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1623~1800년 서울지역의 기상기후 환경 -'승정원일기'를 토대로-
Weather and Climatic Environment of Seoul Area in South Korea during 1623~1800, Reconstructed from 'The Daily Records of Royal Secretariat of Joseon Dynasty(承政院日記)' 원문보기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v.22 no.4, 2016년, pp.856 - 874  

이준호 (강원대학교 사범대학 지리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승정원일기에 기록된 매일의 날씨와 기상현상을 토대로 기상기후 정보를 자료화하고 조선왕조실록 등에 기록된 기상 및 천변재이에 관한 정보를 추가 조사하여, 지금까지 연구되지 않은 1623~1800년 기간 서울지역의 기상과 기후 환경을 파악하였다. 1500~1760년은 소빙기에 해당하여 조사기간 서울지역에서는 대부분의 여름이 서늘하였으며 대체로 기상현상의 변화가 심하고 한랭 건조했던 것으로 파악된다. 특히 날씨와 기상현상 및 기후변화가 1650년, 1710년, 1770년을 전후로 현저하게 나타났다. 비와 눈의 일수는 1640년대에 큰 변화를 나타내기 시작해 1650년대~1710년대에 크게 감소하였고, 1710년대 이후 급격히 증가하였다. 계절적으로 여름의 비 일수는 1710년대 말 이후에 급격히 증가하였고, 눈의 일수는 1770년대 중반 이후 크게 감소하였다. 우박 일수는 1720년대 말에 크게 증가해 1760년대까지 계속되었다. 흐린 날의 일수는 1710년대를 전후로 여름에는 크게 감소하나 겨울에는 다소 증가하였다. 안개일수는 1770년경 이후에 현대의 평년값보다 적은 일수를 나타내기 시작하였다. 이들 시기는 상대적으로 강화된 한랭화와 건조화의 경향을 따르며, 역사기후학적 비교자료 및 지구과학 생물학적 자료의 연구 결과와도 대체로 일치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figure out the weather and climate environment of Seoul area in S. Korea during 1623~1800, which has not been studied so far, by using daily records of weather conditions and meteorological phenomena in the Daily Records of Royal Secretariat of Joseon Dynasty(承政院日記) together with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다음으로 이들 기상기후 자료와 함께 조선왕조실록과 ‘조선고대관측기록조사보고(朝鮮古代觀測記錄調査報告)’에 기록된 기우제와 기청제 및 가뭄, 장마, 홍수 등 천변재이에 대한 정보를 추가로 분석하여 당시 발생한 건습의 정도 및 이상기상(기후) 현상 등을 조사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들 날씨 자료와 여러 기상현상에 관한 정보를 종합하여 1623~1800년 서울지역에서의 기상과 기후 환경을 상세히 파악하고자 한다.
  • 다음으로 이들 기상기후 자료와 함께 조선왕조실록과 ‘조선고대관측기록조사보고(朝鮮古代觀測記錄調査報告)’에 기록된 기우제와 기청제 및 가뭄, 장마, 홍수 등 천변재이에 대한 정보를 추가로 분석하여 당시 발생한 건습의 정도 및 이상기상(기후) 현상 등을 조사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승정원일기에 기록된 날씨와 기상현상을 토대로 1623~1800년 기간 서울지역의 기상기후 상태를 복원하였고, 조선왕조실록과 조선고대관측기록조사보고 및 조선기상 30년보와 한국기후표의 평년값과 비교하여 당시의 기상기후 환경을 파악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먼저 1623년(인조 원년) 4월 11일부터 1800년(순조 즉위년) 12월 31일까지의 승정원일기에 기록된 매일의 맑음과 흐림, 비와 눈, 강우량, 서리, 안개, 우박, 황사 등 날씨와 기상현상에 관한 정보를 추출해 유형별로 정리해 자료화하고자 한다. 다음으로 이들 기상기후 자료와 함께 조선왕조실록과 ‘조선고대관측기록조사보고(朝鮮古代觀測記錄調査報告)’에 기록된 기우제와 기청제 및 가뭄, 장마, 홍수 등 천변재이에 대한 정보를 추가로 분석하여 당시 발생한 건습의 정도 및 이상기상(기후) 현상 등을 조사하고자 한다.
  • 당시 여름과 겨울에 몬순 강도의 큰 변화가 한반도 지역의 강수량 및 대기 상태의 변화 등을 초래하여 서울지역의 기상기후 환경 변화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이후의 연구에서는 날씨와 기상현상을 시간해상도를 높여 요소별로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조선후기 기후변화의 가능한 원인 및 그 영향을 파악해 고찰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구의 기후를 변화시키는 요인은? 지구의 기후는 지사의 긴 시간에 걸쳐 끊임없이 변하였는데, 태양활동의 변화, 지구궤도요소, 화산 활동, 해양의 열염순환 등 자연적 원인에 기인한 장기간의 기후변동성 및 인간의 토지이용, 대기중 온실기체의 배출 등 인위적 원인에 따른 단기간의 기후변화로 나타났다. 이러한 기후변화는 지구의 환경뿐만 아니라 인류 문명의 흥망성쇠 및사회, 경제, 문화 등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Hulme et al.
조선시대의 역사기록물은 어떤 게 있는가? 한국에서는 대부분이 소빙기에 해당하는 조선시대의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일성록(日省錄)’,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등의 역사기록물이 세계기록유산으로 남아있다. 이들 문헌(국가기록물)에는 한 지점에서 장기간 지속적으로 관측된 기상 정보가 매우 구체적이고 세밀하게 기재되어 있어, 당시 기상과 기후 환경을 복원하고 기후변화 등을 연구하는데 가장 좋은 자료이다.
인간이 국지적, 지구적으로 기후에 미친 영향을 관측자료를 토대로 연구할 때 생길 수 있는 문제점은? , 2001). 그러나 기기를 이용한 관측자료가 길어야 200년을 넘지 않아 비교자료로서 그 기간이 충분히 길지 못하고, 지구물리・생물학적 자료는 지사의 시간규모로 그 기간이 너무나 길고 시간해상도가 매우 낮아 적합하지 않다. 그 결과 기상관측 이전의 인간과 기상기후 환경에 관한 비교자료로 역사시대 날씨에 관한 기록이나 문헌 등을 연구하는 역사기후학(Landsberg, 1981; Herlihy, 1981; Glaser and Walsch, 1991)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8)

