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성인 여성의 화장품 유통채널별 인식도와 구매의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dult Women's-Awareness of Cosmetics Distribution Channels and Purchase Intention 원문보기

패션비즈니스 = Fashion business, v.20 no.1, 2016년, pp.1 - 16  

황금빛누리 (서경대학교 대학원 미용예술학과) ,  신세영 (서경대학교 미용예술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Korean cosmetic distribution channels were formerly divided into sales visits and specialty shops, which made up the entire cosmetics market. However, recently the market and cosmetic distribution channels have become much more diversified. Thus, research for this study focused on the usage and pur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소비자가 가지는 각 유통채널의 인식도에 대해 꾸준한 분석과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요구되고 있는 시점이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화장품의 주요 유통채널에 대한 각각의 마케팅적 시사점 및 경영전략 수립을 활성화시키고, 화장품 유통 및 소비 촉진을 도모하기 위한 마케팅 전략 수립 시 기본적인 연구 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향후 지속가능한 화장품 산업의 발전을 통해 화장품 유통채널의 경쟁력 확보 및 화장품 유통채널에 대한 소비자의 정확한 인식적 배경을 마련하는 기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연구문제1 : 화장품 유통채널별 소비자인식도의 차이에 대해 알아본다.
  • 연구문제2 : 화장품 유통채널 인식도 집단의 구매 의도를 비교해본다.
  • 연구문제3 : 인구 통계적 특성에 따른 화장품 유통채널별 인식도의 차이에 대해 알아본다.
  • 연구문제4 : 인구 통계적 특성에 따른 화장품 유통채널별 구매의도의 차이에 대해 알아본다.
  • 이 연구는 20세 이상 여성 소비자의 연령대별 화장품 유통채널의 인식도와 화장품 구매의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성과로 화장품의 주요 유통채널에 대한 표적고객의 특성을 밝혀 이에 따른 각각의 마케팅적 시사점 및 경영전략 수립을 활성화시키고, 화장품 유통 및 소비 촉진을 도모하기 위한 차별화 된 마케팅 전략 수립 시 기본적인 연구 자료로 활용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 이 연구는 소비자의 화장품 유통채널별 인식도와 구매의도의 차이를 알아보고, 더 나아가 소비자의 인구 통계적 특성(연령, 결혼여부, 거주지, 직업, 월소득)에 따른 화장품 유통채널별 인식도와 구매의도의 차이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 이 연구는 20세 이상 여성 소비자의 연령대별 화장품 유통채널의 인식도와 화장품 구매의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성과로 화장품의 주요 유통채널에 대한 표적고객의 특성을 밝혀 이에 따른 각각의 마케팅적 시사점 및 경영전략 수립을 활성화시키고, 화장품 유통 및 소비 촉진을 도모하기 위한 차별화 된 마케팅 전략 수립 시 기본적인 연구 자료로 활용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그 이유는 제품은 동일하지만 소비자 기억 속에 들어있는 인식이 다르기 때문이다(Al & Jack, 1993). 본 연구에서도 성인 여성의 화장품 유통 채널의 인식도에는 차이가 있을 것이라고 가설을 세웠다. 가설 검증을 위해 화장품 유통채널 인식도에 대한 하위항목을 경제성(합리적 가격), 효율성(정보 획득의 용이성), 신뢰성(품질에 대한 신뢰), 실용성(품질의 기능 - 성능, 효과), 차별성(사후관리 - 환불, 교환), 유행성(소비자 요구파악), 신분 상징성(자부심 부여), 구전의도 등 총8개로 분류하여 화장품 유통채널별 인식도의 차이를 파악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통채널이 무엇인가? 유통채널이란 소비자가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정보와 지식을 접하고 구매를 하는 쇼핑의 공간을 의미하며, 제품을 적절한 시기에 합리적인 가격으로 소비자에게 제공하여 소비자들의 생활수준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한국 유통업의 경우, 1990년대에 들어서 대규모 자본이 유통업에 대거 투입됨에 따라 유통의 산업화가 빠르게 나타났다.
유통채널의 역할은? 유통채널이란 소비자가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정보와 지식을 접하고 구매를 하는 쇼핑의 공간을 의미하며, 제품을 적절한 시기에 합리적인 가격으로 소비자에게 제공하여 소비자들의 생활수준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한국 유통업의 경우, 1990년대에 들어서 대규모 자본이 유통업에 대거 투입됨에 따라 유통의 산업화가 빠르게 나타났다.
한국 유통업 중 화장품 분야의 어떻게 발전해왔나? 한국 유통업의 경우, 1990년대에 들어서 대규모 자본이 유통업에 대거 투입됨에 따라 유통의 산업화가 빠르게 나타났다. 특히, 화장품 유통분야는 1996년 유통시장의 전면 개방과 인터넷 발달 및 정보기술을 활용하는 고효 율, 대규모 소매 업태인 할인점의 폭발적 증가로 20세기에는 오프라인에 국한되던 화장품 유통채널이 21세기에 들어서면서 온라인 분야까지 확장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Ahn, K. H., Ha, Y. W., & Park, H. S. (2013). Principles of Marketing. Paju, Korea: Hakhyunsa. 

