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창의적 공간설계를 위한 Geodesign Interface 연구
A Study on a Geodesign Interface for Creative Spatial Design 원문보기

지적과 국토정보 = Journal of cadastre & land informatix, v.46 no.2, 2016년, pp.325 - 340  

이솔지 (가천대학교 조경학과) ,  김은형 (가천대학교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Dangermond(2009)에 의해 GIS의 다음 패러다임으로서 제시된 Geodesign은 공간계획 및 설계의 바탕이 된다. 또한 고재용(2015)은 공간정보를 기초로 하여 진행되는 조경설계의 관점에서 Geodesign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그의 방법론은 효율성 향상을 위한 연구인 반면 Geodesign의 한계점이자 공간설계의 핵심인 '창의성 지원'은 다루지 못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공간설계의 관점에서 전 과정에 대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다룰 수 있도록 지원하는 개념으로써 개념화를 통해 $7{\pm}2$ 개라는 인간의 인지능력의 한계를 극복해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그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고자 조경설계 분야의 사용자에게 더 나은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인간의 인지능력한계 극복과 그것을 통한 창의성 향상을 목표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선행연구의 고찰을 통해 창의성 향상을 위한 방안을 도출하였으며, 이 방안을 바탕으로 창의적 공간설계의 지원이 가능한 Geodesign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제시된 방법론의 과정을 수행하기에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된 ESRI사의 GeoPlanner for ArcGIS에 방법론을 적용하여 Interface 설계의 과정을 수행하였다. 먼저 스크립트를 작성하고 기능요소와 정보요소를 판단하여 Interaction을 도출하였고, 도출된 Interaction을 바탕으로 Interface 설계를 진행하였다. 창의성 향상이라는 것은 물리적으로 증명하기는 어려운 부분이다. 그러나 Interface 설계를 통해 잠재의식 속에 있던 새로운 질서를 찾아내어 개념화를 통한 창의적 지원이 가능하며, 순간적으로 떠오르는 아이디어를 놓치지 않고 표현하여 인지능력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환경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Geodesign was suggested by Dangermond(2009) as a next paradigm of GIS to be a future basis for spatial planning and design. Ko(2015) also suggested a geodesign methodology that uses spatial information from a landscape designer's perspective. Spatial planning and design fundamentally require creativ...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Geodesign을 통한 조경설계와 기존의 설계 과정의 차이점은? 그리고 방법론의 적용 결과에 대해 “Geodesign을 통한 조경설계를 수행한 결과 기존의 설계 과정과 비교하여 나타나는 가장 뚜렷한 차이점은 비용, 시간, 효율, 편리, 표현 등으로 볼 수 있다. 자료의 수집 및 표현, 분석 및 종합, 3차원 설계 모형의 작성의 과정 등에서 대폭 시간이 절약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대안의 작성과 관리, 설계의 비교 분석 및 평가 등에서는 객관적인 지표와 근거를 제시할 수 있는 설계안을 만들어 낼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Coyne et al.(1990)이 언급한 창의적 사고를 위한 6가지 기술은? 1) Trial and Error: 가능성 있는 해결책을 찾아내고 그 해결책을 검사하는 과정으로, 유효한 해결책을 찾을 때까지 반복하며, 그 과정에서 새로운 해결책을 찾을 수도 있다. 2) Brainstorming: 다른 기술 전문가들의 참여가 있는 경우처럼, 집단적 사고에 적합한 기술이다. 혼자 작업하는 것보다 그룹으로 작업하는 것은 그룹의 개개인들이 다른 사람의 창의적인 아이디어에 자극 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3) Mutation: 객체나 개념의 feature 혹은 속성을 자유롭게 의도적으로 변경하는 행동이다. 수정을 통해 기존 객체나 개념의 새로운 특성, 기능, 의미를 찾는 것이 목적이다. 4) Analogy: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지식이 없거나 충분치 않은 낯선 문제를 해결하는데 유용한 접근방식이다. 경험이나 지식이 새로운 상황에 배치되어 새로운 문제를 더 잘 이해할 수 있고, 문제 해결을 위한 새로운 계획을 생성할 수 있다. 5) Inversion: 반전의 관계를 추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원인과 결과 간의 관계에 대해 더욱 복잡한 지식이 요구된다. 컴퓨터 시스템에 반전을 적용하기 위해, design은 원인과 결과의 관점에서 설명되어야 한다. 6) Systematic Approach: 적절한 최종 목표를 만들어낼 수 있다면, 해결책은 그 목표를 만족시킬 수 있는 방법을 찾음으로써 얻을 것이다.
Geodesign이란? Geodesign은 컴퓨터와 인간, 과학과 예술의 결합이자 GIS와 Design의 결합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Dangermond(2009)에 의해 GIS의 다음 패러다임으로서 제안된 개념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고재용. 2015. 조경 설계를 위한 Geodesign 방법론. 석사학위논문. 가천대학교 대학원. p. 39-56 Ko JY. 2015. A Study on a Geodesign Methodology for Landscape Design [Thesis]. Gachon University. p. 39-56 

  2. 고재용. 2015. 조경 설계를 위한 Geodesign 방법론 연구, 한국공간정보학회지. 23(6): 77-87. Ko JY. 2015. A Study on a Geodesign Methodology for Landscape Design,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ociety. 23(6): 77-87. 

  3. 김은형. 2014. 조경설계를 위한 공간개념화 지향의 공간의사결정지원시스템 모델에 대한 연구, 한국공간정보학회지. 22(6): 55-65. Kim EH. 2014. A Study on a Conceptualizationoriented SDSS Model for Landscape Design,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ociety. 22(6): 55-65. 

  4. 이영진. 2012. 조경 계획 및 설계를 지원하는 전산모델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경원대학교 대학원. p. 69-73 Lee YJ. 2012. A Study on a Computer-Assisted Model for Landscape Planning and Design [Thesis]. Kyungwon University. p. 69-73 

  5. Alan C. 2014. About Face: The Essentials of Interaction Design. New York: Wiley. p. 101-109 

  6. Jack D. 2009. GIS: Designing Our Future[Internet]. [http://www.esri.com/news/arcnews/summer09articles/gis-designing-our-future.html]. Last accessed 5 October 2016. 

  7. Kim EH. 1993. From Information-oriente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Toward Conceptualizationoriented Spatial Decision Support Systems in Planning and Design [dissertation]. Amherst: University of Massachusetts. p. 154-177 

  8. Esri. 2016. GeoPlanner for ArcGIS[Internet]. [http://geoplanner.arcgis.com]. Last accessed 29 May 2016. 

  9. Ian M. 1969. Design with Nature. New York: John Wiley & Sons Inc. p. 95-102 

  10. Shannon M. 2012. Geodesign-Case Studies in Regional and Urban Planning. Redlands, California: esri. p. 146. 

  11. William R.M. 2012. Introducing Geodesign: The Concept. Redlands, California: Esri. p.21 

  12. Peter P. 2014. What about the urban designers? Barriers and solutions for the implementation of Geodesign in practice, GeoJournal Library. 111(21): 331-344. 

  13. Dan S. 2009. Designing for Interaction, 2/3: Creating Innovative Applications and Devices. Boston: New Riders. p. 224-22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