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원격탐사와 지리정보시스템의 산림분야 활용
Application of Remote Sensing an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in Forest Sector 원문보기

지적과 국토정보 = Journal of cadastre & land informatix, v.46 no.2, 2016년, pp.27 - 42  

이우균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과) ,  김문일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과) ,  송철호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과) ,  이슬기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과) ,  차성은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과) ,  김강선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산림은 우리나라 토지피복 면적의 64%에 해당하는 넓은 면적을 차지한다. 이와 같이 넓은 면적의 산림을 조사, 모니터링, 관리하기 위해서는 원격탐사지리정보시스템 기술이 필수적이다. 위성영상의 분광반사 특성을 이용하여 임상 및 수종분류가 가능하며, 이를 통해 임상도를 제작할 수 있다. 3차원 자료인 LiDAR를 이용하여 개체목의 위치와 수고 측정, 이를 통해 바이오매스와 탄소량 추정이 가능하다. 그 외에도 대상물의 반사특성을 이용해서 각종 지수들이 추출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식생지수와 표면토양지수 등을 통해 식생의 활력도와 산림 황폐화 정도를 파악 할 수 있다. 이러한 식생지수들의 변이를 파악하여 소나무 재선충병, 참나무 시들음병 등의 조기탐지 및 관리도 가능하다. 또한 A/R CDM, REDD+ 등 최근 기후변화 대응 사업에 있어서 원격탐사는 사업성 판단과 이산화탄소 흡수 및 저장량을 산정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에서는 지리정보시스템의 시공간자료를 이용하여 국가 및 지자체 단위의 취약성이 시공간적으로 평가되고 있다. 또한, 시공간자료를 영향변수로 추가시킨 각종 모델을 통해 산림생장, 입목고사, 산사태 및 산불 등의 예측이 시공간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orest accounts for almost 64 percents of total land cover in South Korea. For inventorying, monitoring, and managing such large area of forest, application of remote sensing an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RS/GIS) technology is essential. On the basis of spectral characteristics of satellite im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신규조림 대상지는 1989년 이전부터 사업개발시점까지 산림이 아닌 지역, 재조림 대상지는 1989년까지 산림이었으나 그 후로부터 사업개발 시점까지 산림이 아닌 지역으로 정의된다. 대상지 구획화는 탄소저장고의 바이오매스 추정의 정확성 및 정밀성 향상을 위해 실시한다. 토지 구획별 수종, 산림 조성연도,미세기후, 토양조건 및 식생 피복 등의 특성에 따라 동질적인 단위로 구분하는 과정이다.
  • 이에 산림에 미치는 기후변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다양한 모델링이 GIS를 기반으로 이뤄지고 있으며, 보다 세밀하고 정량적인 연구 방향 설계가 진행 중에 있다. 본고에서는 산림분야에의 원격탐사 및 지리정보시스템 활용현황을 소개하여 향후 활용방안에 대한 기초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 분석 결과 정상목은 NDVI값이 큰 변화가 없는 반면, 감염목의 NDVI는 7월 이후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Figure 6). 이러한 변화로부터 DI(Detection Index)를 개발하여 재선충 감염목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이는 피해지역 및 피해 예상지역의 감시와 모니터링 시스템에 적용 시, 인적 자원 및 예산을 절약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15년 기준 우리나라 산림 면적은? 우리나라 산림은 2015년 기준 총 6,334,315ha로 국토면적의 약 64%를 차지하고 있으며, 임산물, 산림생태계서비스, 생물다양성, 기후변화 등 다양한 수요에 직면하고 있다. 따라서 원격탐사 및 지리정보시스템을 통해 각 수요에 부합하는 정보를 제 때에 제공하는 것은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산림청 2016).
LiDAR시스템은 어떤 정보를 제공하는가? 위성영상을 통해 임상분류는 가능하지만, 입목의크기(흉고직경, 수고 등)를 측정하는데는 한계가 있어왔다. LiDAR(Light Detection and Ranging) 시스템은 산림의 수직적, 수평적인 측면을 동시에 고려할 수 있는 3차원 정보가 포함된 영상을 제공한다. LiDAR 자료를 활용하면, 반사되어 돌아오는 3차원 점들로부터 개체목의 위치파악과 수고측정이 가능하다.
산림분야에서 위성영상을 활용한 원격탐사 분석에서 수종을 분류하기 위해 사용하는 방법은 어떤 것들이 있는가? 30m 공간 해상도를 가진 Landsat 등의 중저해상도 위성영상으로는 침엽수 및 활엽수 수준까지 분류가 가능하지만,1m 급인 IKONOS 등의 고해상도 위성영상으로는 주요 수종까지 분류가 가능하다. 분류에는 화소기반 분류(Pixel-Based Classification: PBC), 객체기반 분류(Object-Based Classification: OBC), 영상분할 분류(Segment-Based Classification: SBC) 방법 등이 각 지역과 산림의 특성에 따라 활용되고 있다. 우리나라 산림은 임분의 규모가 작고 복잡한 구조로 되어있기 때문에 PBC의 방법과 OBC의 방법이 절충 된 형태인 SBC 방법론이 보다 효율적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곽한빈, 이우균, 이시영, 원명수, 구교상, 이병두, 이명보. 2010. 우리나라 산불 발생의 원인별 공간적 특성 분석. 한국임학회지 99(3):259-266. (Kwak H, Lee WK, Lee, SY, Won MS, Koo KS, Lee, B,Lee M. 2010. Cause-specific spatial pointpattern analysis of forest fire in Korea. Journalof Forest Society. 99(3):259-266.) 

