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생물 실험실에서의 부유 곰팡이 농도의 계절별 변이와 환경영향
Seasonal and Environmental Influences on Culturable Airborne Fungi Levels in Microbiology Laboratories 원문보기

韓國環境保健學會誌 =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v.42 no.1, 2016년, pp.19 - 26  

황성호 (국립암센터 암예방사업과) ,  홍순열 (국립암센터 암예방사업과) ,  석지원 (서울대학교 보건환경연구소) ,  윤충식 (서울대학교 보건환경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assess temporal changes in the level of culturable airborne fungi (CAF) in three microbiology laboratories and determine the environmental factors associated with CAF level. Methods: CAF levels were determined once per month from March 2011 to February 2012 in three 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3곳의 미생물실험실에서의 부유 곰팡이 농도의 월별 계절별 분포 특성 및 환경요소 (온도, 상대습도, CO2, 조도, 실험실 사람들의 인원, 사람의 활동성)들의 상관성을 분석하여 농도 영향요인을 평가하는 것이다.
  • 본 연구는 부유 곰팡이의 농도를 1년간 월별, 계절별에 따른 변화를 3개 미생물 실험실을 대상으로 측정하여 분포 특징과 농도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요소 (온도, 상대습도, 인원과 사람의 활동성)를 조사한 연구이다. 3곳의 미생물실험실에서 측정된 214개의 시료 중 14개 시료(6.

가설 설정

  • 온도는 일반적으로 미생물의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인 요인으로 꼽힌다.25) 이러한 온도와 상관성 결과는 이전의 많은 연구들과도 일치했다.9-12) 상대습도는 본 연구에서 부유 곰팡이 농도와 가장 상관성이 높은 환경요인 (p < 0.
  • 본 연구는 부유 곰팡이 농도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요인을 1년에 걸쳐 월별로 측정 평가한 연구로 몇 가지 제한점이 있다. 첫째, 높은 배양 온도이다. 부유 곰팡이의 성장을 위한 최적의 온도 범위는25-30℃로 알려져 있지만, 본 연구에서의 곰팡이는 35℃에서 배양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부유 미생물은 어떻게 구별되는가? 가정이나 직업 환경과 같은 다양한 실내 환경에서 대부분의 사람들이 지내기 때문에 실내환경 중의 공기 질은 건강영향에 중요한 요소이다.1) 실내 환경에는 미세먼지, 휘발성유기화합물, 라돈, 포름알데히드 등 다양한 오염물질들이 존재하지만, 그 중에서도 부유 미생물은 병원체 균을 포함한 박테리아 및 엔도톡신, 곰팡이 독소인 마이코톡신, 꽃가루 및 바이러스 등으로 구별되어 실내환경 오염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부유 미세 (<1 mm) 입자 및 초미세 (<0.
부유 미생물 노출이, 인체에 미치는 악영향은 무엇인가? 이러한 부유 미세 (<1 mm) 입자 및 초미세 (<0.1 mm) 입자상 크기의 미생물의 노출은 폐질환과 두통 및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공기 중 높은 곰팡이 농도는 기도염증 및 호흡기 증후군과 같은 건강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4) 실제로 Penicillium은 감염성 폐질환의 건강영향을 일으키며, Aspergillus는 재채기, 호흡곤란, 천식의 악화에 영향을 주고, Aspergillus에서 생성되는 Aflatoxine B1은 발암성 물질이다. Cladosporium역시 알레르기 유발물질로 알려져 있다.5,6)
실내 환경에 존재하는 오염물질은 무엇인가? 가정이나 직업 환경과 같은 다양한 실내 환경에서 대부분의 사람들이 지내기 때문에 실내환경 중의 공기 질은 건강영향에 중요한 요소이다.1) 실내 환경에는 미세먼지, 휘발성유기화합물, 라돈, 포름알데히드 등 다양한 오염물질들이 존재하지만, 그 중에서도 부유 미생물은 병원체 균을 포함한 박테리아 및 엔도톡신, 곰팡이 독소인 마이코톡신, 꽃가루 및 바이러스 등으로 구별되어 실내환경 오염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부유 미세 (<1 mm) 입자 및 초미세 (<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Klepeis NE, Nelson WC, Ott WR, Robinson JP, Tsang AM, Switzer P, et al. The National Human Activity Pattern Survey (NHAPS): a resource for assessing exposure to environmental pollutants. Journal of Expo Analysis Environmental Epidemiology. 2001; 11: 231-252. 

  2. Douwes J, Thome P, Pearce N, Heederik D. Bioaerosol health effect and exposure assessment: Progress and prospects. The Annals of Occupational Hygiene. 2003; 47(3): 187-200. 

  3. Dockery DW. Health effects of particulate air pollution. Annals of Epidemiology. 2009; 19: 257-263. 

  4. Mui KW, Wong LT, Hui PS. Risks of unsatisfactory airborne bacteria level in air-conditioned offices of subtropical climates. Building Environmental. 2008; 43: 475-479. 

  5. Desai MS, Ghosh S K. Aflatoxin related hazards among rice mill Workers. Journal of Toxicology: Toxin Reviews. 1989; 8 (1-2): 81-87. 

  6. American Conference of Governmental Industrial Hygienists (ACGIH). In: Macher, J., Ammann, H. A. Milton, D. K., Burge, H. A., Morey, P. R. (Eds.), Bioaerosols: Assessment and Control. American Conference of Governmental Industrial Hygienist, Cincinnati, Ohio; 1999 

  7. Moschandreas D, Pagilla KR, Storino LV. Time and space uniformity of indoor bacteria concentrations in Chicago area residences. Aerosol Science Technology. 2003; 37: 899-906. 

