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주요 국제항에 입항하는 중국 기원 선박의 평형수내 수질 및 식물플랑크톤 특성 연구
A Study of Characteristics on Water Quality and Phytoplankton in Ship's Ballast Water Originating from International Ports of China 원문보기

海洋環境安全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22 no.7, 2016년, pp.821 - 828  

장풍국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남해연구소 선박평형수연구센터) ,  현봉길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남해연구소 선박평형수연구센터) ,  장민철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남해연구소 선박평형수연구센터) ,  신경순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남해연구소 선박평형수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우리나라 주요 국제항에 출입하는 중국기원 선박의 선박평형수내 환경 및 부유생물의 특성을 파악하여 선박평형수 처리장치(BWTS)와 관련된 면제 협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조사된 37척의 선박 중 평형수의 보관 기간은 발해만을 포함하는 북부지역(지역 "A")에서 평균 $3.91{\pm}4.61days$로 가장 짧았다. 총부유물질의 농도는 $1.80{\sim}266mg\;L^{-1}$의 범위를 보였고, 용존성 및 입자성 유기물질은 각각 $1.09{\sim}5.79mg\;L^{-1}$, $0.17{\sim}3.65mg\;L^{-1}$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영양염 농도는 양자강 유역을 포함한 지역 "B"에서 높았고, 홍콩을 포함하는 지역 "C"에서 낮은 평균값을 보였다. 엽록소-a 평균 농도는 $0.67{\pm}1.15{\mu}g\;L^{-1}$로 나타났고, $1{\mu}g\;L^{-1}$ 이상의 높은 값은 지리적으로 우리나라와 가까운 지역 "A"에서 7척 중 3척이 집중되었다. 식물플랑크톤의 개체수가 > $10,000cells\;L^{-1}$의 선박평형수는 37척 중 6척으로 나타났고, 이 중 3척이 지역 "A" 기원으로 파악되었다. 특히, 홍콩항에서는 유해미세조류로 잘 알려진 와편모그룹의 종이 높은 밀도로 관찰되었다. 본 연구 결과, 중국과의 BWTS 면제권 협상은 신중하게 접근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water quality and phytoplankton presence in the ballast water (BW) of 37 vessels originating from the international ports of China were investigated to facilitate negotiations for exemptions to the Ballast Water Management Convention (BWM Convention). The shortest duration given BW spent in a v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아울러, BWTS 개발업체나 선주협회도 선박운항 특성에 알맞은 BWTS 장비를 장착하기 위해서 중국기원 선박의 항만 및 운항 선박의 선박평형수내 기초정보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주요 국제항에 입항하는 중국 기원의 선박평형수 특성에 관한 연구(Jang et al., 2016)에 이어 중국 기원의 선박평형수내 환경 및 부유생물의 특성을 파악하여 BWM 협약 면제와 관련된 중국과의 협상을 위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제해사기구에서 외래생물의 교란을 방지하기 위해 제정한 협약은 무엇인가? , 2004). 따라서 국제해사기구(IMO: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는 선박평형수로 인한 외래생물의 교란을 방지하기 위해서 선박평형수를 처리하여 평형 수내 생물을 제거 및 사멸시킨 후 배출하는 선박평형수관리 국제협약(International Convention for Ballast Water Management Convention, BWM Convention)을 2004년에 제정하였다.
선박평형수란 무엇인가? 선박평형수는 공선선박의 안전한 운전을 위해 싣는 물로서 선박의 평형과 안정을 유지하고, 특정항구에서 화물을 선적하기 위하여 배출된다. 전 세계적으로 연간 50-100억 톤 규모로 선박평형수가 이송되고, 이와 함께 7000 여종의 수권 생물이 다른 지역으로 옮겨져 그 지역의 고유생태계를 교란시킬 수 있다(Endresen et al.
동일위험지역을 정하는데 있어 수온과 염분이 적용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중에서 수온과 염분은 동일위험지역(Same Risk Area)을 정하는데 있어 일차적으로 적용되는 요인이다. 왜냐하면 수온과 염분은 외래종이 유입되었을 때 토착 환경에서 생존하고 번식할 수 있느냐에 대한 가장 중요한 기준이 되기 때문이다. 중국의 경우 수온은 우리나라 주요항에서 나타나는 계절적인 경향을 보여주고 있지만, 염분은 다소 우리나라와 다른 경향을 보여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Cupp, E. E.(1943), Marine plankton diatoms of the west coast of North Americ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Berkeley and L.A., p. 237. 

  2. Dodge, J. D.(1982), Marine dinoflagellate of the British Isles, Her Majesty stationary office, London, p. 303. 

  3. Endresen, O., H. L. Behrens, S. Brynestad, A. Bjorn Andersen and R. Skjong(2004), Challenges in global ballast water management, Mar. Pollut. Bull., Vol. 48, No. 7-8, pp. 615-623. 

  4. Gong, G. C., J. Chang, K. P. Chiang, T. M. Hsiung, C. C. Hung, S. W. Duan and L. A. Codispoti(2006), "Reduction of primary production and change of nutrients ratio in the East China Sea: effect of the Three Gorges Dam?"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Vol. 33, L07610, pp. 1-4. 

  5. IMO(2016), Global treaty to halt invasive aqiatic species ti enter into force in 2017, http://www.imo.org/en/MediaCentre /PressBriefings/Pages/22-BWM-.aspx, 8/09/2016. 

  6. Jang, P. G., H. H. Shin, S. H. Baek, M. C. Jang, T. S Lee, and K. Shin(2013), Nutrient distribution and effects on phytoplankton assemblages in the western Korea/Tsusima Strait, NZJ of MFR, Vol. 47, No 1, pp. 21-37. 

  7. Jang, P. G., S. H. Baek, M. C. Jang, H. B. Hyen and K. Shin(2016), Characteristics of environmental condition and planktonic organism in ship's ballast water originating from international ports of Japan,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7, No. 9, pp. 245-252. 

  8. Officer, C. B. and J. H. Ryther(1980), The possible importance of silicon in marine eutrophication, ar. Ecol-Prog Ser., Vol. 3, pp. 83-91. 

  9. Parsons, T. R., Y. Maita and C. M. Lalli(1984), A manual of chemical and biological methods for seawater analysis, New York, Pergamon, p. 173. 

  10. Shim, J. H.(1994), Illustrated encyclopedia of fauna & flora of Korea, Vol. 34, Marine Phytoplankton, Ministry of Education, Seoul, p. 487. 

  11. Stephanie, D., V. Christian, T. August and L. Helge(2013), Disinfection by-products and ecotoxicity of ballast water after oxidative treatment-results and experiences from seven years of full-scale testing of ballast water management systems, Mar. Pollut. Bull., Vol. 73, No. 1, pp. 24-36. 

  12. Taylor, F. J. R. and V. L. Trainer(2002), Hamful algal blooms in the PICES region of the North Pacific, North Pacific Marine Science Organization, Sidney, Canada, p. 152. 

  13. Tomas, C. R.(1997), Identifying marine phytoplankton, Academic Press, p. 833. 

  14. Wang, B.(2006), Cultural eutrophication in the Changjiang (Yangtze River) plume: History and perspective, Estuarine, Coastal and Shelf Science, Vol. 69, pp. 471-47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