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주요 국제항에 입항하는 일본 기원 선박의 평형수내 환경 및 부유생물 특성
Characteristics of environmental condition and planktonic organisms in ship's ballast water originating from international ports of Japan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7 no.9, 2016년, pp.245 - 252  

장풍국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남해연구소) ,  백승호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남해연구소) ,  장민철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남해연구소) ,  현봉길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남해연구소) ,  신경순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남해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우리나라 주요 국제항에 입항하는 일본기원의 선박을 대상으로 선박평형수내 환경 및 부유생물의 특성을 파악하여 선박평형수 처리장치(BWTS) 면제 협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조사된 22척의 선박 중 평형수의 보관 기간은 큐슈와 세토 내만(지역 "A")에서 평균 $3.33{\pm}1.87days$로 가장 짧았다. 총부유물질의 농도는 $4.60{\sim}60.9mg\;L^{-1}$의 범위를 보였고, 용존성 및 입자성 유기물질은 각각 $0.97{\sim}2.69mg\;L^{-1}$, $0.24{\sim}4.51mg\;L^{-1}$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영양염 농도는 동경만을 포함한 지역 "C"에서 높았고, 지역 "A"에서 낮은 평균값을 보였다. 엽록소-a 평균 농도는 $0.40{\pm}0.56{\mu}g\;L^{-1}$로 나타났고, $1{\mu}g\;L^{-1}$ 이상의 높은 값은 지리적으로 우리나라와 가까운 지역 "A"로 집중되었다. 식물플랑크톤의 개체수가 > $50,000cells\;L^{-1}$의 선박평형수는 22척 중 4척으로 나타났고, 이 중 3척이 지역 "A" 기원으로 파악되었다. 특히, Tokyuyama 만에서는 유해유독미세조류로 잘 알려진 와편모그룹의 종이 높은 밀도로 관찰되었다. 본 연구 결과, 일본과의 BWTS 면제권 협상은 신중하게 접근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planktonic organisms in the ballast waters (BW) of 22 vessels originating from the international ports of Japan for the purpose of negotiating exemptions from the Ballast Water Management Convention (BWM Convention). The shortest duration of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주요 국제항에 입항하는 일본기원의 선박을 대상으로 선박평형수내 환경 및 부유생물의 특성을 파악하여 BWM 협약 면제와 관련된 일본과의 협상을 위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BWM협약에 가입된 국가의 현황은 어떠한가? BWM 협약은 선박보유국가 중 30개국 이상이 가입하고, 가입국가의 선복량이 총톤수의 35% 이상이 되면 1년 후 발효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현재, 30개국 이상이BWM 협약에 가입한 상태이며, 가입한 국가의 선복량이 34.82%에 달하고 있어 늦어도 2017년에는 본 협약이 발효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5]. BWM 협약이 발효되면 협약당사국과 관련된 선박 및 그 권한 하에 있는 모든 선박은 선박평형수 처리장치를 설치 운영하여 IMOD-2 규정에 맞게 평형수를 배출하여야 한다.
BWM 협약이 발효되면 어떤것이 변화되는가? 82%에 달하고 있어 늦어도 2017년에는 본 협약이 발효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5]. BWM 협약이 발효되면 협약당사국과 관련된 선박 및 그 권한 하에 있는 모든 선박은 선박평형수 처리장치를 설치 운영하여 IMOD-2 규정에 맞게 평형수를 배출하여야 한다. BWM 협약의 발효가 임박함에 따라 선박평형수처리장치(BWTS)를 설치하는 비용과 유지관리에 대한 경제적인 부담 때문에 인접국가 간의 선박평형수처리 면제 협상이 활발하게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국제해사기구에서 외래생물에 관한 국제협약을 제정한 이유는? 선박평형수는 공선선박의 평형과 안정을 유지하기 위하여 싣는 물이며, 이들 평형수는 화물을 선적하기 위하여 특정 항구에서 배출한다. 전 세계적으로 연간 50-100억 톤 규모의 선박평형수가 이송되고, 이와 함께 7000 여종의 수권 생물이 다른 지역으로 옮겨져 그 지역의 고유생태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1]. 대부분의 수서생물은 선박평형수내 환경 조건에 적응하지 못하여 사멸되지만, 일부 내성이 강한 종과 더불어, 휴면포자 또는 휴면란을 생성하는 종은 살아남아 항만 고유의 생태계를 교란시킬 수 있다[2, 3, 4]. 따라서 국제해사기구(IMO: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는 선박평형수로 인한 외래생물의 교란을 방지하기 위해서 선박평형수를 처리하여 평형수내 생물을 제거 및 사멸시킨 후 배출하는 선박평형수관리 국제협약(International Convention for Control and Management of Ship’sBallast Water and Sediment, BWM Convention)을2004년에 제정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O. Endresen, H. Lee Behrens, S. Brynestad, A. Bjorn Andersen, R. Skjong, "Challenges in global ballast water management". Mar. Pollut. Bull., vol. 48, no. 7-8, pp. 615-623, 2004. DOI: http://dx.doi.org/10.1016/j.marpolbul.2004.01.016 

