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brief overview is given of the development of various structural steels and their welding application technology. Firstl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welding performance of structural steels used in architecture and bridge are introduced. For safety against earthquakes or strong wind, and for...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앞서 언급한 건축구조용 강재는 일반적으로 노멀라이징 (Normalizing), 퀜칭/템퍼링 (Quenching/Tempering), TMCP (Thermo-Mechanical Controlled Process) 등으로 제조되고 있고, 현재 TMCP 제조기술이 가장 보편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기고에서는 현재 고성능 강재 제조공정에 활용되고 있는 TMCP 제조기술, 건설 및 교량용 강재, 용접이용 기술 등을 중심으로 국내와 일본을 비교하여 논의를 진행하고자 한다.
  • 본 절에서는 건설용 강재의 대표적인 제조공정인 TMCP에 대해 간략히 소개하고자 한다. TMCP는 결정립 미세화와 미세조직 제어를 위해 제어압연과 가속냉각을 적용한 공정으로, 재결정영역에서 압연하는 종래의 후판강 압연공정과 달리, 미재결정영역에서 압연함으로써 오스테나이트 결정립 내부에 변형띠를 생성시켜 추가적인 핵생성 자리를 형성시켜 미세조직 및 물성을 제어하는 것이 특징이다5).
  • . 용접금속으로부터 조대결정립 열영향부로 확산된 보론이 정확히 BN의 형태로 존재하는 지와, 결정립 미세화의 효과에 대해서는 명확히 검증되지 않은 것으로, 본 기고에서는 구체적인 언급을 제외하고자 한다.
  • 본 기고에서는 건축 및 교량 분야에 적용되고 있는 다양한 강재들의 특성 및 용접기술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였다. 초고층화, 장스팬화, 안전화, 장수명화로 설명될 수 있는 건축/교량 분야에서, 현재 요구되고 있는, 그리고 향후 요구될 성능 및 물성확보를 위해, 고강도를 비롯한 고성능 강재 뿐 아니라 효과적인 용접시공기술이 적극적으로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건축구조물이 대형화되면서 어떤 특성이 요구되는가? 우선, 초고층 빌딩 건설이 증가하면서, 극후물 강재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즉 건축구조물이 대형화되면서 사용되는 구조부재의 단면이 증가하여, 80mm 혹은 100mm 두께의 후물 강재가 요구되며, 이에 따라 판 두께 방향에 대한 물성보증 및 높은 저온균열 저항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강재의 극후물화는 곧 부재 제작의 효율성 향상이라는 측면에서 대입열 용접용 강재 및 용접이용 기술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건축구조물이 대형화에 따른 어떤 기술이 요구되는가? 즉 건축구조물이 대형화되면서 사용되는 구조부재의 단면이 증가하여, 80mm 혹은 100mm 두께의 후물 강재가 요구되며, 이에 따라 판 두께 방향에 대한 물성보증 및 높은 저온균열 저항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강재의 극후물화는 곧 부재 제작의 효율성 향상이라는 측면에서 대입열 용접용 강재 및 용접이용 기술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일본의 경우, 1970년도부터 대입열용 강재개발을 주도하여, 현재는 후물 구조용 강재의 경우에도 SAW (Submerged Arc Welding)기준으로 600 kJ/cm, ESW (Electro-Slag Welding) 기준으로 1000 kJ/cm의 대입열 용접이 범용적으로 적용되어 주로 1 Pass로 용접을 마무리하고 있다.
현재 국내 용접재료 개발 상황은 어떠한가? 구조물의 안전성 측면에서는 내진설계 시 소성변형을 허용하는 SN 강재를 비롯하여 저 항복비 (YR: Yield Ratio)를 만족하는 강재의 개발 및 적용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화재와 같은 고온에서도 일정시간 이상 고온강도를 유지하여 내화피복의 사용을 생략할 수 있는 내화강이 개발되었다. 하지만 국내의 경우, 개발된 내화강재에 적용할 수 있는 국산 용접재료가 전무하여, 용접부 성능평가를 위해 외산 용접재료를 수입하고 있는 실정이다. 강구조물의 장수명화 측면에서는 고내식 교량용 내후성강 및 건축외장용 도금강판의 개발 및 적용이 이루어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T. Kamo, R. Ando, M. Sasaki, T. Suzuki and Y. Watanabe, Ultra high strength steel for sustainable building structures, NSSMC Technical Report, No. 10 (Sep. 2015), 65-69 

  2. Y. Zhou, J. Chen, Y. Xu and Z. Liu, Effects of Cr, Ni and Cu on the corrosion behavior of low carbon microalloying steel in a Cl-containing environment, J. Mater. Sci. Technol., 29 (2013), 168-174 

  3. S. J. Kim, Y. J. Kwak, T. Y. Kim, W. S. Jung and K. Y. Kim, Surface darkening phenomenon of Zn-Mg coated steel exposed to aqueous environment at high temperature, J. Mater. Res., 30 (2015), 3605-3615 

