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가 교육과정 모니터링 체제 개선 연구
Improving National Curriculum Monitoring System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6 no.2, 2016년, pp.588 - 599  

이근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이병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가은아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이주연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호주와 싱가포르 교육과정 모니터링 체제를 분석하여 우리나라 교육과정 모니터링 체제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우선 우리나라의 2007 교육과정부터 2009 개정 교육과정 모니터링 체제의 문제점을 문헌 연구와 현장 교사 면담 등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해외 사례 연구의 시사점 도출의 준거를 설정하였으며, 설정된 준거에 기초하여 싱가포르와 호주를 방문하고 국가 교육과정 모니터링 체제의 실제 운영 사례를 조사 분석하였다. 이 과정에서 해당 국가의 교육부 관계자, 학교 관리자, 현장 교사 등을 면담하여 문헌과 인터넷 탐색 등에 기반을 둔 사전 조사의 실질적 운영 현황을 파악하였다. 이는 비단 현재의 시스템이나 현황에 대한 표피적인 조사를 넘어서 당면하고 있는 문제점이나 개선 요구 등과 같은 실체적인 내용을 파악하여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한 것이었다. 도출된 시사점은 국가교육과정 모니터링 시스템의 통합적 접근, 쌍방향과 개방형 의사소통 방식의 개선, 모니터링 시스템 운영의 내실화 등이 제안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provide suggestions for improving national curriculum monitoring system. To achieve this goal, we analyzed the Korean national curriculum monitoring system in terms of actual problems and challenges faced by school teachers, and drew criteria for analyzing overseas curriculum mon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교육과정 개발과 적용 및 질 관리 등이 효율적으로 연계되는 교육 풍토를 형성하고 있는 호주와 싱가포르를 대상으로 국제 비교 연구를 수행하였다.
  • 국가 교육과정 모니터링 체제의 개선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국제 비교 연구를 시도하였다. “국제 비교 연구는 국가 간 문화와 현재의 정책 방향 비교를 통해 미래 정책에 대한 전망과 방향성을 유추해 볼 수 있고, 정책 수립의 근거를 마련할 수도 있으며 쟁점 사안이나 야기된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외국의 사례를 통해 다각도로 탐색할 수 있다[5].
  • 다만, 각국의 교육 체제나 교육과정 모니터링 운영 방식은 매우 다양하며 큰 차이를 가지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여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온 모니터링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를 준거로 대상국의 국가 적용체제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설계에 따라 본 연구는 새 교육과정의 고시로부터 학교 현장 실천에 이르기까지 호주와 싱가포르에서 국가 교육과정 모니터링 등과 관련하여 어떠한 체제가 운영되고 있는지를 비교 분석한 후, 향후 국가 교육과정의 성공적 적용과 실행을 가능하게 하는 모니터링 개선 방안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 본 절에서는 7차 교육과정부터 현재의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이르기까지 우리나라 국가 교육과정 모니터링 체제와 관련하여 제기된 문제를 기존의 선행연구들에 대한 분석, 대학의 교육과정 전문가, 교육부와 교육청의 교육과정 담당자, 그리고 교육 현장에서 교육과정을 담당하고 있는 현장교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면담 내용을 중심으로 분석한 결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모니터링의 시기와 방식, 대상과 주체, 그리고 모니터링 결과의 활용이라는 측면에서 종합적으로 기술하고자 한다.
  • 문헌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교육과정 모니터링 체제 및 이에 대한 문제점 분석 및 해외 사례 분석의 준거를 마련하기 위함이다. 사전 문헌 조사를 통하여 비교 대상 국가의 모니터링 체제를 분석한 후 이를 기반으로 면담 내용을 준비하는 것이 목적이다.
  • 그러나 교육과정은 문서상의 개선 못지않게 그것이 학교 현장의 실질적인 변화를 유도할 수 있을 때, 비로소 그 역할을 다하게 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호주와 싱가포르 교육과정 모니터링 체제를 분석하여 우리나라 교육과정 모니터링 체제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우선 우리나라의 2007 교육과정부터 2009 개정 교육과정 모니터링 체제의 문제점을 문헌 연구와 교사 면담 그리고 그룹 인터뷰를 통하여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해외 사례 연구의 시사점 도출의 준거를 설정하였으며, 설정된 준거에 기초하여 싱가포르와 호주 국가를 방문하고 국가 교육과정 모니터링 체제의 실제 운영 사례를 분석하면서 우리나라 교육과정 모니터링 체제와 운영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본 절에서는 7차 교육과정부터 현재의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이르기까지 우리나라 국가 교육과정 모니터링 체제와 관련하여 제기된 문제를 기존의 선행연구들에 대한 분석, 대학의 교육과정 전문가, 교육부와 교육청의 교육과정 담당자, 그리고 교육 현장에서 교육과정을 담당하고 있는 현장교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면담 내용을 중심으로 분석한 결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모니터링의 시기와 방식, 대상과 주체, 그리고 모니터링 결과의 활용이라는 측면에서 종합적으로 기술하고자 한다.
