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력발전소 가동 후 시화갯벌의 대형저서동물군집 변화
Changes in the Macrobenthic Community in Sihwa Tidal Flat After Operation of the Tidal Power Plant 원문보기

Ocean and polar research, v.38 no.4, 2016년, pp.315 - 324  

김민규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생물.생태계연구본부) ,  구본주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생물.생태계연구본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changes in the macrobenthic community in Sihwa tidal flat before and after the operation of a Tidal Power Plant (TPP). In order to investigate changes in the macrobenthic community structure, field surveys were conducted at eighteen stations in 4 transect lines every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조력발전소 가동에 따른 시화갯벌에서의 대형저서동물군집에 관한 연구는 전무할 뿐만 아니라, 해외 유사연구 사례도 역시 매우 제한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조력발전소 가동 전과 후의 시화갯벌 대형저서동물의 생태학적 제반지수, 군집구조, 종 조성의 비교를 통해 대형저서동물군집의 변화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일반적으로 갯벌환경의 안정화가 진행되고 있는 곳에서 어떤 양상을 보이는가? 일반적으로 갯벌환경의 안정화가 진행되고 있는 곳에서는 대형저서동물의 종수와 생체량은 시간에 따라 증가하고, 개체수는 감소하는 양상을 보인다(Mclachlan 1996; Dittmann 2000). 시화갯벌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종수는 조력발전소가 가동된 뒤 2년 5개월 후인 2014년부터 증가하였으며, 생체량은 2013년에 크게 증가하여 가동 전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시화호는 어떤 지역인가? 시화호는 대단위 간척종합개발 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된 시화방조제 건설로 인해 형성된 인공호이자, 큰 환경 변화를 겪은 대표적인 지역이다. 시화호는 시화방조제 건설 후 중단된 해수유통과 인근 산업단지와 하수처리시설로부터 유입된 오폐수로 인하여 극심한 수질악화를 겪었다.
시화방조제 건설 후 시화호의 극심한 수질악화를 개선하기 위해 정부는 무엇을 하기 시작하였나? 시화호는 시화방조제 건설 후 중단된 해수유통과 인근 산업단지와 하수처리시설로부터 유입된 오폐수로 인하여 극심한 수질악화를 겪었다. 이에 정부는 담수화를 포기하고 배수갑문 운영을 통한 해수유통을 시작하였으나, 배수갑문의 구조적인 문제와 여전히 부족한 해수유통량으로 시화호의 생태계를 크게 개선시키지 못하였다(정 2000; 강 등 2005). 그러나 2012년 4월에 조력발전소가 가동되면서 시화호 생태계는 새로운 국면은 맞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강성현, 김은희, 구본주 (2005) 연안통합관리를 통한 시화호 간척지의 지속가능한 개발. 한국습지학회지 7(1):93-106 (Kahng SH, Kim EH, Koo BJ (2005) Sustainable Developmentof Reclaimed Area in Lake Shihwa by IntegratedCoastal Management. J Kor Wetlands Soc 7(1):93-106) 

  2. 고철환, 박철, 유신재, 이원재, 이태원, 장창익, 최중기, 홍재상, 허형택 (1997) 해양생물학. 서울대학교출판부, 654 p (Koh CH, Park C, Yoo SJ, Lee WJ, Lee TW, Jang CI, ChoiJK, Hong JS, Heo HT (1997) Marine biolgy. SeoulNational University Press, 645 p) 

  3. 구본주, 신상호, 이석 (2008a) 급격한 조석 감소에 의한 새만금 갯벌 대형저서동물 변화. Ocean and Polar Res 30(4):485-495 (Koo BJ, Shin SH, Lee S (2008a) Changes in benthicmacrofauna of the saemangeum tidal flat as result of adrastic tidal reduction. Ocean and Polar Res 30(4):485-495) 

  4. 구본주, 신상호, 우한준, 김은수, 제종길 (2008b) 새만금 4호 방조제 연결 후 군산갯벌 대형저서동물군집 변화. Ocean and Polar Res 30(4):497-507 (Koo BJ, Shin SH, Woo HJ, Kim ES, Je JG (2008b)Changes in macrobenthic community structure on gunsantidal flat after the closing of the Saemangeum 4th Dyke.Ocean and Polar Res 30(4):497-507) 