  1. 국사편찬위원회,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http://sillok.history.go.k/main/main.do 

  2. 국사편찬위원회,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http://sjw.history.go.kr/main/main.jsp 

  3. 기상청, 2016, 한국기후표(1981-2010), p.632. 

  4. 김연옥, 1983, 한국 고대의 기후환경, pp.231-273, 이찬박사화갑기념논집간행위, 지리학의 과제와 접근방법(이찬박사화갑기념논집), 교학사, p.614. 

  5. 김연옥, 1984a, 고려시대의 기후환경: 사료분석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논총), 44, pp.113-135. 

  6. 김연옥, 1984a, 고려시대의 기후환경: 사료분석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논총), 44, pp.113-135. 

  7. 김연옥, 1987, 조선시대의 기후환경 - 사료분석을 중심으로, 지리학논총, 14, pp.411-423. 

  8. 박정규, 황재돈, 전영신, 2001, 조선왕조실록에 기록된 강수현상, Asia-Pacific Journal of Atmospheric Sciences 한국기상학회지, 37, pp.433-441. 

  9. 소선섭, 김용헌, 1997, 조선왕조실록에 나타난 조선시대의 강수, 기우제와 기청제, 우박, 서리 및 안개, 한국기상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한국기상학회 1997년도 정기총회, 초청강연 및 가을학술 발표회 행사일정 및 초록, 10, pp.161-164. 