  2. 국립산림과학원. 2009. 2009년도 산림병해충 발생예찰조사 연보. 국립산림과학원 보고서.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2009. 2009 Annual report of monitoring for forest inscetpests and diseases in Korea. National Instituteof Forest Science Report.) 

  3. 김경민, 김철민, 전은진. 2009. 1:25,000 수치임상도 제작체계 표준화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2(3):143-151. (Kim KM, Kim CM, Jun EJ. 2009. Study on the Standard for 1:25,000 Scale Digital Forest Type Map Production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Studies. 12(3):143-151.) 

  4. 김문일, 이우균, 권태협, 곽두안, 김유승, 이승호. 2011. 휴대용 근적외선 카메라로부터 얻어진 DI (Detection Index)를 이용한 소나무 재선충 피해목의 조기감별. 한국임학회지, 100(3):374-381. (Kim M., Lee WK, Kwon TH, Kwak DA, Kim YS, LeeSH. 2011. Early Detecting Damaged Trees by Pine Wilt Disease Using DI(Detection Index)from Portable Near Infrared Camera.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100(3):374-381.) 

  5. 김소라, 이정빈, 김정수, 김은숙, 이우균. 2014. 참나무 시들음병 피해목의 공간분포 특성 분석. 2014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춘계학술대회, 209-210. (Kim SR, Lee JB, Kim JS, Kim ES, Lee WK. 2014.Spatial distribution analysis for damaged treesby Oak wilt disease.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2014 Spring Conference. 209-210.) 

  6. 김순아, 이우균, 손요환, 조영성, 이미선. 2009. 산림에 대한 기후변화 영향평가 모형의 국내 적용성 분석. 한국임학회지. 98(1):33-48. (Kim SN, Lee WK, Son Y, Cho Y , L ee MS. 2009.Applicability of climate change impact assessmentmodels to Korean forest. Journal of Forest Society. 98(1):33-48.) 

  7. 김윤경, 이우균. 1999. 임상도와 GIS를 이용한 산림자원정보시스템 개발. 한국산림측정학회지 2(1):40-49. (Kim YK, Lee WK. 1999. Development of forestresources information system using forest typemap and GIS. Korean Journal of ForestManagment. 2(1):40-49.) 

  8. 김지연, 이수경, 노남진, 윤태경, 한새롬, Cui G, 이우균, 손요환. 2013. 강원도 고성군 소규모 신규조림/재조림 CDM 시범사업의 온실가스 감축량 산정연구. 한국임학회지, 102(3):398-406. (Kim J, Lee SK., Noh NJ, Yoon TK, Han S, Cui G, LeeWK, Son Y. 2013. A Study on Greenhouse Gas Removals Estimation of a Small Scale Afforestation/reforestation CDM Pilot Project in Goseong, Gangwon Province.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102(3):398-406.) 

