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결혼이주여성을 위한 개별적 모유수유증진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an Individual Breast-feeding Promotion Program for Married Immigrant Women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6 no.1, 2016년, pp.128 - 139  

박미경 (목포 한사랑병원) ,  문소현 (국립목포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an individual breast-feeding promotion program to address breast-feeding knowledge, attitude, method and rate of practice for married immigrant women. Method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quasi-experimental design was used (experimental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이들 자녀의 건강한 성장과 발달을 위해 가장 이상적이고 완전한 영양을 줄 수 있는 모유수유를 지지할 수 있도록 결혼이주여성의 눈높이에 맞는 맞춤형 모유수유의 간호중재 개발이 절실히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는 선행 연구[10]를 토대로 Betty Newman의 건강관리 체제 모형에서 제시한 일차 예방으로서의 간호중재를 연구의 이론적 틀로 하여 모유수유를 하면서 초래되는 스트레스원을 예방하고, 모유수유를 계획한 결혼이주여성에게 분만 직후 개별 모유수유 교육과 첫 모유수유 시도 및 시범을 보인 일차 간호중재와 퇴원 후 가정 방문을 통한 강화교육 등의 이차 간호중재를 적용하는 개별적 모유수유증진프로그램이 결혼이주여성의 모유수유에 대한 지식, 태도, 방법 및 실천율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결혼이주여성을 위한 개별적 모유수유증진프로그램이 모유수유에 대한 지식, 태도, 방법, 실천율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는 것이며, 효과검증을 위한 연구 가설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개별적 모유수유증진프로그램이 결혼이주여성의 모유수유 지식, 태도, 방법 및 실천율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유사실험연구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이다.
  • 연구참여자들의 설문지 내용의 이해를 높이고자 각 대상자의 언어인 베트남어, 중국어, 영어로 번역한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설문지는 다문화 가족센터에 근무하는 통·번역사 중 한국거주 10년 이상의 한국어에 능통하고 각 나라 대졸 출신인 2명으로부터 번역을 하였다. 번역된 설문지 내용을 결혼이주여성이 충분히 이해하고 기술이 가능한가에 대한 적합성을 검증하고자 예비 조사를 시행하였다. 연구자가 사전 조사와 사후 조사의 자료 수집을 하였으며, 설문지 작성 소요시간은 대략 15~20분이었다.
  • 특히, 여성 건강영역에서 가장 취약한 인구집단인 결혼이주여성과 이들 자녀의 성장발달 잠재력을 최대한 성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아기와 엄마에게 신체적, 정서적, 사회·경제적으로 가장 이상적이고 완전한 영양 공급원인 모유수유를 실천 할 수 있도록 이들을 위한 구체적인 모유수유증진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체계적인 교육을 제공하는 것이 간호사들이 시급히 수행해야 할 과제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들의 사회적, 정서적, 문화적 특성과 이들의 눈높이에 맞는 개별적 모유수유증진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제공하여 모유수유 지식, 태도, 방법, 실천율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 지금까지 결혼이주여성에 대해 지속적인 관심으로 인해 많은 연구가 시행되었으나[4,5,9], 아직까지 결혼이주여성의 모유수유증진프로그램과 관련되어 시행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결혼이주여성인 초산모를 대상으로 분만 후 개별적 모유수유증진프로그램에 참여 후 모유수유와 관련된 지식이 향상되었는지 검증하였다. 그 결과, 분만 후 개별적 모유수유증진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이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분만 후 간호사가 그들의 눈높이에 맞는 정확한 정보제공을 할 수 있도록 모국어로 번역된 비디오 시청과 그림을 삽입한 소책자를 이용한 구두교육을 통해 시각적인 호기심과 흥미를 유발시켰다. 내용면에서도 그들의 언어적 수준과 지식수준을 감안한 쉬운 용어를 선택하여 이해하기 쉽도록 접근하고, 직접 수행을 통한 실습교육은 결혼이주여성의 모유수유 지식에 대한 학습효과를 높이는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 하지만 산전 또는 산후에 1회만 교육을 받은 실험군과 대조군의 모유수유 방법을 비교해 본 결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23]. 이는 모유수유 방법에 대한 교육이 일회에 그치기보다는 반복적이고 개별적인 교육이 올바른 모유수유 방법에 미치는 효과가 크다는 것을 시사하는 바이다.
  •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맞춤형 개별적 모유수유증진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효과를 검증하였다. 분만 직후부터 퇴원 후까지 이들의 눈높이에 맞는 반복적이고 지속적인 교육과 상담을 통해서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수유 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산모와 아기를 사정하여 개별적인 지도와 시범을 통한 실제적이고 즉각적인 문제 해결 방법과 지속적인 강화교육을 통한 다양한 방법이 결혼이주여성의 모유수유 지식, 태도, 방법, 실천에 매우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 특히, 결혼이주여성은 언어전달의 한계점과 낮은 교육수준, 문화적 배경의 차이로 인한 다양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어 짧은 교육시간과 적은 횟수의 교육, 어려운 용어를 사용한 교육내용은 적절하지 않으므로 교육을 어느 한 시기에만 시행할 것이 아니라 산전과 산후, 퇴원 후에도 전문간호사를 통한 가정방문 간호 서비스와 보호자를 연계한 전화 상담등을 지속적으로 실시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언어적 불편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우리나라에 먼저 이주한 여성이 새로운 여성을 이끌어 줄 수 있는 sister제도와 다문화센터의 통역사와의 연계를 통한 지역사회 자원 활용 방안의 필요성을 적극적으로 제안하는 바이다. 끝으로 본 연구에서는 프로그램에 보호자(남편, 시어머니)를 참여시켰으나 모유수유실천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아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제언한다.