  10. 오재호, 1999, 기후학 II-변화하는 기후, 아르케, p.461. 

  11. 이태진, 1995, 소빙기(1500-1750)의 천체 현상적 원인 - 조선왕조실록 의 관련 기록 분석-, 국사관논총, 72, pp.89-126. 

  12. 이태진, 1996, 소빙기(1500-1750) 천변재이 연구와 >, 역사학보, 149, pp.203-236. 

  13. 임규호, 심태현, 2002, 조선왕조실록의 기상현상 기록 빈도에 근거한 기후, Asia-Pacific Journal of Atmospheric Sciences 한국기상학회지, 38, pp. 343-354. 

  14. 전종갑, 1996, 측우기 관측 강우량 자료집(수정판),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대기과학과, p.463. 

  15. 전종갑, 문병권, 1997, 측우기 강우량 자료의 복원과 분석, 한국기상학회지, 33, pp.691-707. 

  16. 전영신, 1999, 조선왕조실록에 나타난 황사현상, 한국기상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한국기상학회 1999년도 정기총회, 초청강연 및 가을 학술발표회, 1999. 10, pp.80-81. 

  17. 전영신, 2000, 조선왕조실록에 나타난 황사현상, 한국기상학회지, 36, pp.285-292. 

  18. 정용승, 봉정원, 1992, 한국의 기후환경 자료조사, 한국과학재단, p.32. 

  19. 정현숙, 1999, 서울지역 강수량의 시계열에 나타난 시간 변동성 해석, 이학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대기과학과, p.134. 

  20. 정현숙, 임규호, 1994, 서울지역 월 강수량과 강수 일수, 1770-1907, 한국기상학회지, 30, pp.487-505. 

  21. 정현숙, 임규호, 김호, 1999, 조선왕조실록의 기록에 근거한 조선시대 기상현상의 발생 빈도 분석, 한국기상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한국기상학회 1999년도 봄 초청강연 및 학술발표회, 4, pp. 241-242. 

  22. 정효상, 2004, 한국의 기후, 기상청 기상연구소, p.419. 

  23. 조선총독부관측소, 1935, 조선기상30년보. p.274. 

  24. 조희구, 나일성, 1979, 18세기 한국의 기후변동: 강우량을 중심으로, 동방학회지, 22, pp.83-103. 

  25. 중앙기상대, 1982, 한국기후표(1951-1980), p.632. 

  26. 최광용, 2016, 조선 중기 이후 서울의 장마철 강수 평균과 극한강수현상의 변화, 대한지리학회지, 51, pp.23-40. 

  27. 한상복, 1996, 측우기의 발명과 국가관측망, 한수당자연환경연구원, p.374. 

  28. 한상복, 1998, 한국의 우량관측역사, 한수당자연환경연구원, p.429. 

  29. 張德二, 1991, 中國的小氷期氣候及其與全球變化的關係, 第四紀硏究, 2, pp.103-112. 

  30. 張德二, 1995, 國歷史文獻中的高分辨高氣候記錄(High Resolution Records Available from Chinese Historical Documents), 第四紀硏究, 1, pp.75-81. 

  31. 中國氣象局氣象科學硏究院, 1981, 中國近五百年旱濕分布圖集, 地圖出版社, p.119. 

  32. 和田雄治, 1917, 朝鮮古代觀測記錄調査報告, 朝鮮總督府觀測所, p.201. 

  33. Arakawa, H., 1956, On the Secular Variation of Annual Totals of Rainfall at Seoul, from 1770 to 1944, Archiv fur Meteorologie, Geophysik und Bioklimatologie, Serie B (Allgemeine und Biologische Klimatologie), Band 7, 1956, pp. 205-211. 

  34. Bradley, R.S. and P.D. Jones(eds.), 1995, Climate since AD 1500, Routledge, p.724. 

  35. Brazdil, R., and O. Kotya, 1995, History of Weather and Climate in the Czech Lands, Periods 1000-1500, Zuricher Geographische Schriften, 62, p.260. 

