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제주도 구좌읍 하도리 밭담의 존재형태와 농가인식에 대한 연구
A Study of the Existing Forms and Farmers' Perceptions of Agricultural Dry Stonewalls in Hado-ri, Gujwa-eup, Jeju Province 원문보기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v.22 no.4, 2016년, pp.809 - 825  

강성기 (제주 신광초등학교) ,  정광중 (제주대학교 교육대학 초등사회과교육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제주도 구좌읍 하도리를 사례로 농업환경에 따른 밭담의 존재형태와 농가인식을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하도리 밭담은 대부분 외담이면서 곡선형이 많고, 최근에 시멘트 밭담이 출현하고 있다. 둘째, 밭담의 높이는 입지에 따른 특징이 있고, 밭담의 길이는 현장조사와 수치지적도를 통해서 16.514km(두 농업 지구)로 산출되었다. 셋째, 하도리 농가들은 현재까지도 밭담의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는데 이는 급격한 사회변화에서도 밭담의 지속가능한 가치를 보여주고 있다. 넷째, 밭담의 지속가능한 보전 방안은 밭담 친환경적인 농업환경 개선, 마을별 밭담 데이터베이스 구축, 밭담의 변형과 축조 시 지정된 조례에 의한 시행, 지역주민에게 밭담의 가치 인식을 위한 홍보 및 교육 등이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review the existing forms and farmers'perception of the agricultural dry stonewalls under agricultural environment, based on the case of Hado-ri, Gujwa-eup, Jeju Province.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gricultural dry stonewalls in Hado-ri are most external walls, many...

Keyword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밭담이 세계중요농업유산에 등재된 배경은? 제주도 대부분의 농업 지역에는 경지 경계 상에 돌담이 존재하는데 제주도에서는 이런 돌담을 밭담이라고 한다. 최근 밭담은 세계농업기구(FAO) 로부터 세계적으로 독특하고 보존과 활용가치가 높은 농업시스템이라는 점을 인정받아 세계중요농업유산에 등재되었다1) . 이 등재로 인하여 밭담이 지역적 특색과 관련된 농업유산으로 화산섬이라는 척박한 자연환경에서 오랜 기간 동안 농업을 유지해온 가치가 인정된 셈이다.
현재 밭담에 생기고 있는 문제는 무엇인가? 그러나 제주 지역주민이 밭담에 대한 이러한 인식과는 달리 현재 이 순간에도 밭담은 지방정부와 농가의 필요에 따라 제거와 축조 그리고 다양한 형태로 변화되고, 수많은 밭담들이 훼손된 채 방치되어 존재하고 있다. 지방정부에서는 농업지역의 도시화, 도로 개설, 농업정책 등으로 지역의 대규모 밭담을 제거하거나 대도로 주변에 새롭게 밭 담을 축조하고, 농가들은 자신들의 필요에 따라서 밭담을 제거하고 또 새롭게 축조하고 있다.
하도리 밭담 중 곡선형을 취하지 않는 것은? 첫째, 하도리 밭담의 존재형태는 대부분 외담이면서 곡선형을 취하고 있다. 다만, 경지 내 사잇담은 일반적으로 직선형이다. 밭담의 선적유형은 지역의 자연환경에 영향을 받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강성기, 2010, 초등 사회과 교육에서의 비교 지역 관점을 위한 문화경관 이해의 유용성-제주 돌담경관과 유럽 보카쥬경관의 사례 비교-,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강성기, 2011, 문화경관으로서 제주 밭담의 의미 탐색, 한국사진지리학회지, 21(3), 223-233. 

  3. 강성기, 2012, 제주도 서부지역의 농업환경 변화에 대한 지리적 해석 -한경면 고산리를 사례로-, 한국사진지리학회지, 22(3), 99-118. 

  4. 고광민, 2004, 제주도의 생산기술과 민속, 대원사. 

  5. 고성보, 2007a, 제주밭담의 경관보전직불제 도입을 위한 경관자원 평가시스템 구축과 적용, 한국농촌계획학회지, 13(3), 123-133. 

  6. 고성보, 2007b, 경관보전직불제 도입을 위한 제주 밭담의 경관가치 평가, 한국농촌계획학회지, 13(4), 1-8. 

  7. 국립민속박물관, 2007,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구좌읍 하도리 민속지, 국립민속박물관. 

  8. 김유정, 2012, 제주의 돌문화, 서귀포문화원. 

  9. 김종석, 1998, 제주도 전통사회의 돌(石)문화,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서윤석, 2005, 친환경농업에 대한 올바른 이해, 토양과 비료, 22, 63-70. 

  11. 오성찬, 1990, 제주의 마을 (시리즈 6, 애월리), 도서출판 반석. 

  12. 윤봉택, 1998, 제주돌이 깨어지는 소리 -서귀포시 강정마을을 중심으로-, 서귀포문화 2, 서귀포문화원. 

  13. 이상영, 2006, 제주 전통돌담의 가치평가 및 보전 방안, 한국농촌계획학회지, 12(2), 27-35. 

  14. 이상영, 2007, 제주 전통돌담의 유지보전에 관한 의식조사, 한국농촌계획학회지, 13(1), 33-40. 

  15. 이준선, 1999, 프랑스와 한국의 농경지 풍경의 비교,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7(2), 825-848. 

  16. 임근욱, 2015, 청산도 구들장 논과 제주 밭담 농업시스템의 농업관광에 대한 연구, 한국사진지리학회지, 25(2), 37-49. 

  17. 장덕지, 2007, 濟州馬이야기, 도서출판 제주문화. 

  18. 정광중.강성기, 2013, 장소자산으로서 제주 돌담의 가치와 활용방안,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6(1), 99-117. 

  19. 정광중.김은석, 2008, 북촌리 주민들의 거주환경에 따른 돌문화 관련자원의 형성과 배경, 한국사진지리학회지, 18(1), 7-26. 

  20. 정승훈, 2014, 제주밭담 농업 시스템의 세계중요 농업유산 등재에 따른 지역주민의 관광영향 인식과 지속가능한 관광개발 지지도, 관광연구저널, 28(11), 5-23. 

  21. 제주특별자치도, 2009, 개정증보 제주어사전. 

  22. 제주특별자치도, 2012, 2011년 제주특별자치도 지적통계. 

  23. 제주특별자치도.한국농어촌공사, 2014, 농어촌다원적자원활용사업 제주밭담 보전관리 종합계획. 

  24. 제주특별자치도 해녀박물관, 2009, 제주해녀의 생업과 문화, 하나CNC. 

  25. 최용복, 2006, 제주도 농촌지역 내 돌담 문화자원의 활용을 위한 실태조사 연구, 한국농촌계획학회지, 12(3), 57-65. 

  26. 최용복.정문섭, 2006, GIS를 활용한 농촌경관 분석 사례연구-제주도 돌담경관을 중심으로, 한국GIS학회지, 14(3), 349-361. 

  27. 홍경모, 2008, 과학교육 학습 자료로서의 제주 전통 돌담에 대한 연구,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제주지방기상청 www.jeju.kma.go.kr 

  29. 세계농업기구 www.fao.org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