  2. N. Bax, A. Williamson, M. Aguero, E. Gonzalez, W. Geeves, "Marine invasive alien species: a threat to global biodiversity". Mar. Policy, vol. 27, no. 4, pp. 313-323, 2003. DOI: http://dx.doi.org/10.1016/S0308-597X(03)00041-1 

  3. D. Pimented, R. Zuniga, D. Morrison, "Update on the environmental and economic costs associated with alien-invasive species in the United States". Ecol. Econ., vol. 52, no. 3, pp. 273-288, 2005. DOI: http://dx.doi.org/10.1016/j.ecolecon.2004.10.002 

  4. E. M. Zetsche, F. J. R. Meysman, "Dead or alive? viability assessment of micro-and mesoplankton". J. Plankton Res. vol. 34, no. 6, pp. 493-509, 2012. DOI: http://dx.doi.org/10.1093/plankt/fbs018 

  5. IMO, What's New during 2016. http://www.imo.org/en/MediaCentre/WhatsNew/Pages/Archive-2016.aspx, 08/03/2016. 

  6. T. R. Parsons, Y. Maita, C. M. Lalli, "A manual of chemical and biological methods for seawater analysis". New York, Pergamon, 173p, 1984. 

  7. E. E. Cupp, "Marine plankton diatoms of the west coast of North Americ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Berkeley and L.A., 237p, 1943. 

  8. J. D. Dodge, "Marine dinoflagellate of the British Isles". Her Majesty stationary office, London, 303 p, 1982. 

  9. J. H. Shim, "Illustrated encyclopedia of fauna & flora of Korea, Vol. 34, Marine Phytoplankton". Ministry of Education, Seoul, 487p, 1994. 

  10. C. R. Tomas, "Identifying marine phytoplankton". Academic Press, 833p, 1997. 

  11. D. Stephanie, V. Christian, T. August, L. Helge, "Disinfection by-products and ecotoxicity of ballast water after oxidative treatment-results and experiences from seven years of full-scale testing of ballast water management systems". Mar. Pollut. Bull., vol. 73, no. 1, pp. 24-36, 2013. DOI: http://dx.doi.org/10.1016/j.marpolbul.2013.06.014 

  12. P. G. Jang, K. Shin, M. Chang, D. Kim, "Spatial and temporal trends in water quality in response to sewage discharge in Masan and Hangam Bays, Korea". J. Coast. Res., vol. 27, no. 6A, pp. 144-155, 2011. DOI: http://dx.doi.org/10.2112/JCOASTRES-D-11-00023.1 

  13. D. I. Lim, Y. O. Kim, M. R. Kang, P. G. Jang, K. Shin, M. Jang, "Variability of water quality and limiting factor for primary production in semi-enclosed Masan Bay, South Sea of Korea". Ocean Polar Res., vol. 29, no. 4, pp. 349-366, 2007. DOI: http://dx.doi.org/10.4217/OPR.2007.29.4.349 

  14. K. Matsuoka, "Eutrophication process recorded in dinoflagellate cyst assemblage-a case of Yokohama Port, Tokyo Bay, Japan". Sci. Total Environ., vol. 231, no. 1, pp. 17-35, 1999. DOI: http://dx.doi.org/10.1016/S0048-9697(99)00087-X 

  15. M. Yamaguchi, S. Itakura, K Nagasaki, Y. Kotani, "Distribution and abundance of resting cysts of the toxic Alesandrium spp. (Dinophyceae) in sediments of the western Seto Inland Sea, Japan". Fish. Sci., vol 68, no. 5, pp. 1012-1019, 2002. DOI: http://dx.doi.org/10.1046/j.1444-2906.2002.00526.x 

  16. I. Imai, M. Yamaguchi, Y. Hori, Eutrophication and occurrences of harmful algal blooms in the Seto Inland Sea, Japan. Plankton Benthos Res., vol. 1, no. 2, pp. 71-84, 2006. DOI: http://dx.doi.org/10.3800/pbr.1.7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