  36. Brazdil, R., C. Pfister, H. Wanner, H. von Storch and J. Luterbacher, 2005, Historical climatology in Europe - the state of the art, Climatic Change, 70, pp.363-430. 

  37. Druffel, E.M., 1982, Banded Corals: Changes in Oceanic Carbon-14 during the Little Ice Age, Sceince, 218, pp.13-19. 

  38. Frenzel, B.(ed.), 1992, Special Issues: ESF Project "European Paleoclimate and Man" 2, Paleoclimate Research, 7, Akademie der Wissenschaften und der Literatur.Mainz, p.265. 

  39. Ge, Q., J. Zheng, Y. Tian, W. Wu, X. Fang and W.-C. Wang, 2008, Coherence of climatic reconstruction from historical documents in China by different studies, Int. J. Climatol., 28, pp.1007-1024. 

  40. Gimmi, U., J. Luterbacher, C. Pfister, and H. Wanner, 2007, A Method to Reconstruct Long Precipitation Series using Systematic Descriptive Observations in Weather Diaries: the Examples of the Precipitation Series for Bern, Switzerland (1760-2003), Theor. Appl. Climatol., 87, pp. 185-199. 

  41. Glaser, R. and W. Walsch(eds.), 1991, Historical Climatology in Different Climatic Zones-Historische Klimatologie in verschiedenen Klimazonen, Wurzburger Geographische Arbeiten 80, p.251. 

  42. Gowlett, J.A.J., 2001, Out in the Cold, Nature, 413, pp.33-34. 

  43. Hahn, Sangbok D, 1970, On the Precipitation Records in Seoul for 200 Years Long, the Annual Review of the Korean National Committee for IUGG, pp.9-21. 

  44. Herlihy, D., 1981, Climate and Documentary Sources: A Comment, pp.133-137, In: Rotberg, I.R. and T.K. Rabb(eds.), 1981, Climate and History - Studies in Interdisciplinary History, Princeton University Press, p.280. 

  45. Hirano, J. and T. Mikami, 2008, Reconstruction of Winter Climate Variations during the 19th Century in Japan, Int. J. Climatol., 28, pp.1423-1434. 

  46. Houghton, J.T., Y. Ding, D.J. Griggs, M. Noguer, P.J. van der Linden, X. Dal, K. Maskell and C.A. Johnson, 2001, Climate Change 2001: The Science Basis, Cambridge University Press, p.881. 

  47. Hulme, M., E.M. Barrow, N.W. Arnell, P.A. Harrison, T.C. Johns and T.E. Downing, 1999, Relative Impacts of Human-Induced Climate Change and Natural Climate Variability, Nature, 397, pp.688-691. 

  48. Jo, S.H., 2003, The Long-Term Temperature during the Last 1000 Years in DPRK, International Symposium on Climate Change, Beijing, China, 31 March-3 April, 2003, pp.121-122. 

  49. Karl, T.R. and D.R. Easterling, 1999, Climate Extremes: Selected Review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Climatic Change, 42, pp.309-325. 

  50. Kim, C.-J, Q. Weihong, H.-S. Kang, and D.-K. Lee, 2010, Interdecadal Variability of East Asian Summer Monsoon Precipitation over 220 Years(1777-1997), Advances in Atmospheric Sciences, 27, pp.253-264. 

  51. Landsberg, H.E., 1981, Past Climates from Unexploited Written Sources, pp.51-62, In: Rotberg, I.R. and T.K. Rabb(eds.), 1981, Climate and History - Studies in Interdisciplinary History, Princeton University Press, p.280. 

  52. Le Roy Laudrie, E., 1972, Times of Feast, Times of Famine; A History of Climate since the Year 1000, trans. B. Bray, George Allen & Unwin LTD, p.426. 