가설 설정

  • 첫째, 개별적 모유수유증진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인 결혼이주여성의 모유수유 지식 점수는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과 차이가 있을것이다.
  • 둘째, 개별적 모유수유증진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인 결혼이주여성의 모유수유태도 점수는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과 차이가 있을것이다.
  • 넷째, 개별적 모유수유증진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인 결혼이주여성의 모유수유실천율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과 차이가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결혼이주여성이 한국사회에 적응하면서 야기되는 문제점은 무엇인가? 결혼이주여성이 증가함에 따라 한국사회에 적응하면서 야기되는 문제로는 순수 한국 여성과 달리 의사소통의 어려움과 문화적 배경이나 전통 및 관습의 차이로 인한 사회적·정서적 문제 등이 새롭게 대두되고 있다[4,5]. 또한 이들 대다수가 경제적으로 소득수준이 낮고, 그들의 남편이 육체적인 노동직이나 단순 노동에 종사하는 취약한 계층의 가구에 속하여 의료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나 아기와 모성에게 미치는 건강상의 문제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4,5].
국제결혼의 사회적인 증가 요인은 무엇인가? 최근 한국사회에서는 국제결혼의 증가로 다문화 가정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여성의 만혼화, 출생성비의 불균형, 결혼기피현상, 양성평등의 확산, 농촌에서 도시로의 인구 이동, 세계화 등이 외국 여성을 신부로 맞이하는 국제결혼의 사회적인 증가 요인으로 자리 잡고 있다[1]. 한국인 남성과 외국인 여성의 결혼 건수는 2000년 전체 혼인 건수의 2.
결혼이주여성들의 모유수유를 도울 수 있는 방안은 무엇인가? 그러나 결혼이주여성들은 한국어가 서툴기 때문에 양육관련 지식을 습득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문화적 차이 및 모유수유 시 지지체계가 부족하므로 모유수유에 대한 실질적인 도움을 얻기가 쉽지 않아 정보 부족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6]. 이들을 돕기 위해서는 분만 직후 병원에서 의료인의 적극적인 모유수유 권장과 개별적으로 어머니와 아기를 사정하여 정확한 수유 방법으로 시도하고 시범을 보여줌으로써 조기에 문제를 확인하고, 그에 따른 개별적인 교육, 지도, 관리를 함으로써 성공적으로 모유수유를 실천할 수 있는 간호중재가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Kim DS. A conceptual scheme of international marriage of Koreans and analyses of the marriage and divorce registration data.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2006;29(1):25-56. 

  2. Statistics Korea. Multicultural population movement study [Internet]. Daejeon: Author; 2015 [cited 2015 November 19].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1/index.board?bmoderead&bSeq201&aSeq349827. 

  3. Kim HS.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 women in Korea.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08;14(4):248-256. http://dx.doi.org/10.4069/kjwhn.2008.14.4.248 

  4. Kim MY, Koh HJ. A study about intermarriage foreign wives' prenatal education needs, health belief and prenatal care compliance. Keimyung Journal of Nursing Science. 2008;12(1):83-96. 

  5. Kim HR, Hwang NM, Jang IS, Yoon KJ, Kang BJ.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 women's reproductive health conditions and priorities. Seoul: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Affairs; 2008. 

  6. Kim HR. Maternal health and nutritional status of marriage-based women immigrants in Korea and policy directions.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2009;155:50-64. 

  7. Song ES, Choi YY. Preterm birth problem and prognosis in newborn baby born from international married foreign women. 2008 November 19; Hanyang University HIT. Seoul: The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2008. p. 188. 