  8. Reponen T, Nevalainen A, Jantunen M, Pellikka M, Kalliokoski P. 19 Normal range criteria for indoor air bacteria and fungal spores in a subarctic climate. Indoor Air. 1992; 2: 26-31. 

  9. Guo H, Lee SC, Chan LY. Indoor air quality investigation at air-conditioned and non-air conditioned markets in Hong Kong. Science of Total Environment. 2004; 323: 87-98. 

  10. Jo WK and Seo YJ. Indoor and outdoor bioaerosol levels at recreation facilities, elementary schools, and homes. Chemosphere. 2005; 61: 1570-1579. 

  11. Hwang SH, Park DU, Ha KC, Cho HW, Yoon CS. Airborne bacteria concentrations and related factors at university laboratories, hospital diagnostic laboratories and a biowaste site. Journal of Clinical Pathology. 2011; 64: 261-264. 

  12. Hwang SH, Park WH, Ahn JK, Lee KJ, Min KB, Park JB. Relationship between culturable airborne bacteria concentrations and ventilation systems in underground subway stations in Seoul, South Korea. Air Quality Atmosphere & Health. 2015. DOI 10.1007/s11869-015-0316-9; 2015 

  13. Bogomolova E, Kirtsideli I. Airborne fungi in four stations of the St. Petersburg underground railway system. International Biodeterioration & Biodegradation. 2009; 63: 156-160. 

  14. Boudia N, Halley R, Kennedy G, Lambert J, Gareau L, Zayed J. Manganese concentrations in the air of the Montreal (Canada) subway in relation to surface automobile traffic density.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2006; 366: 143-147. 

  15. Cho JH, Hee Min K, Paik NW. Temporal variation of airborne fungi concentrations and related factors in subway stations in Seoul, Korea. International Journal Hygiene and Environmental Health. 2006; 209: 249-255. 

  16. Hwang SH and Park JB. Comparison of culturable airborne bacteria and related environmental factors at underground subway stations between 2006 and 2013. Atmospheric Environment. 2014; 84: 289-293. 

  17. Ministry of Environment of Korea.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in public facilities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Act Amendment; 2014 

  18. Rusca S, Charriere N, Droz PO, Oppliger A. Effects of bioaerosol exposure on work-related symptoms among Swiss sawmill workers. International Archive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ealth. 2008; 81(4): 415-421. 

  19. Lavoie J, Dunkerley CJ, Kosatsky T, Dufresne A. Exposure to aerosolized bacterial and fungi among collectors of commercial, mixed residential, recyclable and compostable waste. Science Total Environmental. 2006; 370 (1): 23-28. 

  20. Kim KY, Jeong YI, Kim CN, Won JU, Roh JH. Distribution of airborne microorganism in the feedstuff manufacture factor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ygiene. 2007; 17(4): 335-342. 

  21. Kim KY, Lee CR, Kim CN, Won JU, Roh JH. Sizebased Characteristics of Airborne Bacteria and Fungi Distributed in the General Hospital.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ygiene. 2006; 16(2): 109-109. 

  22. Kim KY, Roh YM, Kim YS, Lee CM, Sim IS. Profile of airborne microorganisms distributed in general offic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ygiene. 2008; 18(1): 11-19. 

  23. Cho JH, Paik NW. Assessment of Airborne Fungi Concentrations in Subway Stations in Seoul, Korea.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2009; 35(6): 457-494. 

  24. Kim YS, Lee EG, Yup MJ, Kim KY. Distribtion and Classification of Indoor Concentration of Microorganisms in Public Buildings.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2002; 28: 85-92. 

  25. Moschandreas D, Pagilla KR, Storino LV. Time and space uniformity of indoor bacteria concentrations in Chicago area residences. Aerosol Science Technology. 2003; 37: 899-906. 

  26. Reponen T, Nevalainen A, Jantunen M, Pellikka M, Kalliokoski P. 19 Normal range criteria for indoor air bacteria and fungal spores in a subarctic climate. Indoor Air. 1992; 2: 26-31. 

  27. Frankel M, Beko G, Timm M, Gustavsen S, Hansen EW, Madsen AM. Seasonal variations of indoor microbial exposures and their relation to 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and air exchange rate. Applied Environmental Microbiology. 2012; 78(23): 8289-8297. 

  28.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WHO Guidelines for Indoor Air Quality: Dampness and Mould. WHO Regional Of fice for Europe, Scherfigsvej 8, DK-2100 Copenhagen O, Denmark; 2009 

  29. Tsai MY, Liu HM. Exposure to culturable airborne bioaerosols during noodle manufacturing in central Taiwan.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2009; 407: 1536-1546. 

  30. Scheff, PA, Paulius VK, Curtis L, Conroy LM. Indoor air quality in a middle school, Part II: Development of emission factors for particulate matter and bioaerosols. Applied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ygiene. 2000; 15: 835-842. 

  31. Wu PO, Li YY, Chiang CM, Huang CY, Lee CC, Li FC, et al. Changing microbial concentrations are associated with ventilation performance in taiwan's air-conditioned office buildings. Indoor Air. 2005; 15(1): 19-26. 

  32. Fisk WJ, Mirer AG, Mendell MJ. Quantitative relationship of sick building syndrome symptoms with ventilation rates. Indoor Air. 2009; 19: 159-16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