  2. Al, R., & Jack, K. (1993). The immutable laws of marketing. Seoul, Korea: Businessmap. 

  3. Bang, K. (2013). A Study on the beauty action of the high-school girl with the beauty, beauty products, and multi : function beauty product interest. Journal of Fashion business. 17(4), 124-139. 

  4. Choi, J. (2014, January 13). This year, the imported cosmetics brand of department store is crisis. Korea times. Retrieved from www.hankookilbo.com 

  5. David, L., & Albert, J. (1993). Consumer Behavior: Concepts and Applications (5th ed.). New York, NY: Mc Graw-Hill. 

  6. Jung, M. (2007). The effects of brand image on purchase intention and customer loyalty-Focused on the coffee brand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Korea. 

  7. Jung, S. (2007). Consumer Science. Seoul, Korea: Shinjeong. 

  8. Kim, B., & Jung, Y. (2014). A Study of Effects of Characteristics of Cosmetics Manufacturers' Uniform Design on Perception of Service Quality and Customer Satisfaction: Focusing on Women in Their 20s. Journal of Fashion business. 18(4), 125-137. 

  9. Kim, D. (2014, April 29). Hotter 'Health & Beauty Shop' market Woman Chosun. Retrieve from http://woman.chosun.com 

  10. Kim, J. [Jongui]. (2002). Consumer behavior. Seoul, Korea: Hyungseul. 

  11. Kim, J. [Jooho]., & Son, J. (2008). A study on lifestyle and cosmetics purchasing behavior: focused on the comparison of Korean and Chinese female college studen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2(7), 1104-1115. 

  12. Kim, S., & Lee, K. (2007). A research of appearance-management behavior in 20-40's women according to degree of appearance concern. Journal of Fashion business. 11(4), 29-41. 

  13. Kotler, A. (2002). Principle of Marketing (9th ed.). New Jersey: Prentice-Hall. 

  14. Lee, B. [Boram]. (2014, October 27). Cosmetics door-to-door sales, how to regain former glory was gorgeous?. Kyunghyang News. Retrieved from www.khan.co.kr 

  15. Lee, B. [Bugeun]. (2009). A study on the feature, growth potential and the influences on established pharmacies of Korea drugstore chain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ungnam University, Daegu, Korea. 

  16. Moon, J. (2014, October 15). Cosmetics retail marketing "has reason to be online, here" Beauty Hankook. Retrieved from http://beautyhankook.wowtv.co.kr/ 

  17. Park, E. (2008). A Study on the Naturalistic Cosmetics Purchasing Behavior and Attitudes According to Women. Journal of Fashion business. 12(1), 63-75. 

  18. Seo, S. H., Kim, H. J., & Choi, H. K. (2012). Consumer behavior. Seoul, Korea: Parkyoungsa. 

  19. Shin, J. (2012). Contemporary marketing. Seoul, Korea: Topbooks. 

  20. Son, Y. (2013). Consumer psychology. Seoul, Korea: Communicationbooks. 

  21. Yoo, S. (2009). A study on the fashion consumer's store preference and purchase intention-focused store's student consumers in Korea and China (Unpublished master's thesis). Mokpo University, Mokpo, Korea. 

  22. Yoon, H. (2007). Marketing. Seoul, Korea: Chongmok.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