  • 문헌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교육과정 모니터링 체제 및 이에 대한 문제점 분석 및 해외 사례 분석의 준거를 마련하기 위함이다. 사전 문헌 조사를 통하여 비교 대상 국가의 모니터링 체제를 분석한 후 이를 기반으로 면담 내용을 준비하는 것이 목적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국가 교육과정 체제, 모니터링 주체와 시기 및 방법과 대상 등에 대한 자료 수집을 목적으로 2015년 3월에서 6월까지 진행되었다.
  • 다만, 각국의 교육 체제나 교육과정 모니터링 운영 방식은 매우 다양하며 큰 차이를 가지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여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온 모니터링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를 준거로 대상국의 국가 적용체제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설계에 따라 본 연구는 새 교육과정의 고시로부터 학교 현장 실천에 이르기까지 호주와 싱가포르에서 국가 교육과정 모니터링 등과 관련하여 어떠한 체제가 운영되고 있는지를 비교 분석한 후, 향후 국가 교육과정의 성공적 적용과 실행을 가능하게 하는 모니터링 개선 방안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 또 다른 교육과정에 대한 방안으로는 NAPLAN 결과 분석도 활용하고 있다. 즉, 시험 결과 성적 향상이 높은 학교와 그렇지 않은 학교를 분류하고, 다양한 변인 분석을 통하여 그러한 차이를 야기한 원인과 처방에 대한 연구를 하게 된다.
  • 지금까지 우리나라 교육과정 모니터링 체제의 문제점에 근거하여 도출한 해외 사례 시사점 도출의 준거를 기술하였고, 이 준거에 따라 호주와 싱가포르의 교육과정 모니터링 체제와 운영 측면을 살펴보기로 한다. 교육과정 모니터링 체제와 운영은 교육제도를 근간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교육제도와 교육과정을 먼저 간략하게 개관한다.
  • 지금까지 우리나라 국가 교육과정 모니터링 체제가 가지는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유의미한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한 준거를 교사와 교수, 그리고 교육과정 전문가 등의 그룹 면담을 통해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 단위 학교 차원에서는 교장이 교육과정 적용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결과물, 즉 학생들의 수업 과정과 평가 결과 관찰 내용 등에 대하여 교사들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여 종합적인 모니터링을 한다. 특히 교사들은 단위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모니터링 중 약 3주마다 1회 정도 전 직원이 만나 교육과정 실행 과정에서 발생한 구체적 사항들에 대하여 의논한다. 면담에 참여했던 한 교사는 “이러한 시간이 개정 교육과정의 수업 실행에 매우 유용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제 비교 연구로 무엇을 할 수 있는가? 국가 교육과정 모니터링 체제의 개선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국제 비교 연구를 시도하였다. “국제 비교 연구는 국가 간 문화와 현재의 정책 방향 비교를 통해 미래 정책에 대한 전망과 방향성을 유추해 볼 수 있고, 정책 수립의 근거를 마련할 수도 있으며 쟁점 사안이나 야기된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외국의 사례를 통해 다각도로 탐색할 수 있다[5].”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교육과정 개발과 적용 및 질 관리 등이 효율적으로 연계되는 교육 풍토를 형성하고 있는 호주와 싱가포르를 대상으로 국제 비교 연구를 수행하였다.
우리나라 교육과정 모니터링 체제 개선을 위해 어떤 것을 본 연구에서 분석하였는가? 본 연구의 목적은 호주와 싱가포르 교육과정 모니터링 체제를 분석하여 우리나라 교육과정 모니터링 체제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우선 우리나라의 2007 교육과정부터 2009 개정 교육과정 모니터링 체제의 문제점을 문헌 연구와 현장 교사 면담 등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해외 사례 연구의 시사점 도출의 준거를 설정하였으며, 설정된 준거에 기초하여 싱가포르와 호주를 방문하고 국가 교육과정 모니터링 체제의 실제 운영 사례를 조사 분석하였다. 이 과정에서 해당 국가의 교육부 관계자, 학교 관리자, 현장 교사 등을 면담하여 문헌과 인터넷 탐색 등에 기반을 둔 사전 조사의 실질적 운영 현황을 파악하였다.
모니터링은 국가교육과정의 개정과 관련하여 어떤 과정인가? 국가교육과정이 개정된 후 이 교육과정이 교육 현장에 안착되고 안정적으로 실행되기까지의 모니터링은 교육 현장의 실질적인 변화를 유도하고, 차기 교육과정 개정이 원활하게 순환되도록 하는 필수적 과정이라 할 수 있다[6]. 개발된 교육과정에 대하여 국가 차원에서부터 시·도교육청을 거쳐 학교에서 충실하게 실행되도록 지원하고, 교육과정의 질 관리, 컨설팅, 장학, 교육과정 평가와 같은 다양한 과정을 포함하는 모니터링이 중요하게 고려되어야만 개정 교육과정의 성공적인 실행과 함께 향후 교육과정의 문제점을 확인하여 개선 방안을 도출할 수 있다[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Fullan, M.. The new meaning of educational change, NY: Teachers College Press. 2001 