  9. 변정연, 이우균, 최성호, 오수현, 유성진, 권태성, 성주한, 우재욱. 시공간 정보기반 산림 생태계의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 한국원격탐사학회지. 28(1):159-169. (Byun J, Lee WK, Choi S, Oh S, Yoo S, Kwon T, Sung J, Woo J. 2012. Vulnerability assessment forforest rcosystem to climate change based onspatio-temporal information.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28(1):159-169.) 

  10. 산림청. 2016. 임업통계연보. 산림청 Korea Forest Service. 2016. Statistical yearbook of forestry. Korea Forest Service. 

  11. 유성진, 이우균, 이승호, 김은숙, 이종렬. 2011. 위성영상과 공간자료를 이용한 북한 지역의 재조림 CDM 대상지 선정 및 적지분석 방안.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19(3):3-11. (Yoo SJ, L ee WK, Lee SH, Kim ES, Lee JY. 2011.Approach for suitable site selection andanalysis for reforestation CDM using satelliteimage and spatial data in North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system. 19(3):3-11.) 

  12. 윤진일, 최재연, 윤영관, 정유란. 2000. 산악지대의 일 최저기온 공간내삽모형. 한국농림기상확회지. 2(4):175-182. (Yun JI, Choi JY, Yoon YK, Chung U. 2000. A spatialInterpolation model for daily minimumtemperature over mountainous regions.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2(4):175-182.) 

  13. 한국기후변화학회. 2014. 천리포수목원 Bio-Green 사업. 공익재단법인 천리포수목원. (KSCC) The Korean Society of Climate Change Research. 2014. Chollipo arboretum Bio-Green project. Chollipo Arboretum. 

  14. 조명희, 조윤원. 2006. 위성영상기반 전자주제도 작성 및 관리시스템 개발-산림행정업무지원서비스를 연구사례로-. 한국지리정보학회지. 9(1):89-100. (Jo MH, Jo YW. 2006. Developing the satellite imagebased e-thematic construction and managementsystem-case study of supporting forestadministrative servic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9(1):89-100.) 

  15. 정기현, 이우균, 심우범. 1998. 항공사진과 GIS를 이용한 토지이용형태 및 산림식생변화 모니터링. 한국산림측정학회지. 1(2):43-51. (Chung KH, Lee WK, Shim SB. 1998. Monitoring theland use type and forest vegetation changesusing aerial photograph and GIS. Korean Jounal or Forest Measurements. 1(2):43-51.) 

  16. 정현용, 이우윤, 남기준, 김문일. 2013. 기후변화에 따른 임상푼포 변화 및 탄소저장량 예측. 기후변화학회지. 4(2):177-188. (Jeong HY, Lee WK, Nam K, Kim M. 2013. Estimatingthe Change of Potential Forest Distributionand Carton Stock by Climate C hanges-Focused on Forest in Yongin-City-. Journal of Climate Change Research. 4(2):177-188.) 

  17. 한화진, 안소은, 최은진, 한기주, 이정택, 김해동, 손요환, 박용하, 조광우, 윤정호, 이은애, 김승만. 2006. 기후변화 영향평가 및 적응시스템 구축II,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Han HJ, Ahn SE, Choi EJ, Lee JT, Kim HD, Son Y, Park YH, Cho KW, Yoon JH, Lee E, Kim SM. 2006. Climate change impact assessment and development of adaptation strategies in Korea. Korea Environment Institute. p. 406. 

  18. 함보영, 이우균, 정재서, 이준학. 2004. IKONOS 영상과 GIS를 이용한 참나무류의 공간분포 및 출현확률추정. 한국산림측정학회지. 7(1):74-84. (Ham BY, Lee WK, Ching JS, Lee JH. 2004. Estimationof spatial distribution and occurrenceprobability of Oak species using IKONOSsatellite imagery and GIS. Korean Journal of Forest Measurements. 7(1):74-84.) 