  5. 구본주 (2016) 갯벌 생물의 집, 서식굴.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안산, 72 p (Koo BJ (2016) Burrow of macroinvertebrate in tidal flat.KIOST, Ansan, 72 p) 

  6. 김민규, 구본주 (2015) 조력발전소 가동 후 시화호 내 조간대의 면적 변화. J Kor Soc Mar Env Eng 18(4):310-316 (Kim MK, Koo BJ (2015) The intertidal area in lake Sihwaafter operation of the tidal power plant. J Kor Soc MarEnv Eng 18(4):310-316) 

  7. 나공태, 김종근, 김은수, 김경태, 이정무, 김성근, 김의열, 이승용, 박은주 (2013) 수질평가지수를 이용한 시화호 내측 및 외측 해역의 시공간적 수질변화 평가: 조력발전소 가동에 따른 영향 연구. J Kor Soc Mar Env Eng 16(2): 102-114 (Ra K, Kim J-K, Kim E-S, Kim K-T, Lee J-M, Kim S-K,Kim E-Y, Lee S-Y, Park E-J (2013) Evaluation of spatialand temporal variations of water quality in lake Shihwaand outer sea by using water quality index in Korea: acase study of unfluence of tidal power plant operation. JKor Soc Mar Env Eng 16(2):102-114) 

  8. 나영호 (2003) 원격탐사를 이용한 새만금 조간대의 지형변화 및 광학반사 특성연구. 이학석사 학위논문, 연세대학교, 118 p (Na YH (2003) Study on surface change and opticalreflectance of the Saemangeum intertidal by remotesensing. Ms.D. Thesis, Yonsei University, 118 p) 

  9. 임현식, 홍재상 (1997) 진해만 저서동물의 군집생태 : 군집구조. J Kor Fish Soc 30(2):175-187 (Lim HS, Hong JS (1997) Ecology of the macrozoobenthosin Chinhae Bay, Korea. Community structure. J Kor FishSoc 30(2):175-187) 

  10. 정종철 (2000) 시화호 갑문조절을 통한 수질개선 효과 분석. J Kor Soc Water Qual 16(1):1-8 (Jung JC (2000) The effect analysis of water qualityenhancement using the water gate control in lake Sihwa.J Kor Soc Water Qual 16(1):1-8) 

  11. 한국수자원공사 (2016) Statistical Data of Sihwa tidal power plant. https://tlight.kwater.or.kr/ Accessed 1 Sep 2016 (K-water (2016) Statistical Data of Sihwa tidal power plant.https://tlight.kwater.or.kr/ Accessed 1 Sep 2016) 

  12. 해양수산부 (2013) 시화호 해양환경 개선 사업. 한국해양과학기술원, BSPG 48041-10290-7, 475 p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2013) Annual report ofproject to improve the marine environments of theShihwa Lake. KIOST, BSPG 48041-10290-7, 475 p) 

  13. 해양수산부 (2014) 시화호 해양환경 개선 사업. 한국해양과학기술원, BSPG 48391-10564-4, 714 p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2014) Annual report ofproject to improve the marine environments of theShihwa lake. KIOST, BSPG 48391-10564-4, 714 p) 

  14. 해양수산부 (2015) 시화호 해양환경 개선 사업. 한국해양과학기술원, BSPG 49021-10838-3, 640 p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2015) Annual report ofproject to improve the marine environments of theShihwa lake. KIOST, BSPG 49021-10838-3, 640 p) 

  15. Arntz WE, Rumohr H (1982) An experimental study of macrobenthic colonization and succession, and the importance of seasonal variation in temperate latitudes. J Exp Mar Biol Ecol 64(1):17-45 

  16. Bilyard GR (1987) The value of benthic infauna in marine pollution monitoring studies. Mar Poll Bull 18:581-585 

  17. Craft C, Reader J, Sacco JN, Broome SW (1999) Twentyfive years of ecosystem development of constructed Spartina alterniflora (Loisel) marshes. Ecol Appl 9(4): 1405-1419 

  18. Dittmann S (2000) Zonation of benthic communities in a tropical tidal flat of north-east Australia. J Sea Res 43:33-51 