  2. 조덕주, "교육과정 적용에 있어서의 연계자와 변화지원자에 대한 고찰," 교육과정연구, 제17권, 제2호, pp.191-207, 1999. 

  3. 조덕주, "교육과정 적용과 지원 유형과의 관계 분석," 교육과정연구, 제20권, 제2호, pp.307-327, 2002. 

  4. 김봉규, 2009 개정 교육과정 적용에 대한 교사 인식 분석: 강원도교육청 소속 중학교 교사들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5. 서지영, 김정호, 김덕근, 권유진, 장근주, 김정효, 교과서 정책의 국제 동향과 미래 전망,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자료 ORM 2011-68, 2011. 

  6. 허경철, 이광우, 박순경, 강창동, 이미숙, 정영근, 김진숙, 민용성, 김희규, 학교교육 내실화 후속지원 연구(III): 학교교육 내실화를 위한 국가 교육과정 적용 과정 개선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05-2-1, 2005. 

  7. 민용성, 최승현, 오은순,양정실, 김현미, 한혜정,박기화, 성기련, 정은영, 최의창, 최지연,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중학교 교과 교육과정의 적용과 질 관리 방안,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12-1, 2012. 

  8. 이미숙, 민용성, 조성기, 조덕주, 이낙종, 김현철, 학교교육 내실화 후속지원 연구(V):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의 중등학교 적용 지원 체제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07-6-1, 2007. 

  9. 소경희, 장주경, 이선영, "호주 국가교육과정의 개발 과정 및 주요 특징," 비교교육연구, 제21권, 제2호, pp.51-73, 2011. 

  10. 박순경, 허경철, 이화진, 소경희, 제7차 교육과정의 성공적 정착을 위한 지원 요구 조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CRC 2001-5-1, 2001. 

  11. 홍원표, 이근호, 외국의 역량기반 교육과정 현장적용 사례 연구: 호주와 뉴질랜드, 캐나다, 영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10-2, 2010. 

  12. 강창동, 이미숙, 김희규, 성병창, 최욱, 전제상, 학교교육 내실화 후속 지원 연구(IV): 초등학교 교육과정 개정에 대비한 지원체제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06-2-1, 2006. 

  13. 이미경, 민용성, 서영진, 변희현, 이혜원, 진재관, 양윤정, 김택천,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일반고등학교 교과 교육과정의 적용 방안,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13-4-1, 2013. 

  14. 교육과학기술부,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09-41호, 2009. 

  15. 이미숙, 정구향, 이근호, 박창언, 학교 현장의 교육과정 자율화 정착을 위한 지원 방안, 연구보고 RRC 2011-5,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1. 

  16. 백경선, 이영아, 이동엽, 김사훈, 김대석, 교육과정 편제 및 수업시수에 대한 국제 비교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CRC 2013-16, 2013. 

  17. ACARA, Curriculum development process (version 6), Australian Curriculum, Assessment and Reporting Authority Report, 2012. 

  18. ACARA, Australian Curriculum. Australian Curriculum, Assessment and Reporting Authority Presentation Paper, 2015. 

  19. BOSTES, Syllabus development handbook (updated November 2014). the Board of Studies, Teaching and Educational Standards NSW Report, 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