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20대 문화 소비의 다양성 결정 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문화 자본, 콘텐츠 장르 이용 특성, 인구사회 요인의 영향
Determinants of Diversity in Cultural Consumption among People in their 20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6 no.2, 2016년, pp.762 - 771  

김슬기 (한양대학교 신문방송학과) ,  전범수 (한양대학교 신문방송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20대 문화 예술 소비 다양성 결정 요인을 다양한 변수들을 바탕으로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대 문화 소비 다양성을 결정하는 요인을 살펴본 결과, 현재 문화 예술 경험 및 관심 요인을 포함해 방송 콘텐츠 이용 특성(정보 및 오락 장르) 요인이 정적으로 20대 문화 소비 다양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소득 요인은 부적으로 20대 문화 소비 다양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순수 및 대중 문화 소비 다양성 결정 요인을 살펴본 결과, 현재 문화 예술 경험 및 관심 요인 및 방송 콘텐츠 이용 특성(정보 및 오락) 요인은 정적으로, 소득 요인은 부적으로 순수 문화 소비 다양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중 문화 소비 다양성의 경우, 현재 문화 예술 경험 및 관심 요인을 포함해 방송 콘텐츠 이용 특성 요인은 정적으로, 성악-합창 등에 대한 교육 기간이 부적으로 다양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determinants of diversity in cultural consumption among people in their 20s. The main results are following; firstly, this study explored determinants of diversity in nine cultural consumption. The results showed that diversity of cultural consumption was determined by three fac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기존 연구들이 나이든 세대와 젊은 세대를 비교하는 연구가 많았던 반면에 본 연구는 20대만의 독자적인 문화소비 다양성에 미치는 문화 자본 및 다른 요인들의 영향력을 살펴볼 것이다.
  • 본 연구는 20대 문화 예술 소비 다양성 결정 요인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핵심 연구 결과들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20대를 중심으로 이들의 문화 소비에 미치는 문화 자본, 미디어 이용, 인구사회학적 속성 등의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한다. 20대라는 특정 세대에 집중하는 것은 다른 세대와는 차별적인 문화 소비가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 20대 연령층은 미디어 이용 패턴에 있어서도 다른 연령대와는 차별적이다[7]. 본 연구는 미디어 이용이나 콘텐츠 소비가 활성화되어 있는 20대의 문화 소비의 정도나 다양성 연구를 통해 이들 세대의 문화 소비를 결정하는 요인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 연구 한계점이 있기는 하지만 본 연구는 20대의 문화 소비가 문화적 가치 체계보다는 개인의 취향에 영향을 더 많이 받을 수 있다는 사실을 살펴보았다. 물론 개인의 취향이 문화 자본의 영향을 받을 수도 있다는 측면에서 앞으로는 이론적 모델을 새롭게 구성할 필요가 있다.
  • 연구문제 1은 20대 문화 소비 다양성을 결정하는 요인을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이는 다양한 문화 소비를 실천하는 20대와 편식적인 문화 소비에 집중하는 20대 구성원 간에 나타나는 차이를 이해하기 위한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가 흔하게 경험할 수 있는 문화 상품 소비로 무엇이 있는가? 우리가 흔하게 경험할 수 있는 문화 상품 소비는 영화를 비롯하여 뮤지컬, 미술 전시회, 대중음악 등 다양하다. 게다가 그 동안 순수 문화로 대중들의 관심 밖이었던 클래식 음악이나 무용, 전시회 등도 대부분의 사람들이 다양하게 경험하고 소비할 수 있는 일상적인 문화 상품이 되었다.
문화 소비 대상이나 폭이 확대되었다고 볼 수 있는 근거는 무엇인가? 우리가 흔하게 경험할 수 있는 문화 상품 소비는 영화를 비롯하여 뮤지컬, 미술 전시회, 대중음악 등 다양하다. 게다가 그 동안 순수 문화로 대중들의 관심 밖이었던 클래식 음악이나 무용, 전시회 등도 대부분의 사람들이 다양하게 경험하고 소비할 수 있는 일상적인 문화 상품이 되었다. 이전보다 개인들의 문화 소비 대상이나 폭이 확대된 것이다.
개인의 문화 상품 소비는 어떠한 특성이 있는가? 개인의 문화 상품 소비는 개인의 사적인 경험이 시간이 흐르면서 누적되어 패턴화되는 특성이 있다. 가령, 유년기에 좋아했던 문화 상품 소비가 성인이 된 이후에도 유지되는 경우가 적지 않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이호영, 장미혜, 박현주, 문화 자본이 정보 불평등에 미치는 영향,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연구보고, 06-02, 2006. 

  2. 이상길, 취향, 교양, "문화 : 사회학주의를 넘어서," 문학과 사회, 제27권, 제2호, pp.242-260, 2014. 

  3. 장미혜, "문화 자본과 소비 양식의 차이," 한국사회학회지, 제35권, 제5호, pp.51-81, 2001. 

  4. P. Bourdieu, Distinction: A social critique of the judgement of taste, Cambridge. Mass: Harvard University Press, 1984. 

  5. 홍윤미, 이명우, 윤기웅, "향유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GRI 연구논총, 제17권, 제1호, pp.185-211, 2015. 

  6. 남은영, "한국 중산층의 소비 문화 : 문화 자본과 사회 자본의 함의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 제44권, 제4호, pp.126-161, 2010. 

  7. 정용찬, 이은민, 미래 소비자 "20대"의 미디어 이용 트렌드, 2010권 7호, pp.1-40, 2010. 

  8. 김예란, 김경모, 임영호, 김은미, 유경한, "온라인 뉴스 이용자의 문화 취향과 뉴스 소비 유형의 관계," 한국언론학보, 제52권, 제4호, pp.129-151, 2008. 

  9. 이호영, 장미혜, "문화 자본과 영화 선호의 다양성," 한국사회학회, 제42권, 제1호, pp.62-95, 2008. 

  10. 전범수, 이상길, "영화 장르의 사회 소비적 구조," 한국방송학보, 제18권, 제3호, pp.554-597, 2004. 

  11. 최샛별, 이명진, "음악장르, 여가활동, TV프로그램 선호분석을 통해 본 한국 사회의 문화지형도," 한국사회학, 제46권, 제2호, pp.34-60, 2012. 

  12. 박상곤, 박석희, "문화자본이 여가소비에 미치는 영향," 관광학연구, 제30권, 제6호, pp.241-258, 2006. 

  13. 권현정, 박화옥, "베이비붐 세대의 문화 자본이 문화 활동에 미치는 영향 : 문화 복지 관점에서," 한국 노년학, 제28권, 제3호, pp.535-553, 2009. 

  14. 방송통신위원회, 방송매체 이용 행태 조사, 과천:방송통신위원회, 2014. 

  15. 전범수, 박조원, 박성복, "문화 취향에 따른 대중문화 블로그 이용 특성 연구," 사이버 커뮤니케이션학보, 제29권, 제1호, pp.127-15, 2012. 

  16. 최샛별, 이명진, "문화 자본 지수의 개념화와 측정: 디마지오의 문화 자본 지수 체계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 제47권, 제2호, pp.31-60, 2013. 

  17. R. A. Peterson, Understanding audience segmentation: from elite and mass to omnivore and univore," Poetics, Vol.21, pp.243-58, 1992. 

  18. R. A. Peterson and R Kern, "Changing highbrow taste: from snob to omnivore,"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Vol.61, pp.900-909, 199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