  19. Douziech M, Hellweg S, Verones F (2016) Are Wave and Tidal Energy Plants New Green Technologies. Environ Sci Tech 50(14):7870-7878 

  20. Edwards KR, Proffitt CE (2003) Comparison of wetl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between created and natural salt marshes in southwest Louisiana, USA. Wetlands 23(2): 344-356 

  21. Glud RN (2004) Marine eutrophication and benthic metabolism. In: Wassmann P, Olli K (eds) Drainage basin nutrient inputs and eutrophication: an integrated approach. University of Tromsoe, Tromsoe, pp 147-154 

  22. Gower JC (1966) Some distance properties of latent root and vector methods used in multivariate analysis. Biometrika 53(3-4):325-338 

  23. Gower JC (2008) Effects of heavy metal contamination on the macrobenthic fauna in estuaries: the case of the Seine estuary. Mar Poll Bull 57(1-5):160-169 

  24. Groenendaal M (1979) On sulphide and the distribution of Arenicola marina in a tidal mud flat in the Dutch Wadden Sea. Neth J Sea Res 13:562-570 

  25. Herman PMJ, Middelburg JJ, Heip CHR (2001) Benthic community structure and sediment processes on an intertidal flat: results from the ECOFLAT project. Continent Shelf Res 21:2055-2071 

  26. Koh CH, Shin HC (1988)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nd distribution of macrobenthos in a mudflat of the west coast of Korea (Yellow Sea). Neth J Sea Res 22:279-290 

  27. Koo BJ, Je JG (2002) A preliminary study on changes in macrobenthic assemblages in the fenced experimental plots for restoring tidal marsh, Hogok-ri tidal flat, west coast of Korea. Ocean and Polar Res 24:63-71 

  28. Koo BJ, Kwon KK, Hyun J-H (2007) Effect of environmental conditions on variation in the sediment-water interface created by complex macrofaunal burrows on a tidal flat. J sea Res 58(4):302-312 

  29. McLachlan A (1996) Physical factors in benthic ecology: Effects of changing sand particle size on beach fauna. Mar Ecol-Prog Ser 131:205-217 

  30. McManus JW, Pauly D (1990) Measuring ecological stress: variations on a theme by R.M. Warwick. Mar Biol 106(2):305-308 

  31. Mitsch WJ, Wilson RF (1996) Improving the success of wetland creation and restoration with know-how, time, and self-design. Ecol Appl 6(1):77-83 

  32. Mucha AP, Vasconcelos MTSD, Bordalo AA (2003) Macrobenthic community in the Douroestuary: relations with trace metals and natural sediment characteristics. Environ Poll 121:169-180 

  33. Oh SH, Lee KS, Jung WM (2016) Three-dimensional experiment and numerical simulation of the discharge performance of sluice passageway for tidal power plant. Renew Energ 92:462-473 

  34. Pearson TH (1975) The benthic ecology of Loch Linnhe and Loch Eil, a sea-loch system on the west coast of scotland. IV. Changes in the benthic fauna attributable to organic enrichment. J Exp Mar Biol Ecol 20(1):37-41 

  35. Pearson TH, Rosenberg R (1978) Macrobenthic succession in relation to organic enrichment and pollution of the marine environment. Oceanangr Mar Biol Ann Rev 16:229-311 

  36. Ryu J, Khim JS, Choi J-W, Hyun CS, An S, Park J, Kang D, Lee C-H (2011) Environmentally associated spatial changes of a macrozoobenthic community in the Saemangeum tidal flat, Korea. J Sea Res 65(4):390-400 

  37. Simboura N, Zenetos A, Thessaloulegaki M, Pancucci MA, Nicolaidou A (1995) benthic communities of the infralittoral int he N. Sporades (Aegean Sea): a variety of biotopes encountered and analysed. Mar Biol 16(4):283-306 

  38. Warwick RM, Clarke KR (1991) A comparison of some methods for benthic community structure. J Mar Biol Ass UK 71:225-244 

  39. Wilson JG, Jeffrey DW (1994) Benthic biological pollution indices in estuaries. Environ Monit Assess 170(1):141-15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