pigment Cell Res. 19: 90-98. 

  32. Cho, E. J., Ju, H. M., Jeong, C. H., Eom, S. H., Heo, H. J. and Kim, D. O. (2011) Effect of phenolic extract of dry leaves of Lespedeza cuneata G. Don on antioxidant capacity and tyrosinase inhibition. Kor. J. Hort. Sci. Technol. 29: 358-365. 

  33. Kim, S. S., Kim, M. J., Choi, Y. H., Kim, B. K., Kim, K. S., Park, K. J. and Hyun, C. G. (2013) Down-regulation of tyrosinase, TRP-1, TRP-2 and MITF expressions by citrus presscakes in murine B16F10 melanoma. Asian Pac J Trop Biomed. 3: 617-622. 

  34. Negroiu, G., Branza-nichita, N., Petrescu, A. J. and Petrescu, S. M. (1999) Protein specific N-glycosylation of tyrosinase and tyrosinase-related protein-1 in B16 mouse melanoma cells. Biochem. J. 344: 659-665. 

  35. Choi, H., Ahn, S., Chang, H., Cho, N. S., Joo, K., Lee, B. G. and Hwang, J. S. (2007) Influence of N-glycan processing disruption on tyrosinase and melanin synthesis in HM3KO melanoma cells. Experimental dermatology 16: 110-117. 

  36. Jo, Y. N., Jeong, H. R., Jeong, J. H. and Heo, H. J. (2012) The skin protecting effects of ethanolic extracts of eggplant peels. Korean J. Food Sci. Technol. 44: 94-99. 

  37. Choi, C. S., Song, E. S., Kim, J. S. and Kang, M. H. (2003) Antioxidative activities of Castanea crenata Flos. methanol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1216-1220. 

  38. Reddy, M. K. and Labhasetwar, V. (2009) Nanoparticlemediated delivery of superoxide dismutase to the brain: an effective strategy to reduce ischemia-reperfusion injury. FASEB J. 23: 1384-139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