  8. Kim HJ. A study of spousal support, the demand for health education, and quality of life for married female immigrant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08;14(1):5-11. 

  9. Koo SM, Kim TI. The duration of exclusive breastfeeding practice and its related factors of married immigrant Vietnamese women.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2;13(4):1672-1683. http://dx.doi.org/10.5762/KAIS.2012.13.4.1672 

  10. Jeong GH. Effect of the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on promoting the breast-feeding practice in primipara [dissertation].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1997. 

  11. Yu YR, Park SY. Effect of breast-feeding attitude and breast-feeding practice by individual breast-feeding promotion program.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3;14(7):3310-3318. http://dx.doi.org/10.5762/KAIS.2013.14.7.3310 

  12. Choi YJ, Kim MO. Effect of a breastfeeding management program on breastfeeding duratio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07;13(4):245-253. 

  13. Almroth S, Arts M, Quang ND, Hoa PT, Williams C. Exclusive breastfeeding in Vietnam: An attainable goal. Acta Paediatrica. 2008;97(8):1066-1069. http://dx.doi.org/10.1111/j.1651-2227.2008.00844.x 

  14. Ergenekon-Ozelci P, Elmaci N, Ertem M, Saka G. Breastfeeding beliefs and practices among migrant mothers in slums of Diyarbakir, Turkey, 2001. European Journal of Public Health. 2006;16(2):143-148. http://dx.doi.org/10.1093/eurpub/cki170 

  15. Lee EJ. The effect of prenatal breastfeeding education on breast-feeding practice and retension of knowledge [master's thesis]. Daegu: Keimyung University; 1997. 

  16. Cohen J.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2nd ed.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988. 

  17. Nunnally JC. Psychometric theory. 2nd ed. New York, NY: McGraw-Hill; 1978. 

  18. Kim JK, Choi HM, Ryu EJ. Postnatal breast-feeding knowledge, techniques and rates of first-time mothers depending on a prenatal breast-feeding education method.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11;17(1):90-99. http://dx.doi.org/10.5977/JKASNE.2011.17.1.090 

  19. Helsing E. Infant feeding and infection illness. Copenhagen, DK: World Health Organization Regional Office for Europe; 1985. 

  20. Riordan J, Wambach K. Breastfeeding and human lactation. 4th ed. Boston, MA: Jones and Bartlett Publishers, Inc.; 2010. 

  21. Kim EH, Lee E, Kim MJ, Park DY, Lee SH. Effects of an educational program of pregnancy and delivery on pregnancy related knowledge, newborn care knowledge, and postpartum care selfefficacy of marriage immigrant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0;40(1):78-87. http://dx.doi.org/10.4040/jkan.2010.40.1.78 

  22. Kim MJ. A comparative study on birth outcomes between Korean women and immigrant wome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11;17(4):407-414. http://dx.doi.org/10.4069/kjwhn.2011.17.4.407 

  23. Yun SE. Effect of the breast feeding knowledge, method and feeding rate in primipara about the education of breast feeding according to the stage of the prenatal and postnatal period [master's thesis]. Kongju: Kongju National University; 2003. 

  24. Kim HR. Health status of marriage-based immigrants in Korea and policy direction.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2010;165:46-57. 

  25. Yun SE, Lee HK. Effects of breast-feeding adaptation, attitude and practice of primipara depending on method of postpartum breast-feeding educatio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12;18(2):75-84. http://dx.doi.org/10.4069/kjwhn.2012.18.2.75 

  26. Lundberg PC, Ngoc Thu TT. Breast-feeding attitudes and practices among Vietnamese mothers in Ho Chi Minh City. Midwifery. 2012;28(2):252-257. http://dx.doi.org/10.1016/j.midw.2011.02.012 

  27. Zhou Q, Younger KM, Kearney JM. An exploration of the knowledge and attitudes towards breastfeeding among a sample of Chinese mothers in Ireland. BMC Public Health. 2010;10:722. http://dx.doi.org/10.1186/1471-2458-10-722 

  28. Jang GJ, Kim SH. The effect of postpartum breastfeeding support on the breastfeeding prevalence.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0;16(2):117-126. 

  29. Saunders SE, Carroll J. Post-partum breast feeding support: Impact on duration. Journal of the American Dietetic Association. 1988;88(2):213-215. 

  30. McLachlan HL, Forster DA. Initial breastfeeding attitudes and practices of women born in Turkey, Vietnam and Australia after giving birth in Australia. International Breastfeeding Journal. 2006;1:7. http://dx.doi.org/10.1186/1746-4358-1-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