  19. Boudreau J, Nelson RF, Margolis HA, Beaudoin A, Guindon L, Kimes DS. 2008. Regional aboveground forest biomass using airborne and spaceborne LiDAR in Quebec.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112(10):3876-3890. 

  20. Byun JG, Lee WK, Kim M, Kwak DA, Kwak H, Park T, Byun WH, Son Y, Choi JK, Lee YJ, Saborowski J, Chung DJ, Jung JH. 2013. Radial growth response of Pinus densiflora and Quercus spp. to topographic and climatic factors in South Korea. J. Plant Ecol. 6:380-392. 

  21. IPCC. 2007. Climate change: Physical science basis. Paris. France. p. 2-21. 

  22. Kim E, Lee WK, Yoon M, Lee J Y, Lee EJ, Moon J. 2016a. Detecting Individual Tree Position and Height Using Airborne LiDAR Data in Chollipo Arboretum, South Korea. Terrestrial. Atmospheric & Oceanic Sciences. 27(4):593-604. 

  23. Kim E, Lee WK, Yoon M, Lee JY, Son Y, Salim KA. 2016b. Estimation of Voxel-based aboveground Biomass using airborne LiDAR data in intact tropical rain forest, Brunei, forests (in press). 

  24. Kim SR, Lee WK, Kwak DA, Biging GS, Gong P, Lee JH, Cho HK. 2011. Forest cover classification by optimal segmentation of high resolution satellite imagery. Sensors. 11(2):1943-1958. 

  25. Kwak DA, Lee WK, Lee JH, Biging GS, Gong P. 2007. Detection of individual trees and estimation of tree height using LiDAR data. Journal of Forest Research. 12(6):425-434. 

  26. Kwak, D.A Chung, J.W, Lee, W.K, Kafatos, M, Lee, S.Y, Cho, H.K, Lee, S.H. 2010. Evaluation for Damaged Degree of Vegetation by Forest Fire using LIDAR and Digital Aerial Photograph. Photogrammetric Engineering and Remote Sensing. 76(3): 277-287. 

  27. Kwak H, Lee WK, Saborowski J, Lee SY, Won MS, Koo KS, Lee MB, Kim SN. 2012. Estimating the spatial pattern of human-caused forest fires using a generalized linear mixed model with spatial autocorrelation in South Korea. International Journal of Geographical Information Science. 26:1589-1602. 

  28. Olmos, S. 2001. Vulnerability and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Concepts, Issues, Assessment Methods. Climate Change Knowledge Network, http://www.cckn.net. 

  29. Piao, D., 이우균, Zhu, Y., 김문일, 송철호. 2016a. 북한에서의 REDD+ 사업을 위한 산림황폐화 및 탄소 저장량 평가. 한국환경생물학회지 34(1): 1-7 (Piao D., Lee, W.K., Zhu Y., Kim MI., Song CH. 2016a. Assessment of forest degradation and carbonstorage for REDD+Project in North Korea. Korean J. Environ. Biol. 34(1): 1-7.) 

  30. Piao D, Kim M, Lee WK, Choi GM, Moon J. 2016b Development of a DBH-Growth Model Based on Site and Climatic Conditions. Annals of Forest Science. (Under review) . 

  31. Xu, Z., 곽한빈, 이우균, 박태진, 권태협, 박선민. 2011. GIS를 이용한 기후변화에 따른 산사태 취약성 평가. 한국기후변화학회지. 2(1): 43-54. (Xu, Z., Kwak H, Lee W.K., Park T., Kwon T.H., Park,S., 2011. Assessment of landslide on climatechange using GIS. Climage Change Research2(1):43-54.) 

  32. Yu, H., Lee, J.Y., Lee, W.K., Cui, G., Cho, J.K., Wei, G., Li. L. 2016. Application of CASI Hyperspectral Image to Analysis of the Distribution of Hydrogen-Fluoride-Damaged Vegetation in Gumi, Korea. Journal of the Indian Society of Remote Sensing (Online Publication) 1-11 (SCIE).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