  53. Martin-Vide, J., and M. Barriendos, 1995, The Use of Rogation Ceremony Records in Climatic Reconstruction: a Case Study from Catalonia (Spain), Climatic Change, 30, pp.201-221. 

  54. Ogilvie A.E.J. and T. Jonsson, 2001, "Little Ice Age" Research: A Perspective from Iceland, Climatic Change, 48, pp.9-52. 

  55. Park, W.-K., J.-W. Seo, Y. Kim and J.-H. Oh, 2000, Summer Temperature Variation in Central Korea: 340-Year Records from Tree Rings of Korean Pine(Pinus Koraiensis),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Symposium on Climate Change and Variability, and their Impacts. Commission on the 29th IGC Climatology, August 9-13, 2000, Konkuk University, Seoul, Korea, pp. 37-41. 

  56. Pfister, C., 1975, Agrarkonjunktur und Witterungsverlauf im Westlichen Schweizer Mittelland zur Zeit der Okonomischer Patrioten 1755-1797, Ein Beitrag zur Umwelt-und Wirtschaftsgeschichte desi8. Jahrhunderts, Bern, p.229. 

  57. Pfister, C., J. Luterbacher, G. Schwarz-Zanetti and M. Wegmann, 1998, Winter Air Temperature Variations in Central Europe during the Early and High Middle Ages(A.D. 750-1300), Holocene, 8, pp.118-142. 

  58. Przybylak, R., J. Majorowicz, R. Brazdil and M. Kejna(eds.), 2010, The Polish Climate in the European Context, Springer, p.535. 

  59. Rodrigo, F.S., M.J. Esteban-Parra, D. Pozo-Vazquez and Y. Castro-Diez, 1999, A 500-year Precipitation Record in Southern Spain, Int. J. Climatol., 19, pp.1233-1253. 

  60. Schimmelmann, A., M. Zhao, C.C. Harvey and C.B. Lange, 1998, A Large California Flood and Correlative Global Climatic Events 400 Years Ago, Quaternary Research, 49, pp.51-61. 

  61. Szeicz, J.M. and G.M. MacDonald, 1995, Dendroclimatic Reconstruction of Summer Temperatures in Northwestern Canada since A.D. 1638 Based on Age-Dependent Modelling, Quaternary Research, 44, pp.257-266. 

  62. Tada, F., 1938, Uber die Periodische Anderung der Regenmenge in Chosen seit dem Jahre 1776, C. R. Congr. Intern. Geogr. Amsterdam. Vol. II, Travaux Sections A-F. Leiden, pp. 305-308. 

  63. Wang, S.-W. and Z.-C. Zhao, 1981, Droughts and Floods in China, 1470-1979, pp.271-288. In: Wigley T.M.L., M.J. Ingram and G. Farmer(eds.), 1985, Climate and History, Studies in Past Climates and Their Impact on Man, Cambridge University Press. p.530. 

  64. Wang, S.-W., D. Gong and J. Zhu, 2001, Twentieth-Century Climatic Warming in China in the Context of the Holocene, Holocene, 11, pp.313-321. 

  65. Zhang, D.-E., and P.K. Wang, 1989, Reconstruction of the Eighteenth Century Summer Monthly Precipitation Series of Nanjing, Suzhou, and Hangzhou using the Clear and Rain Records of Qing Dynasty, Acta Meteorologica Sinica, 3, pp.261-278. 

  66. Zhang, D.-E., 1999, Climate Variation of Wetness in Eastern China over the Past Millenium, Bulletin of the National Museum of Japanese History, 81, pp.31-39. 

  67. Zhang, J. and T.J. Crowley, 1989, Historical Climate Records in China and Reconstruction of Past Climates, J. Climate, 2, pp.833-849. 

  68. Zhisheng, A., J.E. Kutzbach, W.L. Prell and S.C. Porter, 2001, Evolution of Asian Monsoons and Phased Uplift of the Himalaya-Tibetan Plateau since Late Miocene Times, Nature, 411, pp.62-66.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