  4. A. P. Yadav, H. Katayama, K. Noda, H. Masuda, A. Nishikata and T. Tsuru, Surface potential distribution over a zinc/steel galvanic couple corroding under thin layer of electrolyte, Electrochem. Acta, 52 (2007), 3121-3129 

  5. H. C. Jung and J. W. Lee, Recent development of structural steel and its weldability for construction, J. Weld. Join., 27 (2009), 49-58 

  6. E. Shigeru and N. Naoki, Development of thermo-mechanical control process (TMCP) and high performance steel in JFE steel, JFE Technical Report, No. 20 (Mar. 2015), 1-7 

  7. S. Nobuo, M. Shinji and E. Shigeru, Recent development in microstructural control technologies through the thermo-mechanical control process (TMCP) with JFE steel's high-performance plates, JFE Technical Report, No. 11 (June. 2008), 1-6 

  8. O. Akio, N. Kei, M. Yasuhiro, High performance 590 N/mm2 class thermo-mechanical control process (TMCP) steel plate "HBLTM 440" for building structure, JFE Technical Report, No. 20 (Mar. 2015), 26-33 

  9. I. Maroef, D. L. Olson, M. Eberhart and G. R. Edwards, Hydrogen trapping in ferritic steel weld metal, Inter. Mater. Rev., 47 (2002), 191-223 

  10. S. J. Kim, D. W. Yun, D. W. Suh and K. Y. Kim, Electrochemical hydrogen permeation measurement through TRIP steel under loading condition of phase transition, Electro. Comm., 24 (2012), 112-115 

  11. Y. Suzui, H. Tokinoya, H. Niwa, M. Yamanaka, K. Nakatsuka and I. Okada, Development of beam-to-box column connection with 1000-N/ $mm^2$ class ultra-highstrength steel, 大林組技術硏究所報, 77 (2013), 1-8 

  12. K. Tomoya, I. Yasuo, F. Kouji, S. Masamichi, N. Toshiyuki, H. Tomoyuki, F. Shoichiro, K. Isao, T. Motohide, K. Susumu and T. Kenzo, Development of 1000N class GMA and SA weld materials for buildings, J. Japan Weld. Soc., 29 (2011), 114-124 

  13. A. Kojima, M. Fujioka, M. Hoshino, G. Shigesato, M. Kaneko and M. Tanaka, Progress of high performance steel plates, NSSMC Technical Report, No. 110 (Sep. 2015), 3-7 

  14. A. Kojima, A. Kiyose, R. Uemori, M. Minagawa, M. Hoshino, T. Nakashima, K. Ishida and H. Yasui, Super high HAZ toughness technology with fine microstructure imparted by fine particles, Nippon Steel Technical Report, No 90 (July. 2004), 2-6 

  15. C. Zener, Grains, phases, interfaces, an interpretation of microstructure, Trans. AIME., 175 (1948), 15-51 

  16. K. Yamamoto, T. Hasegawa and J. Takamura, Effect of B on the intra-granular ferrite formation in Ti-oxides bearing steels, Tetsu to Hagane, 79 (1993), 1169-1175 

  17. Y. Kitani, R. Ikeda, K. Yasuda, K. Oi and K. Ichimiya, Improvement of HAZ toughness for high heat input welding by using boron diffusion from weld metal, Weld. in the World, 51 (2007), 31-36 

  18. K. Homma, M. Tanaka, K. Matsuoka, T. Kasuya and H. Kawasaki, Development of application technologies for bridge high-performance steel, BHS, Nippon Steel Technical Report, No. 97 (Jan. 2008), 51-57 

  19. C. Miki, A. Ichikawa, T. Kusunoki and F. Kawabata, Proposal for bridge high-performance steels (BHS500/BHS700W), Collection of Papers of Jap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738 (July. 2003), 1-10 

  20. N. Kimihiro, M. Kazuyuki and T. Naoyoshi, High performance steel plates for bridge construction-High strength steel plates with excellent weldability realizing advanced design for rationalized fabrication of bridges-, JFE Technical Report, No. 5 (Mar. 2005), 30-36 

  21. K. S. Kyung and D. W. Lee, Development of fabrication technique for steel bridge using high strength steel, J. Korean Soc. of Steel Const., 14 (Sep. 2002) 36-52 

  22. M. Stratmann, K. Bohnenkamp and T. Ramchandran, The investigation of the corrosion properties of metals, covered with adsorbed electrolyte layers-A new experimental technique, Corrs. Sci., 27 (1987), 869-872 

  23. M. Kimura and H. Kihira, Nanoscopic mechanism of protective rust formation on weathering steel surfaces, Nippon Steel Technical Report, No 91 (Jan. 2005), 86-90 

  24. G.V. Samsonov, The Oxide Handbook, 2nd ed. (Plenum, New York, 1982) 

  25. S. Kodama, Y. Ishida, Y. Miyazaki and T. Nose, Touchup-less welding wire for high corrosion resistance galvanized steel plates, NSSMC Technical Report, No. 108 (Mar. 2015), 77-80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